가정과삶의질학회
[ Article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Vol. 41, No. 1, pp.61-76
ISSN: 2765-1932 (Print) 2765-2432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Mar 2023
Received 30 Dec 2022 Revised 07 Feb 2023 Accepted 17 Mar 2023
DOI: https://doi.org/10.7466/JFBL.2023.41.1.61

신사임당의 생애에 나타난 원가족과 방위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 분석

김지현1 ; 정민자2, *
Analysis of Origin and Procreation of Family Resilience through Shin-SaimDang’s Life History
Jihyeon Kim1 ; Minja Jung2, *
1Department of Child and Family Welfare, Ulsan University, Ph.D. Candidate
2Department of Child and Family Welfare, Ulsan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ence to: *Minja Jung, Department of Child and Family Welfare, Ulsan University, 93 Daehak-ro, Nam-gu, Ulsan, 44610, Rep. of Korea. E-mail: agnesnoel@hanmail.net

초록

본 연구는 신사임당의 생애에 나타난 가족 레질리언스를 분석하여 사임당의 가정환경과 가족관계, 자녀교육 방법이 현재 우리나라가 처해 있는 가족해체 상황에서 벗어나 건강한 가정 만들기와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한 교육의 지표를 삼고자 하는 질적 연구이다. 신사임당의 생애와 평가에 관련된 문헌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생애를 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신사임당의 생애에 나타난 가족 사건을 성장기와 결혼 이후로 나누어 각각의 시기에 발현된 가족 레질리언스를 추출하여 F. Walsh의 가족 레질리언스 이론의 세 가지 핵심요인(신념체계, 조직유형, 의사소통 과정)으로 분석하였다. 가족의 신념 체계 중 ‘역경에 대한 의미 부여’에서 어머니 이씨 부인의 역경을 대하는 자세와 역경을 극복하는 긍정적인 시각은 사임당에게 전수되어 결혼 후 닥친 어려움을 아름다운 예술작품으로 승화시키는 결과로 나타났다. ‘초월과 영성’에서 아버지 신명화의 불의에 타협하지 않고 의로움을 추구하는 정신은 사임당에 이어 아들 율곡에게 계승되어 율곡 또한 신의에 투철한 선비의 삶을 살도록 하였다. 조직유형에서는 원가족의 사회경제적 자원이 풍부하였고 결혼 후에 시어머니와 남편은 사임당의 예술 활동 지원자 역할을 하였다. 원가족의 가족 의사소통 패턴은 민주적이고 양성 평등하게 이루어졌으며 결혼 후 시어머니, 남편과의 의사소통도 원활하였고 자녀들에게 스스로 모범을 보임으로써 자녀들이 본 받도록하였다. 원가족에서 경험한 부모의 양육형태는 자신의 자녀를 양육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며 건강한 원가족에서 성장한 개인은 성인이 되어서도 건강한 정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임당의 생애에는 현대에서의 한 부모 가정, 조손 가정, 직장으로 인한 별거 가정, 맞벌이 가정 등과 유사한 가족생활 형태가 나타난다. 하지만 긍정적인 원가족 경험, 평등하고 민주적인 관계와 가족의 힘으로 작동하는 가족 레질리언스의 특성이 존재함으로써 오늘날 우리에게 건강한 가정과 좋은 부모의 모델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This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family resilience through Shin Saimdang’s life history and investigate her home environment and family relationships, and to examine child education methods that can be used in our present time.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literature materials related to Shin Saimdang’s life history and evaluation in order to organize her life. Dividing family life events in Shin Saimdang’s life history into the period of growth and period after marriage, this study extracted the family resilience revealed in each period and analyzed it with three key factors (belief systems, organizational patterns, and communication processes) in F. Walsh’s family resilience theory. In “Giving meaning to adversity” of the family belief systems, her mother, Mrs. Lee’s attitude towards adversity and positive perspective on overcoming adversity were handed down to Shin Saimdang, which resulted in the sublimation of difficulties encountered after marriage. In “Transcendence and spirituality,” her father Shin Myeonghwa’s spirit of pursuing righteousness without compromising with injustice was transferred to her son, Yulgok, in addition to Shin Saimdang, allowing him to live a life of a faithful scholar as well. In organizational patterns, there were abundant socio-economic resources in the family of origin, and her mother-in-law and husband played the role of supporters of Shin Saimdang’s artistic activities after her marriage. The communication patterns of the family of origin were democratic and gender-equal, and after marriage, her communication with her mother-in-law and husband was also smooth, and nonverbal communication with children was also effective, which became a driving force for children to show their talents and live a happy life. In Shin Saimdang’s life, family lifestyles similar to those in the present age appear, such as single-parent families, grandparent families, separate families due to work, dual-income families, etc. However, the pres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resilience that operates through equal and democratic relations and the strength of family shows a model of a healthy family to us.

Keywords:

Shin-Saimdang, life history, family resilience, origin family, procreation family

키워드:

신사임당, 생애사, 가족 레질리언스, 원가족, 방위가족

I. 서론

1. 연구의 목적

현재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빠른 속도의 경제성장과 아울러 그에 따른 산업화와 정보화, 경제위기 등을 맞으며 변화의 소용돌이를 겪어왔고, 그 부산물로 발생한 개인주의, 저출산, 고령화, 이혼율 증가 등과 함께 가족해체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조부모와 부모, 자녀의 3세대가 한 집에 거주하는 다세대 가족의 전통을 가지고 있었지만 급속한 가족해체와 핵가족화로 인하여 현재는 부부 간 갈등의 해소나 자녀교육, 가족 문제의 해결에 있어 생활 속에서 보고 배울 수 있는 역할 모델이 없는 가정이 대부분이다. 현대의 한국 가족의 모습은 숱한 외세의 침략과 정치적 격변 시기 등을 겪으면서 형성된 급진적인 변화로 인해 전통적인 가족의 모습과는 분명히 상이한 점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족이라는 것은 국가와 시대를 막론하고 개인의 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대해 강유진(2014)은 부모가 자녀교육에 헌신하고 삶에 있어서 가족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가치관은 현대 가족 안에서도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고 말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위인의 생애에 나타난 가족의 레질리언스를 분석하여 현재 우리나라가 처해 있는 가정해체 상황에서 벗어나 건강한 가정 만들기와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한 교육의 지표로 삼고자 한다.

정민자와 윤경원(2016)의 연구에 의하면 2014년∼2016년 우리나라의 위인전집 출판 동향 분석 결과 최다횟수인 10회 이상 등장한 한국의 위인은 총 7명(남 6명, 여1명)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 신사임당은 전인적인 가족주의를 실천한(하윤서, 2019) 어머니상으로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는 조선의 대학자인 율곡을 비롯한 7남매를 모두 훌륭하게 교육시키고 남편을 잘 보필하였으며 부모에게 지극한 효도를 다한 현모양처이면서 동시에 독립적인 인간으로서의 삶을 개척했었던 인물이다. 외조부모와 부모 등 3대가 함께 거주하는 가정환경에서 성장하면서 사임당은 타고난 재능과 기량을 발전시킬 수 있었고 가족의 레질리언스가 그 바탕이 되었다. 신사임당은 자상하고 지혜로운 외조부모, 강직한 아버지, 자애로운 어머니의 지지와 사랑을 받으며 성장하였고 그것은 신사임당의 일생에 걸쳐 어려움에 부닥쳤을 때 극복하는 힘이 되었다. 신사임당의 그러한 경험은 자녀들의 교육으로 이어져 율곡이라는 위대한 인물을 배출하는 등 대대로 이어지는 명문가가 될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위인들 가운데에서 가족이나 자녀교육과 관련하여 공적인 결과를 낳았고 우리나라 국민들이 익히 알고 있다는 점에서 사임당 자신은 물론이고 그 가족 또한 현재의 우리에게 표상이 될 수 있다고 보여 사임당을 본 연구의 대상인물로 선정하였다. 한국은행은 2007년에 신사임당을 화폐의 인물로 선정하였는데 우리 사회의 “양성평등의식 제고와 여성의 사회참여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문화를 중시하는 시대정신을 반영하며, 자녀의 재능을 살린 교육적 성취를 통해 교육과 가정의 중요성을 환기하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하였다(문소영, 2007). 그 이후 그동안 현모양처의 표상으로만 보아왔던 신사임당을 재평가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나타나고 있다. 유정은(2016)은 ‘사임당평전’에서 현모양처가 아닌 한 개인으로서의 사임당을 스스로 빛났던 예술가로 평가하였으며, 정옥자(2016)의 ‘사임당전’, 임해리(2015)의 ‘사임당’, 고연희 외(2016)의 ‘신사임당, 그녀를 위한 변명’에서도 현모양처라는 남성 중심의 평가에서 벗어나 재능있고 독립적인 개인으로서 사임당의 진면목을 묘사하고 있다. 또한 조선의 위대한 학자인 율곡 이이를 길러낸 사임당의 자녀교육법에 대한 평가도 새롭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녀는 자녀들에게 인생의 뜻을 세워 살도록 가르치면서 스스로도 자기 계발과 성장을 멈추지 않는 실천을 보였던 현명한 여성이었다. 사임당의 생애에는 현대사회에서와 유사한 한 부모 가정, 조손 가정, 직장으로 인한 별거 가정, 맞벌이 가정 등의 가족생활 형태가 나타났지만(김지현, 2018) 평등하고 민주적인 관계와 가족의 힘으로 작동하는 가족 레질리언스의 특성이 존재함으로써 오늘날 우리에게 건강한 가족의 모델을 보여주고 있다. 가정 내에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었으나 원가족과 방위 가족은 그 어려움을 지혜롭게 극복하였으며 신사임당 자신과 그의 자녀들이 훌륭히 성장할 수 있게 한 가족 레질리언스가 존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신사임당이 좋은 부모로서 모델이 될 수 있었던 성장 배경인 가정환경, 부부 관계, 부모-자녀 관계, 사건에 대처하는 사임당의 긍정성 등은 어떻게 형성될 수 있었는지, 한 인간의 삶에서 가정환경과 맥락, 시공간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서로 연계되어 있으며, 그 과정에서 가족의 힘(가족 레질리언스)이 어떻게 긍정적으로 작동하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그것을 통해 건강한 가족 만들기와 좋은 부모가 될 수 있는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신사임당의 생애를 통해 가족의 레질리언스는 어떻게 나타났는지, 그리고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에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 연구 문제 - “신사임당의 생애에서 가족의 레질리언스는 어떻게 나타났고,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가?”

