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영아교사 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초록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가지는 중요성에 주목하여, 영아보육의 질을 결정하는 주요한 인적환경인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민감성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특히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놀이지원역량 간의 관계에서 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경북지역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영아반 보육교사 207명이며, 자기보고법(질문지)을 통해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정서지능, 민감성을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정서지능, 민감성의 기술통계치 및 상관관계를 살펴본 후 SPSS Process Macro(v4.2)의 4번 모델을 활용하여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민감성, 놀이지원역량은 서로 유의미한 정적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이 놀이지원역량과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은 민감성을 매개로 놀이지원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민감성이 놀이지원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며, 정서지능과 놀이지원역량 간의 관계에서 민감성이 매개변인으로서 역할을 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향상을 위해 교사의 정서지능과 민감성 증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며,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 및 어린이집 지원 프로그램 개발·시행 시 놀이지원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내용 뿐 아니라, 교사의 정서지능과 민감성 증진과 관련된 내용들이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on play support competenc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lay support competen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7 infant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Daegu and Gyeongbuk. The study assessed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nsitivity using a questionnaire. For data analysis, SPSS 26.0 program was used to examin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by SPSS Process Macro Model4(v4.2).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orrelations among infant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sensitivity and play support competency were positively significant. Second, the effects of infant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play support competency and sensitivit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lay support competency through sensitivity.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are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play support competency, and that sensitivity plays a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lay support competen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various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infant teachers’emotional intelligence and sensitivity in order to improve their play support competency. It also suggests that whe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eacher education and daycare center support programs to improve infant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not only content directly related to play support, but also content related to infant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nsitivity needs to be considered.
Keywords:
infant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emotional intelligence, sensitivity키워드:
영아교사, 놀이지원역량, 정서지능, 민감성Ⅰ. 문제 제기
영아기는 인간의 생애에서 신체, 인지, 정서, 사회성 발달이 시작되는 결정적 시기로, 영아들은 환경과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것들을 배워나가며 발달을 이루어간다. 일상생활과 자연 속에서 이루어지는 놀이는 영아들이 발달하는데 필요한 자극과 경험을 제공하는 매개체로서, 영아들이 즐거운 삶을 살아가며 자신을 발달시켜 나가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영아들은 놀이를 통해 즐거움을 느끼고 세상을 이해하고 자신을 표현하며, 놀이 과정 속에서 일어나는 이러한 의미있는 경험들은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배움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놀이를 통한 배움은 영아의 주도적이고 자발적 참여를 통해 일어나지만, 이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의 지원은 놀이를 더욱 풍성하고 의미있게 만들 수 있다. 즉 놀이 속에서 나타나는 영아의 언어적·비언어적 표현을 민감하게 알아차리고, 영아의 흥미와 요구를 반영하여 놀이를 배움으로 연결하는 교사의 지원은 영아의 놀이를 더욱 의미있는 경험으로 이끌어 발달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Vygotsky(1978)의 사회맥락이론에서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은 놀이 중에 형성된다고 보았으며, 아동