2. 용어의 정의

1) 원가족: 한 개인이 태어나고 자라는 동안 심리적, 정서적, 사회으로 소속감을 느끼는 가족으로, 개인이 결혼을 통해 독립하여 새로운 가족을 이루기 전까지 사회, 심리, 정서적인 소속감을 갖는 가족을 의미한다(이종원, 2002).

2) 방위 가족: 개인이 성장한 후 원가족에서 독립하고 결혼하여 이뤄진 가족을 지칭하며, 가족상담 분야에서 사용되는 개념이다.

3) 가족 레질리언스: 가족 탄력성, 가족 회복력 등으로 표현되며 가족이 어려운 상황이나 스트레스 상황이 닥쳤을 때 회피하지 않으며 잘 적응하고 극복하여 성장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Walsh(2002)의 이론은 신념체계와 조직 유형, 의사소통과정의 세 가지 핵심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Ⅱ. 이론적 배경

1. 신사임당의 시대적 상황과 가정환경

1) 시대적 상황

조선은 이성계(1335∼1408)를 중심으로 한 신흥사대부 계층에 의하여 1392년 건국되었다. 새 왕조는 유교적 정치를 근간으로 하고 불교를 억압하는 숭유억불 정책을 펼쳤다. 조선의 국시였던 유교의 핵심 이념은 예제, 종법, 삼강오륜이다. 그중 삼강오륜은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의 삼강과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의 오륜으로 이루어져 있다(배영동, 2014). 삼강오륜의 덕목 가운데 부부유별은 여성들의 삶과 가장 관계가 깊은 덕목이다 . 삼강의 부위부강이 남성과 여성의 역할 구분에 있어 수평적인 개념을 가졌었던 것이 삼강과 오륜이 합쳐져 남녀의 구별을 수직적이고 종속적인 개념으로 해석함으로써 삼종지도와 칠거지악이라는 악습을 낳게 되었다. 그러나 사임당이 살았던 조선 중기는 아직 성리학적인 사회질서가 자리 잡지 못하여 남성과 여성의 지위가 비교적 대등하던 시대였다(조은숙, 2021). 또한 혼인하고 신랑이 신붓집에서 사는 처가살이인 남귀여가혼(男歸女家婚) 풍속이 보편화되어 있었다(이남희, 2011). 사임당이 혼인 후에도 16년이라는 기간 동안 친정에서 지낼 수 있었던 것은 사임당에게 남자 형제가 없었던 이유도 있지만 이러한 풍속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재산상속은 자녀 균분상속으로 남녀의 차별이 없었으며 여성이 친가에서 물려받은 재산은 혼인 후에도 시가나 남편의 재산으로 귀속되지 않고 자신이 소유할 수 있었다. 제사 문제에서도 조선 전기에는 여성의 권한이 존재하고 있어서 여성도 제사에 참석할 수 있었음은 물론이고, 남자 형제가 없을 때는 제사를 전담할 수도 있었다(천화숙, 2006). 그러나 조선 중기인 16세기 이후 성리학이차츰 조선의 통치이념으로 자리 잡히면서 가정내에서와 사회에서의 여성의 지위는 갈수록 낮아지기 시작했다. 조선시대에 여성은 교육의 대상이 아니었고 여성이 해야 할 중요한 임무는 결혼해서 아들을 낳아 가문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과 남편을 극진히 받드는 일, 그리고 남편 조상의 제사를 지내는 일 등 남성에게 헌신하는 것이었다. 고려사회에서 남성과 동등한 자유와 권리를 누렸던 여성들의 위상은 조선 사회의 유교화와 더불어 조선 후기로 갈수록 하락하기 시작하였다(이남희, 2011).

2) 가정환경

(1) 성장기

사임당은 1504년(연산군 10년) 음력 10월 29일 외가인 강원도 강릉 북평촌에서 아버지 신명화(1476∼1522)와 어머니 용인 이씨(1480∼1569) 슬하의 둘째 딸로 태어났다. 사임당의 집안은 외조모 최씨와 어머니 용인 이씨, 사임당까지 3대가 혼인 후에도 친정살이를 하였다. 아버지 신명화는 평산 신씨로 영월군수를 지낸 신숙권의 아들이며 고려의 개국공신인 신숭겸의 18세 손이다. 그는 천성이 순박하고 지조가 굳세어 어려서부터 선악으로 자신의 권계를 삼았으며 성인이 되어서는 예에 어긋나게 행동하지 않았고 신의를 중시했다.1)

벼슬에는 뜻이 없어 41세까지 과거에 응시하지 않다가 뒤늦게 진사에 올랐으나 그 후에도 벼슬을 사양하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어머니 이씨 부인의 본관은 용인이며 생원 이사온의 외동딸이다. 이사온이 당시 강릉 사람으로 참판을 지낸 최응현의 딸과 결혼하여 낳은 딸이다. 무남독녀로 사랑을 받으며 자란 이씨 부인은 성품이 천성적으로 깨끗하고 행동은 침착하였으며 효행이 지극하였다. 어려서 외가인 강릉에서 살다가 신명화와 혼인한 후에는 서울로 가서 시부모를 모시고 살았다. 그러나 친정어머니 최씨가 병환을 앓게 되자 모친의 간병을 위해 친정인 강릉으로 돌아와 친정어머니를 극진하게 돌보아 동네에서 칭찬이 자자하였다. 이씨 부인은 남편에 대한 정성 또한 극진하였다고 손자인 율곡은 ‘이씨감천기’에 기록하였다.

사임당의 일생을 살펴보면 아버지로부터 선비로서의 학식과 강직한 기질을, 어머니에게서는 따뜻하고 인자한 성품을 물려받았음을 알 수 있다(김지현, 2018). 사임당의 아들인 율곡이 남긴 기록에 의하면 사임당의 아버지 신명화와 어머니 이씨 부인 외에 외조부인 이사온과 외조모 최씨도 상당한 학식과 교양을 갖추었던 인물들로서 사임당에게 좋은 영향을 끼쳤다. 사임당은 아름다운 용모와 어진 성품을 갖추었으며 총명하여 학문과 글씨, 그림, 바느질과 자수에 이르기까지 못하는 것이 없었다. 7세 때부터 스승의 가르침 없이 당시의 유명한 화가였던 안견의 산수화를 교과서 삼아 스스로 그림 공부에 열중하였다. 여자에게는 이름조차 제대로 주어지지 않던 시대에 사임당은 어린 나이에 자신이 나아갈 바를 세우고 사임당이라는 호를 지었다. 사임(師任)에서 사는 본받는다는 뜻이며 임은 고대 중국 문왕의 어머니 태임을 뜻하는 것이니 이는 문왕의 어머니인 태임을 본받아 살겠다는 것을 의미한다(이은상, 1994). 태임은 주나라 문왕의 어머니로 현명함과 엄격함, 지혜로움과 의로움, 자애로움을 갖춘 여성으로 존경받는 인물이다. 열아홉 살에 이원수 공과 결혼하기 전까지 사임당은 유복한 가정에서 외조부모와 부모님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경서를 읽고 학문을 닦았으며 그림을 그리는 등 예술적 도 재능도 마음껏 펼칠 수 있었다. 이은상(1994)은 ‘사임당의 생애와 예술’에서 “외조부 이사온의 학문과 어머니 이 씨의 덕행, 아버지 신명화의 엄격한 훈계 밑에서 여자의 갖추어야 할 근본 교양과 자품(資稟)을 길러 장차 현부인이 될 기초를 마련했던 것을 더 높이 평가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2) 결혼 이후

사임당은 혼인 후에도 바로 서울의 시가로 가지 않고 친정인 강릉에 머물렀다. 아버지 신명화에게는 아들이 없이 딸만 다섯이었는데 그중에서도 둘째 딸 사임당은 평생 곁에 두고 아끼고 싶은 딸이라 사위 이원수에게 처가살이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렇게 애지중지하던 딸을 결혼시킨 후 얼마 되지 않아 신명화는 1522년 11월 7일에 47세로 세상을 떠났다. 아들도 없이 홀로 남은 어머니를 두고 친정을 떠나려니 차마 발이 안 떨어지던 사임당은 돌아가신 아버지의 3년 상을 3년 상을 치르기 위해 친정에 머물렀고 이후에도 홀로 남은 어머니를 보살피기 위해 37세까지 17년 동안 서울과 강릉 왕래하며 생활하였다. 33세 되던 해에 강릉 오죽헌에서 셋째 아들을 출산하였는데 이 셋째 아들이 훗날 조선의 성인이며 정치가, 대학자가 된 율곡이다. 서울과 강릉을 오고가며 그사이 거의 2년 터울로 세 아이를 출산하며 쇠약해진 사임당은 37세에 큰 병을 얻어 자리에 누웠다. 연이은 출산과 수유, 친정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어려운 집안 살림살이에 대한 책임감, 집안 형편은 아랑곳하지 않고 밖으로만 나도는 남편에 대한 걱정과 밤낮으로 바느질과 자수를 놓아 집안 살림에 보탬이 되어야 하는 등 사임당은 여러 가지 면에서 힘겨운 시기를 지나게 되었다.

강릉과 서울로 오가며 친정어머니를 돌보던 사임당은 시어머니 홍씨가 연로하여 더 이상 혼자 생활하기 어려워져 38세 되던 해에 강릉에서 완전히 떠나 서울에서 시댁 살림을 전담하였다. 그때 친정어머니 이씨 부인의 나이는 62세로 강릉에 홀로 남겨졌다. 서울 시댁에서 올라와 생활하면서 친정어머니에 대한 걱정으로 잠 못 이루었지만 사임당은 시어머니를 정성을 다해 모셨다. 서울로 온 이듬해에 넷째아들이자 막내아들인 우를 낳았는데 우는 맏딸인 매창과 더불어 사임당의 예술적 재능을 물려받아 거문고 연주에도 능하고 뛰어난 그림과 글씨 등의 작품들을 남겼다. 사임당은 자녀들을 교육하면서 학문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삶에서 실례를 보여줌으로써 실천적인 교육에 힘썼다. 삶이나 학문에 있어서나 스스로의 뜻을 세우는 것을 소중하게 여겨 자녀들에게 개성에 맞는 뜻을 세워 살 것을 장려했다 사임당의 이러한 입지(立志)에 대한 교육은 자녀들에게 있어 평생의 중요한 지침이 되었다(천화숙, 2006).

남편인 이원수는 아내의 탁월한 학식과 기품을 존경하였으며 자신이 모르는 것에 대해 부인에게 묻고 배우는 등 타고난 심성은 권위적이지 않은 사람이었다. 사임당은 남편의 뜻에 무조건 순종하지는 않았고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바를 주저 없이 주장할 수 있는 아내였다. 사임당의 나이 47세에 남편 이원수는 수운판관이라는 하급 벼슬을 하게 되었다. 수운판관은 나라에 세금으로 바치는 곡식을 서울로 옮기는 선박 관련 업무를 관리하는 일이었다. 이 관직으로 인해 이듬해에 사임당 일가는 관사가 있는 삼청동으로 이사하였다.2) 이원수가 장남 선과 셋째아들 이를 데리고 출장을 간 사이에 사임당은 병이 들어 자리에 누운 지 3일 만인 1551년 5월 17일 새벽에 별세하였다. 사임당은 파주 두문리 자운산의 덕수 이씨 문중 마을에 묻혔으며 아들 이이의 업적으로 후에 정경부인에 추증되었다.

2. 가족 레질리언스

레질리언스(resilience)의 사전적 의미는 ‘환경 시스템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여 복구 불가능한 상태로의 전환을 막는 능력’이라는 개념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인간이 위기나 역경의 상황에서 변화에 대한 희망을 잃지 않고 자신의 강점을 발현함으로써 역경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한다(김지현, 2018). Walsh(2002)의 이론에 따르면 레질리언스의 특성은 ‘역경이 있음에도 불구하고’가 아니라, ‘역경을 통하여’ 형성된다.

가족 레질리언스는 가족이 지닌 오뚝이와 같은 탄력성, 유연성 또는 회복력의 개념으로, 어려움이 닥쳐도 본래의 기능 수준으로 다시 회복될 수 있는 능력이며,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잃어버린 능력을 회복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의미한다(정민자, 2016). Walsh(2002)는 “가족 레질리언스’라는 용어는 기능적 단위로서의 가족 안에서 경험하는 대처와 적응의 과정을 의미한다”고 정의하였고, Hawley와 De Haan(1996)은 가족 레질리언스가 강한 가족은 어려운 상황이 닥쳐도 그것에 저항하여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서 다시 시작할 수 있는 능력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가족 레질리언스에 대해 여러 학자가 내린 정의에서 보이는 공통적인 특성들은 첫째, 가족의 강점과 탄력성은 위기에 닥쳤을 때 겉으로 드러나며, 둘째, 탄성의 속성이 있고, 셋째, 역기능적인 측면이 아니라 건강한 관점으로 가족을 조명한다는 개념을 가지고 있다. 가족 레질리언스는 가족에 대한 병리적인 관점이 아니라 긍정적인 강점 관점을 토대로 하고 있다(정수경, 2010). 모든 가족은 생애에 걸쳐 예기치 못한 사건을 경험하게 되며 이것은 가족이나 개인 구성원에게 커다란 스트레스 요인이 된다. 이러한 사건으로 가족기능의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가족도 있는 반면에(안양희, 2006), 어떤 가족은 사건을 경험하면서 가족기능이 더욱 강해지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가족 레질리언스는 가족에게 가장 어려운 시기는 곧 발전할 수 있는 시기를 의미하며, 역경을 피하지 않고 그 상황에 맞서기 위해 가족 구성원이 가진 강점을 이용하여 역경을 극복함으로써 이전보다 훨씬 강해지고 성장해 가는 것을 뜻한다.

3. 원가족 경험

개인이 출생하여 접하게 되는 최초의 환경은 가정이다. 인간은 생에 있어서 두 가지의 가족을 경험하게 된다. 첫 번째 가족은 태어나서 처음 맞게 되는 부모(양육자)와 형제 등으로 형성된 원가족이다. 원가족이란 한 개인이 태어나면서부터 성인이 되기까지 사회적, 심리적, 정서적으로 소속감을 가지는 가족(이종원, 2002)을 의미한다. 자녀는 성인이 되어 결혼하고 독립하여 새로운 가족을 이루기 전까지 원가족에 소속감을 갖는다. 성장기에 원가족에서 경험한 것은 평생에 걸쳐 한 개인의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두 번째 가족은 개인이 성장하여 원가족으로부터 독립하고 결혼으로 형성하게 되는 가족으로 방위가족이라고 한다. 새로운 가족을 이룬 개인은 자신의 원가족에서 경험한 정서나 태도, 관계, 기대 또는 행동양식을 자기가 이룬 가족에 그대로 적용하여 부모로서 기능하게 된다(은종숙, 2013). 어린 시절 원가족에서 경험한 부모의 양육형태는 자신의 자녀를 양육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며 건강한 원가족에서 성장한 개인은 성인이 되어서도 건강한 정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김순기, 2001). 원가족에서의 상호작용 경험은 결혼 후 현재의 가족관계에서 재현되거나(Gavin & Wamboldt, 1992, 송정애, 2018에서 ‘재인용’) 대물림되어, 부정적인 가족관계 속에서 가정폭력을 겪으며 성장기를 보낸 개인이 부모가 되어서 다시 자신의 가족에게 가정폭력을 되풀이하는 경우가 종종 나타난다. 반면, 바람직한 원가족 경험을 가진 부모는 가정에서 자녀를 통제하거나 권위적인 형태의 상호작용을 하지 않고 자녀의 자율성 발달을 위해 조력하며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한다(Anderson & Sabatelli, 1991, 1992, 송정애, 2018에서 ‘재인용’). 이처럼 원가족의 영향력은 개인에게서 끝나지 않고 삶 전체에 스며 결혼으로 이룬 자신의 가족에게까지 지속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Hovestadt, Anderson, Piercy, Cochran, & Fine, 1985, 이종원, 2002에서 ‘재인용’).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결국 새롭게 이루어진 방위가족 구성원들이 상호작용하는 유형은 부모들의 성장기 원가족 시기에 형성되었던 것이 다시 되풀이되는 것이고, 원가족이 여러 측면으로 방위가족 부부에게 영향을 미치며 심지어 부부의 결혼 만족도나 부부 갈등과도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독립한 자녀에게 미치는 원가족의 영향력은 어느 나라 보다 더 강하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는 혈연관계나 집단주의적인 성향이 강하여, 결혼한 자녀라고 하더라도 정서적이나 심리적인 면으로는 확대가족의 경계 안에 위치하고, 가족관계에서도 부부 관계보다 부모와 자녀 관계가 더 중요하다는 사고가 아직도 지배적이다. 원가족은 성인이 된 자녀가 결혼으로 이룬 가족에게도 큰 영향력을 행사하려 하고, 자녀 가족 또한 원가족으로부터 자유롭기를 원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원가족에게 의존하며 독립하지 못하고 있다. 원가족의 정서체계 전이를 지지하는 학자들은 원가족의 정서과정이 세대를 이어 전해지므로 역기능적인 정서체계의 전이가 반복되지 않도록 치료를 통해 개인과 가족체계의 변화를 가져오고자 하였다(이종원, 2013). 원가족에서 있었던 역동적인 경험과 가족 간의 상호작용은 세대에서 세대로 이어짐으로써 개인의 정서적, 사회적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결혼생활의 만족과 적응, 갈등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원가족 경험은 개인의 건강한 정서와 상호작용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고 하겠다(장선웅 외, 2011).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신사임당은 우리 역사상 가장 사랑받는 여성 위인이면서도 동시에 왜곡된 이미지로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했던 면이 있다. 신사임당이라는 위인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 현황을 살펴보면 1980년대의 신사임당 연구는 ‘현모양처’라는 남성적 관점의 여성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이 시기의 연구는 특히 어머니로서의 덕행을 강조했다(정지선, 2015). 1990년대에 들어 신사임당 연구는 다소 줄어드는 양상을 나타냈다. 페미니즘 시각의 확산으로 이 시기에는 사임당을 뛰어난 예술적 재능을 지닌 존재로서의 여성으로 조망하는 연구가 이루어졌으며(정지선, 2015) 2000년대에 들어서야 현모양처라는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신사임당을 재평가하려는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그녀는 성공적인 업적을 이룬 한 여성에 머무르지 않고 독립적인 인간으로 살아가고자 스스로 뜻을 세웠고 그것을 실천하는 삶을 살았다. 자녀를 성공시키기 위해 자신의 삶을 포기하고 자녀의 교육에 모든 것을 걸었던 어머니가 아니라 자신이 귀감이 됨으로써 자녀들로 하여금 본받게 한 훌륭한 교육자이다. 율곡에게 사임당이라는 어머니가 없었다면 과연 역사적으로 훌륭한 평가를 받는 학자가 될 수 있었을까 하는 시각도 있다(손인수, 1995). 또한 그녀는 자연과 살아 있는 모든 것을 사랑하는 따뜻한 감수성과 높은 정서지능을 가진 사람이었이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사임당을 가장 친숙하고 본받고 싶은 위인으로 꼽고 있으며 사임당은 사후 5백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 우리 가까이에서 많이 회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대상자로서 신사임당을 선정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는 신사임당의 삶을 생애사적 관점으로 고찰하고 가족 레질리언스를 적용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한 질적연구이다. 내용분석이란 관심 변인이나 현상의 연구를 위하여 관찰이나 면접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대신 이미 산출된 자료를 분석하는 연구 방법이다(박휴용, 2014). 한 개인의 생애를 연구하기 위한 자료수집 방법은 연구 참여자와의 구술면담이나 연구 대상 집단과의 인터뷰를 통하여 수집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의 대상 인물인 사임당은 현재 생존하는 인물이 아니므로 문헌을 통한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질적 연구방법으로서의 문헌 분석은 20세기 초반부터 이루어졌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인 인류학자인 루스 베네딕트는 2차대전 후 ‘국화와 칼’이라는 연구서를 발표하였는데 이는 일본인의 국민성에 대한 연구로, 연구 당시에는 전쟁 중으로 일본 현지조사와 참여관찰이 불가능하였다. 그는 일본에 관한 문헌, 그림, 영화, 연설문과 미국에 거주하는 일본인과의 면담(김영천 외, 2015) 등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Thomas & znaniecki (1958)는 문헌 분석을 통해 폴란드 농민들의 미국 이민사를 연구하였고, 프랑스의 철학자 미셸 푸코(1973)는 한 살인사건의 재판과 관련된 각종 조서, 편지, 심문기록, 기사, 증언, 정신감정서 등의 문헌(김영천 외, 2015) 분석을 통해 사회제도를 비판하였다. 김영천 외(2015)에 따르면 문헌 중에서도 개인의 삶이 기록된 개인적 문서로는 일기나 편지, 회고록 또는 자서전 등이 포함된다. 사임당의 아들인 율곡 이이는 생전에 외조부모와 어머니에 관한 기록을 남겼는데 ‘율곡전서’에 그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율곡의 생애와 사상을 연구하는 율곡학회에서 발간한 ‘율곡학연구총서’에 수록된 ‘국역 율곡전서’를 기초자료로 하였으며 손인수의 ‘율곡사상의 이해’, 이은상의 ‘사임당의 생애와 율곡’ 등의 도서와 사임당의 생애와 예술관, 자녀교육 등을 연구한 선행논문, 신문기사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참고하고 인용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문헌을 바탕으로 사임당이 살았던 조선 중기 사회의 모습과 가족제도에 관하여 정리하고 사임당의 생애를 분석하였다. 사임당의 생애에 일어났던 가족 사건을 모으고 그중에서 특히 가족 레질리언스가 강하게 발현된 순간들을 추출하였다. 이 자료들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임당의 성장기와 결혼 이후로 나누었고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인 Walsh의 가족 레질리언스의 세 가지 핵심 요인인 신념 체계, 조직 유형, 의사소통 과정으로 가족 사건을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세 가지 핵심 요인으로 구분된 생애별 가족 사건을 핵심 요인에 속한 각각의 하위요소를 적용하여 세부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가족 레질리언스의 세 가지 핵심 요인과 그에 따른 요인별 하위요소에 대한 설명은 연구 결과에 항목별로 각각 기술하였다.


Ⅳ. 연구결과

1. 원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

1) 원가족의 신념체계

신념체계는 가족기능의 핵심으로 레질리언스의 강력한 힘이다. 위기에 처한 가족이 문제를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고,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가 하는 것은 위기를 극복하든지 또는 절망하고 포기하도록 하든지 서로 다른 결과를 가져오게 만든다(Walsh, 2002). 건강한 가족은 구성원들 간에 믿음과 신뢰를 갖고 서로 도와서 위기를 이겨낸다. 이 과정에서 가족이 지닌 종교와 영성, 초월적 신념은 삶에서 일어나는 고통을 이겨내는 힘이 된다. 가족의 신념 체계는 모든 가족 구성원이 공유하는 것은 아니지만 가족 집단이 기능적 단위로 역경을 극복하는데 영향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신념 체계는 사임당 외가 3대 가문 교육에 드러나 있듯이 역경에 대한 의미부여, 긍정적 시각, 초월과 영성의 세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역경에 대한 의미부여

가족은 위기를 통하여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데 가족의 기능이 위기 이전보다 약해지기도 하지만 오히려 이전보다 강해지는 경우도 있다(유순희, 2012). 역경에 맞닥친 가족은 서로를 원망하기도 하며 더러가족해체의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가족 레질리언스가 강한 가족은 이 역경을 전화위복의 기회로 경험하게 된다.

신사임당의 외조모 최씨가 1521년(중종 16년)에 별세하였다. 사임당의 아버지 신명화는 최씨가 강릉에 가려고 하던 길에 장모 최씨의 부음을 듣고 충격을 받아 음식도 먹지 못하고 기력이 쇠하여져 강릉까지 미쳐 가지 못하고 피를 토하고 쓰러졌다. 강릉에서 남편이 쓰러졌다는 소식을 들은 이씨 부인은 7일 내내 눈 한번 붙이지 않고 밤낮으로 기도를 하였다. 목욕으로 몸을 정갈하게 한 다음 가슴에 칼을 품고 남몰래 외증조부의 묘소에 가서 하늘을 향해 눈물로 호소하며 품고 있던 칼을 뽑아 자신의 왼손 가운데 손가락 두 마디를 스스로 끊었다. 이씨 부인이 이렇게 간절히 기도한 덕분인지 신명화는 곧 병에서 회복되었고 이 일은 조정에까지 알려져 후에 이씨 부인의 열녀 정각이 세워지기도 하였다.3)

(2) 긍정적 시각

역경을 통한 긍정적 시각이란 어려움이나 실패가 닥쳤을 때 이를 성장과 도전의 기회로 수용하며 용기와 희망의 관점을 갖는 것이다(서현실, 정민자, 2019).

이씨 부인은 중병에 걸린 남편 신명화를 정성을 다해 살려냈지만 신명화는 사임당을 혼인시킨 후 몇 개월 지나지 않아 47세(1522년)라는 많지 않은 나이로 갑자기 세상을 떠난다. 사임당은 혼자 남은 이씨 부인을 두고 서울로 갈 수가 없어 그 후 16년 동안 강릉과 서울을 오고가며 어머니를 보살핀다. 그렇게 이씨 부인을 보살펴주던 사임당마저 48세(1552년)라는 이른 나이에 병으로 세상을 떠나는 아픔을 겪게 된다. 이씨 부인은 사랑하는 남편과 둘째 딸을 잃은 슬픔 속에서도 좌절하지 않고 사임당의 자식들을 온갖 정성을 다해 보살피고 주위 사람들에게 덕행을 베푸는 삶을 살았다. 율곡은 이에 대해 “중년에 과부가 되시어 외로이 거상(居喪)하시니 선덕을 갚음이 길상(吉祥)이 아니어 천로가 어둡고 어두운 듯 하나 어둡다고 할 수 없으니 날로 사람들을 보살피고 계십니다”.4)라고 기록하였다.

(3) 초월과 영성

삶의 보다 큰 가치와 목적을 추구하는 것으로 삶에 있어서의 중요순위와 평가, 확인 등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깊은 철학적, 심리적, 정치적 확신과 같은 이념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현실에서 변화시킬 수 없는 상황을 수용할 수 있게 한다(Walsh, 2002).

사임당의 아버지 신명화는 철저한 원칙주의자였다. 그는 도덕에 관한 한 자신에게 엄격한 사람이었고 타인에게도 높은 기준을 가지고 있었다. 율곡의 기록에 따르면 “그는 남과 사귈 때 말이 반드시 신의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하루는 장인인 이사온이 친구와의 약속을 못 지키게 되자 사위인 신명화에게 ‘몸이 아파 약속을 못 지키겠다’는 핑계의 편지를 대신 써달라고 하였으나 신명화는 비록 장인의 부탁이지만 진실이 아닌 말은 쓸 수 없노라고 끝까지 거부하였다.5)

2) 원가족의 조직유형

가족은 위기가 닥쳤을 때 그것을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 내외부의 모든 자원을 동원하고, 스트레스를 중재하며, 변화에 맞춰 재조직하여야 한다. 가족의 조직유형은 관계의 정의, 행동 규제, 내적/외적 규범의 유지, 문화, 가족의 신념 체계에 의해 강화된다. 이러한 가족기능의 조직유형은 융통성과 연결성, 사회 및 경제적 자원의 3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1) 융통성

융통성은 안정성과 변화의 균형에 그 초점이 있다(Walsh, 2002). 가족은 안정성과 변화의 역동적인 균형으로 환경적 요구에 반응하여 변화를 허용하는 안정적인 가족구조를 유지한다. 융통성은 가족 생활주기에서 중요한 전환점이면서 혼란의 시기에 중요하며 가족 내 구성원의 역할 변화와 규칙에도 필요하다.

사임당이 점점 자라 혼기에 이르자 신명화는 마음이 무거웠다. 아버지에게는 세상 무엇보다 귀한 둘째 딸이지만 일단 혼인시키면 딸의 총기와 타고난 예술적 재능은 발휘되지 못하고 평범한 아녀자로 시댁과 남편의 뒷바라지로 일생을 보낼 것이 분명한 사실이다. 유교적 이념이 조선사회를 지배하기 시작하면서 여성의 예술적 재능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라는 인식이 생기게 되었고, 글을 짓고 그림을 그리는 것은 부덕(婦德)에 어긋난다며 스스로 재능을 포기하는 여성들도 나타났다(박지현, 2007). 이러한 상황에서 부유한 명문가에 시집을 보낸다면 남보기야 그럴듯하겠지만 진정으로 딸이 자신의 재능을 마음껏 발휘하며 사는 것은 포기해야 한다. 고민 끝에 그는 덕수 이씨 가문의 이원수를 둘째 사위로 들이기로 결정한다. 이원수는 명문 덕수 이씨 가문의 자손이지만 그의 윗대로 4대째 변변한 벼슬을 못 한 몰락한 가문의 자손이었다. 더구나 6세에 아버지를 여의어 벼슬도 못 한 채 홀어머니와 어렵게 살고 있었다(이은상, 1994). 사임당의 집안으로서는 견줄만한 집안은 못되지만 직계가족이 적어 시댁 뒷바라지를 힘들게 하지 않아도 되고 비교적 타인의 시선에서 자유로운 결혼생활을 할 수 있으리라 판단하였다. 게다가 시어머니가 될 홍씨 부인과 사윗감인 이원수 둘 다 원만한 성품을 지녔다니 반듯한 성품의 사임당이 특별히 마음고생하지 않아도 될듯싶었다. 사임당의 혼인 후 신명화는 사위 이원수에게 “내가 딸이 많은데 다른 딸은 시집을 가도 서운하지 않더니 그대의 처만은 내 곁을 떠나보내고 싶지 않다”6)고 말하였다. 그만큼 신사임당은 신명화에게 귀한 딸이었다. 부유하고 세도 있는 집안에 딸을 시집 보내고 싶은 것이 대부분 양반가의 풍습이었을 텐데 자신의 집안과 비교해 여러 가지 면에서 어려운 조건을 가진 이원수와 사임당을 혼인시킨 것은 파격적인 선택이었다. 사임당은 결혼 후에도 친정에 머무르면서 공부와 예술활동을 계속 할 수 있었고 남편 이원수도 사임당의 예술적 재능과 학식을 자랑스러워했다.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인 송시열(1607∼1689의 저서 ‘신부인화첩’에서 ‘남편 이원수는 신사임당의 재능을 사람들에게 보이고 싶어했다’고 기록되어 있다(이은상, 1994).

(2) 연결성

가족 구성원 서로에 대한 정서적 연대감을 의미하며 연합, 상호지지, 분리와 상호협력, 자율성이 균형을 이루게 한다(Walsh, 2002). 건강한 가족의 구성원들은 분화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상호 연결되어 있다. 독립적이면서 지지적인 가족은 상당한 정서적 분리가 있을 수 있지만(Walsh, 2002), 구성원들 간의 차이를 존중하면서 위기 시에는 서로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상호지지하며 역경을 극복하게 된다.

사임당의 부모인 신명화와 이씨 부인은 신명화의 본가인 서울에서 시부모를 모시고 살다가 친정어머니가 병을 앓게 되자 이씨 부인은 어머니의 병 간호를 위해 친정인 강릉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그런 이유로 부부는 16년간 서울과 강릉에서 떨어져 지내면서 신명화가 가끔 강릉에 내려가 함께 지내고는 했다.7) 이씨 부인은 비록 친정에서 지내고 있었지만 시댁과 남편에 대한 정성은 지극하였다. 이처럼 부부가 오랜 시간 떨어져 지냈지만 “진사는 몸을 신칙하고 지조가 있어 도의에 어긋나는 일은 하지 않았다. (중략) 이씨는 현부였으므로, 두 아름다운 이가 서로 합하여 예경이 갖추어 극진하였다.”8)라고 율곡은 외조모 이씨 부인의 제문에 적고 있다. 이런 기록들은 두 사람 모두 성숙한 인격을 지녔고 서로에 대한 신뢰가 깊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3) 사회 및 경제적 자원

가족 외부의 자원을 동원하고 활용하는 것으로 친지나 확대가족까지를 포함하여 지역사회 내에서 지지망을 확립하는 것을 의미하며(홍정애, 2007) 가족이 위기의 상황에서 내적⋅외적인 환경 자원을 얼마만큼 잘 조직하고 있는지와 관련이 있다.

16세기 조선 사회에서 여성이 혼인 후에도 친정살이하는 것이 드문 일은 아니었지만 사임당의 경우는 조금 더 특별하였다. 외조모와 어머니, 사임당에 이르기까지 3대에 걸쳐 혼인 후에도 친정에서 살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 사임당은 외조부 이사온과 아버지 신명화의 사랑을 받으며 학문적 소양을 쌓을 수 있었고 외조모와 어머니에게서는 부덕과 효행, 현모로서의 모습을 배울 수 있었다(주영애, 2014). 외조부 이사온은 학식이 높은 분으로 사임당에게 학문을 가르쳤으며 외조모 최씨는 명망 높은 참판 댁의 딸로서 사임당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어머니 이씨 부인은 그런 부모 밑에서 좋은 가정교육을 받고 성장하여 성품이 온화하고 차분하였으며 딸들의 교육에도 헌신적이었다. 이처럼 사랑이 넘치는 좋은 가정환경 속에서 사임당은 교육을 받았고 또한 경제적으로도 여유가 있었다. 물자가 풍부하지 못했던 16세기 당시에 사임당이 마음껏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먹과 물감, 종이 등의 물품을 지원해주고, 당시 유명한 화가였던 안견의 그림을 아버지 신명화가 구해다 준 것은 사임당에 대한 지극한 사랑과 함께 재력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3) 원가족의 의사소통과정

의사소통과정은 큰 의미에서 사회⋅경제적, 실제적, 도구적 문제의 해결을 포함하는 정보의 교환이라고 정의내릴 수 있다(Walsh, 2002). 가족이 정서적 유대감과 소속감을 느끼기 위해 명료하고 개방적, 수용적인 의사소통은 일상의 가족 기능에서도 꼭 필요한 것이며, 위기상황에서는 상황에 대한 분명한 정보 공유와 정서적 유대감이 역경을 이겨내는 필수적인 요건이 된다. 의사소통과정의 3가지 하위요소는 명료성, 개방적 정서 표현, 상호협력적 문제해결이다.

(1) 명료성

명확하고 일관성 있는 언어와 행동을 의미하며 불분명한 정보를 분명하게 전달하는 것을 뜻한다. 위기의 순간에 스트레스 상황에 대해 명료화하는 것은 도움이 된다. 가족 구성원들 상호 간의 진실의 공유와 정보 교환은 위기에 대처하고 정신적 외상을 치료하기 위한 꼭 필요한 과정이다.

조선 중기는 성리학에 바탕을 둔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삼은 남존여비 사상이 점차 뿌리 내리던 시대였다. 하지만 그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도 사임당의 아버지 신명화와 어머니 이씨 부인은 수직적 관계가 아닌 비교적 평등한 관계를 이루었다. 이씨 부인은 서울에서 살다가 친정어머니 병환을 간호하기 위해 친정인 강릉으로 돌아갔다. 사임당의 아버지 신명화는 친정으로 다니러 간 이씨 부인이 오랫동안 올라오지 않자 강릉으로 내려간다. 신명화로서는 자신의 어머니도 병환으로 누워 계시니 친정에 가서 돌아오지 않는 부인을 마냥 내버려 둘 수만은 없었다. 이씨 부인도 시어머니가 병중인 것은 알지만 자신이 서울로 올라가면 늙으신 부모님 두 분이 힘들게 지낼 것이 분명하므로 차마 발길이 떨어지지 않았다. 이에 남편을 향하여 “결혼한 여자로서 해야 할 도리는 알고 있지만 자식으로서 해야 할 도리 또한 중요하니 부부가 각자 자기 부모를 봉양하여 효를 다하는 것 또한 옳은 일이 아니겠느냐”고 자신의 의중을 남편에게 이야기한다.9) 여성이 존중받지 못하던 시대에 이씨 부인의 제안은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도 선뜻하기 어려운 주장이 아닌가 한다. 갈등의 상황에서 자신의 감정을 감추려고 하거나 상대방을 비난하지 않고 상대의 입장을 충분히 공감하면서 자기 뜻을 정확하게 전달하고 있다.

(2) 개방적인 정서표현

가족 구성원들이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서로의 견해차를 이해하고 수용하며 사랑, 감사, 존중 등의 긍정적인 감정 표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뜻한다(홍정애, 2007).

신사임당은 유년 시절부터 경전을 읽었고 글도 잘 지었으며 그림에까지 뛰어난 솜씨를 보였다. 당시는 양반 가문에서조차 여자에게는 가정 내적인 역할수행에 필요한 부덕과 범절의 교육(천화숙, 2006)은 있어야 하지만 그 이상의 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인정하지 않았다. 더구나 그림 그리는 사람을 환쟁이라며 천시하는 풍조가 만연했던 시대였으니 그런 사회에서 계집아이가 글을 배워 경전을 읽고 시를 쓰며 그림을 그린다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었다. 아무리 뛰어난 지성과 풍부한 예술적 감성, 비범한 재능을 가졌더라도 숨기고 살수 밖에 없는 노릇이었다. 그러나 사임당의 외조부모와 부모는 사임당의 비범함을 외면하지 않고 수용하며 천부적인 재능을 마음껏 펼칠 수 있도록 그 당시 딸로서, 여자로서 받을 수 있는 절대적인 지원과 지지를 아끼지 않았다. 이러한 가정환경 속에서 사임당은 마음껏 경전을 읽고 예술적 재능을 발휘하며 여자의 한계를 넘어 군자로서의 꿈을 키울 수 있었다.

(3) 상호협력적 문제해결

갑작스러운 위기를 다루는 데 있어 효과적 문제 해결 과정은 필수적인 가족기능이다. 갈등을 잘 다룰 수 있는 능력은 탄력적인 가족을 구별할 수 있는 특성이다. 이것은 개방적인 견해차에 대한 관용을 요구한다 (Walsh, 2002).

시댁과 친정 부모님을 모두 보살펴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서 각자 자신의 부모님을 모시는 것이 어떻겠느냐는 이씨 부인의 호소에 남편 신명화도 감동하여 부인의 제안을 받아들였다.10)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한 사람에게 일방적으로 희생을 강요하지 않고 현실적인 방법을 도출해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이다. 무려 5백여 년 전의 모습인데 평등한 부부 관계를 이루고 당면한 문제를 민주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지금의 우리가 지향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렇게 자기 의사를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고 그것이 받아들여지는 가정환경에서 자란 사임당은 결혼생활과 자녀교육에서 자신의 원가족 경험을 충분히 활용한 것으로 나타난다.

2. 방위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

1) 방위가족의 신념체계

(1) 역경에 대한 의미부여 : 위기, 고통, 회복의 평가

사임당은 결혼 후에 자신의 학문적 수준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남편, 유유자적하고 놀기 좋아하며 집안의 어려운 형편은 나 몰라라 하는 남편을 대신해 가정의 경제까지 책임져야 했다.11) 이때 일어난 삶의 공간적 이동은 사임당의 생애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그것은 강릉에서 서울로의 물리적 이동일뿐만 아니라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물질적으로 풍요로웠던 유년 시절과의 단절을 의미한다. 사임당은 자신의 힘으로 피할 수 없는 현실을 원망하고 한탄하기보다는 삶의 우선순위를 재정비하고 자신 앞에 놓여진 새로운 역할을 담담하게 받아들이고 현실에 최선을 다하였다.

(2) 긍정적 시각 : 삶에 대한 희망과 낙관적 관점의 유지

이 어려움의 시기는 사임당의 예술혼이 더 불타오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사임당은 강릉에 홀로 계시는어머니에 대한 걱정과 그리움, 어려운 집안 형편을 꾸리기 위해 생업이 되다시피 한 바느질과 자수를 하느라 잠 못 이루는 날이 많았다. 어린 남매들을 가르치고 살림하느라 바쁜 나날을 보내는 사임당은 시간을 쪼개가며 그림과 수를 놓는 일에 몰두하였다. 강릉에서의 생활과 비교하여 한없이 열악해진 현실과 친정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은 평생 사임당을 따라다녔다.12) 이때 사임당이 지은 시 중 ‘대관령을 넘으며 친정을 바라본다(踰大關嶺 望親庭)’, ‘어머님 그리워(思親)’, ‘낙귀(落句)’ 한 구절이 전해지고 있으며 서예 작품은 초서 6폭과 해서 1폭, 전서 2폭, 그림 20점, 자수 병풍 8폭(율곡학회, 2004)이 남겨져 있다. 신사임당과 동시대인 16세기 중반에 활동했던 ‘패관잡기’의 저자 어숙권은 “신씨의 산수화와 포도 그림은 매우 뛰어나 사람들은 그녀의 그림이 안견에 버금간다고 말한다(이성미, 2002, 박민자, 2005에서 ‘재인용’)”라고 기록하였다.

(3) 초월과 영성 : 삶의 보다 큰 가치와 목적을 추구함

사임당의 남편 이원수는 변변한 직업이 없었다. 그는 당시의 세도가인 인척 이기의 집에 벼슬자리라도 얻을까 하고 드나든 적이 있었다. 이기는 불의와 결탁하여 수많은 사람을 죽음으로 몰아넣은 인물이었다. 사임당은 이기의 인물됨을 들어 이원수가 그 집에 드나들지 말기를 적극적으로 권유하였다.13)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사임당의 이러한 정신은 아버지 신명화에게 물려받은 도덕적인 강직함과 의기심의 발현이었다. 사임당은 자녀들에게 “참되고 진실되게 살아가야 한다 ‘고 가르쳤으며(정문교, 1994) 아들인 율곡은 어머니의 가르침대로 삶을 살았다. 율곡은 저술한 ‘격몽요결’에서 “생각함에 거짓됨이 없는 것, 예가 아니면 보지도, 듣지도, 말하지도, 행하지도 않는 것, 남이 안 보는 곳에서도 드러난 곳에 있는 것처럼 행동하는 것”을 강조했고(이동인, 2014) 자신의 삶 속에서 충실히 실천했다.

2) 방위가족의 조직유형

(1) 융통성 : 변화능력

유교 사회에서 부모의 역할은 철저히 분리되어 있었다. 자녀의 교육은 아버지의 몫이고 어머니는 자녀의 양육자로 한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사임당의 남편 이원수는 가정에 관심이 없이 밖으로 나도는 것을 즐기는 사람이었고 따로 스승을 모실 만큼의 경제적 여건이 안 되는지라 사임당은 스스로 자녀들에게 학문을 가르치고 자녀들이 보는 앞에서 직접 그림 그리는 모습을 보여주는 등(유정은, 2019) 부모의 역할을 구분 하지 않고 현실에서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서 교육자 역할을 하였다. 어머니인 사임당에게서 교육을 받은(손인수, 1995) 율곡은 조선의 대학자로 명성을 날렸고 첫째 딸 매창은 조선을 대표하는 화가가 되었다. 막내아들 옥산은 거문고 연주자로 명성을 휘날렸으며 그 외에 장남과 차남 또한 높은 학식을 지녔으며 두 딸도 덕 있는 삶을 살았다.

(2) 연결성 : 리더십, 양육, 보호, 지도

사임당은 연로한 시어머니와 한량인 남편 대신 실질적인 가장 노릇을 할 수밖에 없었다.14) 사임당은 시집의 어려운 살림을 도맡아 했으며 밤새워 수를 놓거나 바느질을 해서 가계를 꾸려나갔다. 집안의 하인들을 부리는 일도 사임당의 몫이 되었지만 사임당은 자신에게 주어진 책임을 마다하지 않았다. 사임당의 리더십이 발휘되는 부분이다. 몸은 힘들고 집안 형편은 어려웠지만 사임당은 시어머니와 남편의 몫까지 대신하면서 평화롭게 집안을 이끌어 나갔다. 사임당의 그러한 모습을 보고 자란 율곡은 큰 형이 일찍 죽자 형수를 비롯한 100여 명의 종족(宗族)이 한곳에 모여 함께 살도록 하고 화목과 질서를 위한 규범인 동거계사(同居戒辭)를 짓는(이수진, 2007) 등 형제 중 3남이었음에도 형제와 일가친척을 보살피는 역할을 하였다.

(3) 사회 및 경제적 자원 : 확대된 친지와 지역사회 동원하기

신사임당이 현모양처로 떠받들어지고 율곡이 대학자로 존경받는 데 비해 남편 이원수는 비교적 덜 알려져 있다. 이원수는 쇠락한 가문의 자손으로 6세에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어머니 남양 홍씨와 단둘이 살아왔다. 이러한 환경에서 자란 이원수는 우유부단한 성격으로 학문에는 뜻이 없고 노는 것을 즐겼다(손인수, 1995). 이런 성격의 이원수가 자신보다 월등한 지성을 갖추고 군자처럼 엄격한 부인이 그다지 편하고 다정하게 느껴지지는 않았을 것이고 매사에 정도를 따지고 사리가 분명한 아내를 받들어 모시는 것이 힘에 겨웠다. 하지만 신사임당의 예술 활동은 남편 이원수의 배려가 없으면 불가능한 것이었다. 그녀가 수시로 강릉에 가서 홀로 계신 친정어머니를 뵙고 서울에 올라와서는 늙은 시어머니를 모시면서 7남매 자녀의 양육까지 혼자서 다해야 했다면 붓을 들고 그림이나 그릴 여유는 없었을 것이다.

사임당의 어머니 이씨 부인은 외손자인 율곡에게 자신과 남편 신명화의 제사를 지내달라는 조건을 붙여 서울에 있는 기와집 한 채와 전답을 주었다15)고 하니 당시로서도 상당한 재력이 있는 집안이었다. 이원수의 집안은 가난하였고 이원수도 직업이 없어서 어려운 살림살이였지만 사임당 원가족의 경제적 자원은 이처럼 결혼 이후 방위가족의 생활에도 영향을 주었다.

3) 방위가족의 의사소통 과정

(1) 명료성 : 명확하고 직접적이며 지속적인 메시지와 행동

사임당은 38세 되던 해에 서울로 올라와 시집의 살림을 맡게 되었다. 하루는 친척들이 모인 자리에서 여자 손님들이 다른 사람들의 험담과 신변잡기로 수다를 떨었지만 사임당은 말없이 앉아있었다. 이에 시어머니 홍씨 부인이 사임당에게 왜 대화에 섞이지 않는지 묻자 “여자는 문밖을 나가 본 적이 없어서 전혀 본 것이 없는데 무슨 말씀을 하오리까”라는 말로 공손하면서도 명확한 태도로 자기 의사를 표현한다.16) 사임당은 평소에 시어머니 홍 씨를 극진히 모시었지만,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것에 대해서는 진심을 숨기는 일은 하지 않았다. 어려서부터 부모님과 많은 대화를 나누며 자기 생각을 숨김없이 표현하고 그것이 수용되는 가정환경에서 자라온 사임당은 대화에서 상대방의 입장을 존중하면서도 자기 의사 또한 명료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2) 개방적인 의사표현 : 긍정적인 상호작용 조장하기

이원수에게는 권 씨라는 첩이 있었다. 권 씨의 행실이 좋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었던 사임당은 이원수에게 자신이 죽더라도 재혼은 절대 하지 말라고 당부하며 그 이유를 옛 성현들의 예를 들어 조목조목 설명해 주고 있다. 이원수는 자신이 모르는 것에 관해 부인인 사임당에게 묻는 것을 껄끄럽게 여기지 않았다. 고려시대의 풍속이 남아 있는 조선중기 사회라 여성의 지위가 높았다고는 하나 유교 사상을 통치이념으로 하는 조선 사회에서 이원수의 이런 태도는 일반적인 남성의 모습은 아니다. 사임당은 남편 이원수의 학문 수준과 인품이 자신과 같지 않음을 수용하고 있고 이원수 또한 학문의 수준과 인격이 자신보다 월등한 아내를 존경하고 아내의 말을 늘 귀담아들었다. 사임당의 부모님이 평등한 부부 관계를 이루었던 것처럼 사임당과 이원수 부부 또한 상하 관계가 아닌 수평적 관계를 유지하였다.

사임당의 업적 중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주목받는 부분은 자녀교육 방법이다. 어린 시절에 외조부모와 부모님에게 극진한 사랑과 가르침을 받았던 것처럼 사임당도 자녀들의 양육에 최선을 다하였다. 사임당은 자녀들에게 일방적인 가르침이나 훈시보다는 스스로 효를 실천하고 자기실현을 해나가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자녀들이 직접 보고 배우도록 하였다. 사임당의 실천적 교육 방법은 자녀들에게 그대로 전해져 7남매는 부모에게 효를 다하고 형제간의 우애는 무척 깊었다. 사임당은 평소에 태도는 조용하고 행동은 신중하였으며 말수가 적었다.17) 그는 스스로 날마다 글을 읽고 그림을 그리는 모습을 보여주어 자녀들이 본받게 하였다(율곡학회, 2004). 사임당의 자녀들이 자신의 타고난 재능을 발휘하여 가난 속에서도 행복한 삶을 살았고 부모에게 효도하였으며 형제간에 화목하게 지냈던 것은 사임당과 4남 3녀의 신뢰 관계가 돈독하였을 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졌음을 증명하고 있다.

(3) 상호협력적 문제해결 : 예방적 자세 취하기(문제 예방, 위기 전환)

결혼 전에 외조부모님과 부모님에게서 사랑과 보살핌을 듬뿍 받고 자란 사임당은 결혼 후 자기 자녀들에게 편애 없이 골고루 사랑을 베풀었고 그런 환경에서 자란 자녀들의 우애는 남달랐다. 사임당의 3남 율곡은 9살 때 중국 당나라의 장공예(578∼676)가 저술한 ‘이윤행실록’을 보고 크게 감동하여(손인수, 1995) 부모와 형제가 한 집에서 다 함께 사는 꿈을 가지게 되었고 결국 42세 되던 해에 일가친척과 식솔 100여 명을 모아 함께 살게 되었다. 하지만 많은 가족이 한 곳에 모여 산다는 것은 생각처럼 쉬운 일이 아니어서 크고 작은 다툼이 끊이지를 않았다. 율곡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①부모는 자식을 사랑하고, 자식은 부모에게 효도하며, ②남편은 아내에게 모범을 보이고, 아내는 남편을 공경하며, ③형은 아우를 사랑하고 아우는 형에게 순종하며, ④서로 간에 모자란 일이 있더라도 성내지 말 것이며, ⑤선행은 본받고, 불편함은 서로 참아야 한다. 이리하면 집안이 어찌 즐겁지 않겠는가. 이를 위해 각자 스스로 힘쓰는 것이 옳다.’18)라는 해결책을 마련하였다. 율곡은 둘째 형을 아버지를 모시듯 섬겼고 조카들을 친자식처럼 대했으며 명절에는 형과 동생, 조카들과 베개를 이어 함께 잠을 자고 동생 이우의 거문고 연주를 즐기는 등 형제간에 우애가 넘치는 삶을 살았다(이동인, 2014).

신사임당의 원가족과 방위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


Ⅴ. 결론과 제언

Walsh의 분류에 의한 가족 레질리언스의 세 가지 구성 요인별로 나타난 사임당의 가족 레질리언스 분석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념 체계에서 사임당 원가족의 신념 체계를 살펴보면 ‘역경에 대한 의미부여’ 면에서 사임당의 어머니 이씨 부인은 평소에 말이 없고 행동이 얌전하다고 묘사된 인물인데 남편 신명화의 중병을 낫게 하려고 자신의 손가락 두 마디를 끊고 정성스러운 기도를 드리는 여장부의 모습을 나타낸다. 역경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과 행동은 추후 신사임당의 신념 체계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출가 이후의 사임당에게는 공간적인 이동이 자주 일어났고 친정을 떠나 타지에서 지내게 되면서 정서적인 어려움도 많이 느꼈다. 모든 면에서 풍요로운 어린 시절을 보낸 사임당은 갑자기 많은 것을 책임져야 하는 현실 앞에서 잠시 망설였지만 낙담하고 비관하여 주저앉지 않았다. 그녀는 어려운 시기를 자기 발전의 기회로 승화시킨다. 이 시기에 사임당은 어머니를 그리워하며 지은 아름다운 시들과 예술작품들을 남긴다. 즉 역경 속에서 그 고통을 예술로 표현하였다. 오늘날의 주말 별거 부부 또는 맞벌이 부부에게 해당하는 가족생활임에도 불구하고 원가족에서 형성된 자신에 대한 신념과 높은 자제력을 통하여 양가의 유지 및 자녀 양육에 매진하는 강한 레질리언스가 작동했다고 볼 수 있다. ‘초월과 영성’ 면에서 아버지 신명화는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의로운 삶을 추구하였고 이것은 신사임당과 아들 율곡의 삶으로도 이어졌다.

둘째, 조직유형을 보면 사임당에게는 풍요로운 사회 및 경제적 자원들이 많았음을 알 수 있다. 성장기에는 학문적 경륜이 높고 자애로우며 아낌없는 사랑을 주었던 외조부모와 부모님이 계셨고 사임당의 감성을 발달시킨 아름다운 주변 환경과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종이와 물감을 공급할 수 있는 경제적 풍요로움에 이르기까지 최상의 자원을 갖추고 있었다. 출가 이후의 사회 및 경제적 자원을 보면 친정어머니 이씨 부인이 외손주인 율곡에게 자신의 제사를 부탁하며 집과 논밭을 물려주었는데 이는 경제적으로 궁핍한 딸을 위한 배려에서 나온 것이었다. 출가 전의 사회 및 경제적 자원이 풍부한 가정환경은 사임당의 훌륭한 가족 레질리언스로 평생 작동하는 원리이다. 또한 시어머니 홍씨 부인과 남편 이원수도 성품이 원만하여 사임당의 예술 활동에 제약을 가하지 않고 오히려 장려하였다. 남편인 이원수는 사임당이 학식이 높고 사리 분별이 올바른 점을 존경하고 늘 사임당의 의견을 존중하고 따랐다. 사임당의 출가 이후 가장 큰 사회⋅심리적 자원은 4남 3녀 자녀들이었다. 융통성 면에서 보면 아버지 신명화가 자신의 집안보다 부유하고 명망 있는 가문의 자제를 사위로 맞지 않고 홀어머니에 외아들로 벼슬도 못하고 경제적으로도 어려운 사위를 선택한 것은 딸이 혼인 후에도 시가의 눈치를 보지 않고 자유롭게 예술적 재능을 펼칠 수 있기를 고려한 선택이었으나 반면에 이에 따라 사임당은 바느질과 그림으로 생계를 유지해야 했던 어려움이 있었다. 그런 가운데 가족생활을 영위해가는 사임당의 일상생활의 융통성과 적응성은 향상된 점도 있다. 이는 4남 3녀를 양육하는 어머니로서의 삶에도 반영되었고 이에 따라 자녀들이 훌륭하게 성장하는 모델이 되었다. 특히 남편 이원수의 외도(권씨라는 첩) 상황, 시어머니의 봉양, 별거 생활, 맞벌이 가족의 삶, 친정어머니 봉양, 4남 3녀의 자녀 양육이라는 주제는 현재 우리나라 가족의 현실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런데도 신사임당이 자신을 잃지 않고 오히려 시대를 뛰어넘는 위대한 여성으로 존경받는 것은 이 모든 점을 기록하고 전했던 자녀(이율곡)들과 주위 지인의 수준들이 가족 레질리언스로 존재하여 가능한 일이었다.

셋째, 의사소통 과정 차원의 가족 레질리언스를 살펴보면 양성 평등적이고 민주적이며 솔선수범한 신사임당의 의사소통 능력과 패턴, 상호협력적 문제해결력이 뛰어났었다. 성장기 사임당의 가족 의사소통 과정에서 아버지 신명화와 어머니 이씨 부인의 대화를 보면 일방적, 지시적 대화가 아니고 자신의 의견을 충분히 표현하면서 상대방의 입장도 공감하고 있다. 어머니 이씨 부인은 자기 생각을 진솔하게 이야기하고 아버지 신명화는 가부장적 권위를 내세우지 않고 서로 타협할 수 있는 여지를 찾아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대화법은 가족에게 닥친 위기의 순간에 상호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 어려서부터 부모님의 평등한 관계와 합리적인 대화 모습을 보고 자란 사임당이기 때문에 출가 이후에도 가족 간의 의사소통은 잘 이루어졌다. 남편 이원수도 부인의 이러한 태도를 수용하였다고 하니 시대적 상황으로 볼 때 부부간의 의사소통 과정도 나쁘지 않았다. 사임당이 부모님의 그러한 모습을 보고 배웠듯이 사임당의 자녀들 역시 서로의 의견을 존중해 주는 부모의 모습을 귀감으로 삼았을 것이다. 신사임당의 의사소통과 상호협력적 문제해결 방식은 훗날 자녀들에게 귀감이 된 가족 규칙으로 기록되어 있다.

본 연구는 사임당의 생애에 나타난 가족의 레질리언스를 분석하여 건강한 가정 만들기와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한 교육의 지표로 삼고자 하는 연구이지만 한계점들이 있다. 첫째, 생존하는 인물이 아닌 문헌분석을 통한 연구이기 때문에 연구 참여자의 내러티브와 구술면담에서 얻을 수 있는 세밀하고 생생한 분석이 어렵다는 점이다. 또한, 사임당에 대한 대부분의 기록이 자녀와 지인들의 평가인 점을 감안하면 절대적으로 객관적일 수 없다는 것도 간과할 수 없다. 둘째, 시대성을 초월한 현명한 부모와 인성을 형성하는 요인들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를 살펴볼 때 현대의 부모 됨에 가치를 두는 것은 자료상 한계가 있다. 그렇지만 생애사를 중심으로 살펴볼 때 오히려 중세기의 조선 가족제도가 양성 평등적인 요소가 다분하고 처가살이를 하는 제도 등이 보편적으로 실행되는 생태환경이 있었다. 이 때문에 원가족에 딸만 있던 신사임당 가정에서 남녀 차별 없이 재능을 키워준 부모, 평등한 부부와 서로 존경하는 부부, 가족 레질리언스가 여러 면에서 충분한 가족 환경이 기본적으로 뒷받침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셋째, 현명한 부모 밑에서 훌륭한 자녀가 성장할 수 있다는 가설을 완전히 지지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한 인간의 성장과 생애에는 무수한 사건들과 요인들이 복잡하게 작용한다. 다만 신사임당의 생애사를 통하여 본 가족의 레질리언스 형성과 강력한 힘으로 작동한 요인들을 분석해 봄으로써 역경의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그에 대처하는 힘은 시대를 뛰어넘어 귀감이 된다는 것과 이것은 일부 자녀 성장의 기본 토양이 된다는 점을 나타내고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신사임당의 생애에 나타난 가족 사건들을 Walsh(2002)의 가족 레질리언스적 관점에서 보고 분석하였으나, 연구의 목적과 의도에 따라 동일한 사건에 대한 다른 연구자의 해석이 내려질 수도 있을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는 현존하지 않는 위인의 생애에 나타난 가족의 레질리언스에 관한 연구이다. 생애사 연구는 생존하는 인물을 대상으로 직접 면담과 관찰을 통하여 연구를 하고 있으나, 생존 인물이 아닌 위인에 관한 연구는 문헌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신사임당과 가족에 관련하여 검증된 문헌과 역사적 사실들을 조사하고 분석하는 작업을 거쳤으나 대상 인물과의 직접 면담을 통한 생생한 육성을 담을 수 없어 연구자의 관점으로 재해석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존하지 않는 위인의 생애에 나타난 가족 레질리언스를 문헌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시도를 했다는 점에 본 연구의 가치를 둘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이 후속 연구에 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위인들의 생애를 통해 가족 레질리언스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강점을 발견하여 건강한 가정 만들기와 좋은 부모 되기 교육자료로 개발한다면 현대의 부모들에게 자녀 양육의 가치와 가족의 힘이 작동하는 원리 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제1저자의 석사학위논문의 일부를 수정 및 보완한 것임

Notes
1) 율곡학연구총서: 자료편3 율곡전서3, 2007, p. 438.
2) 율곡학연구총서: 자료편3 율곡전서3, 2007, p. 437.
3) 율곡학연구총서: 자료편3 율곡전서3, 2007, pp. 76-78.
4) 율곡학연구총서: 자료편3 율곡전서3, 2007, p. 42.
5) 율곡학연구총서: 자료편3 율곡전서3, 2007, p. 439.
6) 율곡학연구총서: 자료편3 율곡전서3, 2007, p. 436.
7) 율곡학연구총서: 자료편3 율곡전서3, 2007, p. 79.
8) 율곡학연구총서: 자료편3 율곡전서3, 2007, p. 428.
9) 율곡학연구총서: 자료편3, 율곡전서3, 2007, pp. 75-76.
10) 율곡학연구총서: 자료편3 율곡전서3, 2007, p. 76.
11) 율곡학연구총서: 자료편3 율곡전서3, 2007, p. 436.
12) 율곡학연구총서: 자료편3 율곡전서3, 2007, pp. 436-437.
13) 시대를 앞서간 여인 신사임당, 2004, p. 55.
14) 율곡학연구총서: 자료편3 율곡전서3, 2007, p. 436.
15) 율곡학연구총서: 자료편3 율곡전서3, 2007, p. 429.
16) 율곡학연구총서: 자료편3 율곡전서3, 2007, p. 436.
17) 율곡학연구총서: 자료편3 율곡전서3, 2007, p. 435.
18) 율곡학연구총서: 자료편3 율곡전서3, 2007, p. 312.

References

  • 강유진(2014). 현대 한국사회의 가족주의.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77-91.
  • 고연희, 이경규, 이숙인, 홍양희, 김수진(2016). 신사임당, 그녀를 위한 변명. 서울: 다산기획.
  • 김순기(2001). 기혼자녀가 지각하는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아정체감이 결혼 후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영천, 정상원(2015).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 문서분석. 교육문화연구, 21(6), 253-285. [https://doi.org/10.24159/joec.2015.21.6.253]
  • 김지현(2018). 신사임당의 생애에 나타난 가족 레질리언스 분석.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문소영(2007. 11. 06). ‘10만원권 김구⋅5만원권 신사임당’.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71106002007, 에서 인출.
  • 박민자(2005). 신사임당에 대한 여성사회학적 조명. 밤나무골 이야기, 17, 19-48.
  • 박지현(2007). 화가에서 어머니로 : 신사임당을 둘러싼 담론의 역사. 동양한문학연구, 25(25), 141-167. [https://doi.org/10.35374/dyha.25.25.200708.006]
  • 박휴용(2014). 초보 연구자를 위한 질적연구방법론. 전북: 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 배영동(2014). 유교와 민속의 관계와 교섭. 남명학, 9, 7-55.
  • 서현실, 정민자(2019).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을 통해 본 주요인물의 성격강점과 가족 레질리언스 분석. 복지상담교육연구, 8(2), 47-78. [https://doi.org/10.20497/jwce.2019.8.2.47]
  • 손인수(1995). 율곡사상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 송정애(2018). 원가족경험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 열린부모교육연구, 10(4), 31-54.
  • 안양희(2006). 가족탄력성(Family Resilience):간호임상에의 활용. 간호학 탐구, 15(1), 5-24.
  • Walsh, F.(2002). 가족과 레질리언스(양옥경, 김미옥, 최명민 공역). 경기: 나남출판. (1998년 원저 발간)
  • 유순희(2012).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에 대한 질적 분석.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정은(2016). 사임당평전. 서울: 리베르.
  • 유정은(2019). 율곡의 선비행장에 나타난 신사임당 연구. 율곡학연구, 40, 227-254. [https://doi.org/10.35436/yulgok.2019.40..227]
  • 율곡학회(2004). 시대를 앞서간 여인 신사임당. 강원: 율곡학회.
  • 은종숙(2013). 어머니 양육태도의 세대 간 전이와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관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남희(2011). 조선사회의 유교화와 여성의 위상:15-16세기 족보를 중심으로.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48, 135-168.
  • 이동인(2014). 격몽요결(擊蒙要訣)을 통해 본 율곡의 사상과 생애. 사회사상과 문화, 29, 23-50.
  • 이수진(2007). 새로 발굴한 이율곡의 <同居戒辭>에 대하여. 동양고전연구, 29, 121-146.
  • 이은상(1994). 사임당의 생애와 예술. 서울: 성문각.
  • 이이(2007). 율곡학연구총서: 자료편3 율곡전서3(이종술, 이지형, 김길환, 심성섭 공역). 강원: 율곡연구원. (1814년 원저 발간)
  • 이종원(2002). 부부갈등과 관련된 원가족 변인연구.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종원(2013). 결혼초기 남녀의 부부갈등 관련변인 연구.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임해리(2015). 사임당 서울: 인문서원.
  • 장선웅, 정혜영, 이주연(2011). 기혼남녀가 지각한 원가족 경험이 부부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가정과삶의질연구, 29(1), 71-82.
  • 정문교(1994). 申師任堂은 누구인가. 율곡학연구, 1, 537-552.
  • 정민자(2016). 저소득층 조손가족의 십대 손자녀가 지각한 역경과 가족 레질리언스에 관한 질적 분석. 복지상담교육연구, 5(1), 21-41.
  • 정민자, 윤경원(2016).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위인의 최근 동향 분석-한국 출판 위인전집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1), 1311-1336. [https://doi.org/10.22251/jlcci.2016.16.11.1311]
  • 정수경(2010). 가족 레질리언스 : 역경을 이기는 힘. 사회과학논총, 26(1), 1-15.
  • 정옥자(2016). 사임당전. 서울: 민음사.
  • 정지선(2015). 外家系의 生活로 본 申師任堂 性向과 士人들의 談論. 강릉원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은숙(2021). 조선중기 사대부 일기 속에 나타난 여성의 지위 고찰. 고전문학과 교육, 46, 139-180. [https://doi.org/10.17319/cle.2021..46.139]
  • 주영애(2014). 申師任堂의 生涯에 나타난 셀프리더십과 어머니리더십에 관한 연구—현대 여성의 리더십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 80, 169-201. [https://doi.org/10.17299/tsep..80.201411.169]
  • 천화숙(2006). 조선시대 여성들의 삶과 신사임당-임진왜란 이전까지. 역사와실학, 31, 153-176.
  • 하윤서(2019). 신사임당의 가족복지관 연구.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홍정애(2007). 가족치료놀이를 적용한 가족탄력성 증진프로그램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Hawley, D. R., & DeHaan, L. (1996). Toward a definition of family resilience: Integrating life-span and family perspectives. Family Process, 35(3), 283-298. [https://doi.org/10.1111/j.1545-5300.1996.00283.x]

표 1.

신사임당의 원가족과 방위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

핵심요인 하위요소 원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 방위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
신념체계 역경에 대한 의미부여 신사임당의 어머니는 평소 얌전한 사람이었지만 남편의 병을 낫게 하려고 손가락을 끊으면서 정성스러운 기도로 남편을 낫게 하였다. 사임당은 결혼 후 무책임한 남편을 대신해 가정을 꾸려야 했지만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을 받아들이고 현실에 최선을 다하였다.
긍정적 시각 신사임당의 어머니는 남편과 딸의 갑작스러운 죽음후에 슬픔에 빠져 있지 않고 손주들과 주변 사람들을 보살피는 선행으로 여생을 보냈다. 사임당은 어려운 집안 형편을 꾸리면서 육체적, 정서적으로 힘든 시기에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시와 그림, 자수 등으로 남겼다.
초월과 영성 사임당의 아버지는 신의를 중요시하여 어떤 경우에도 진실하지 않은 일은 하지 않았다. 사임당은 남편에게 불의와 결탁하지 말기를 강권했고 자녀들에게도 참되게 살아야 한다고 교육하였다.
조직유형 융통성 신사임당의 아버지는 딸을 위해, 외적 조건 대신 딸의 자유로운 예술활동이 허락되는 조건의 사위를 선택하였다. 유교 사회에서 자녀의 교육은 아버지의 몫이었지만 관심이 없는 남편을 대신해 사임당은 부모의 역할을 구분하지 않고 자녀들의 교육자 역할을 하였다.
연결성 사임당의 부모는 각각 자신들의 부모를 모시기 위해 16년 간 떨어져 지냈지만 서로에 대한 신뢰가 깊었다. 사임당의 3남인 율곡은 큰 형이 일찍 죽자 자신이 나서서 형제와 일가친척을 보살피는 등 장남의 역할을 대신하였다.
사회 및 경제적 자원 외조부와 부모가 함께 사는 집안에서 자란 사임당은 좋은 환경에서 교육을 받았고 경제적으로도 여유있는 어린 시절을 보냈다. 사임당이 서울과 강릉을 오가며 친정어머니를 돌볼 수 있었던 것은 남편과 시어머니의 도움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의사소통 과정 명료성 사임당의 부모는 상대방의 입장을 충분히 공감하면서도 자신의 뜻을 정확히 전달하였다. 사임당은 비록 시어머니라 할지라도 공손하고 명확한 태도로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숨김없이 표현하였다.
개방적인 정서표현 여자에게는 교육과 예술활동이 허락되지 않던 당시 사회에서 사임당은 타고난 감성과 재능을 억누르지 않고 펼쳤으며 가족은 그것을 수용하였다. 사임당 남편 이원수는 자신이 모르는 것이 있으면 사임당에게 물었고 사임당의 말을 귀담아 들었으며 부부는 수평적 관계를 이루었다.
상호협력적 문제해결 사임당의 부모는 문제가 발생했을 때 상대에게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하지 않고 현실적인 방법을 찾아 문제를 해결하였다. 율곡은 100여 명이 넘는 일가 친척들을 한 곳에 모아 살면서 서로 지켜야 할 규칙을 만들어 문제의 발생을 예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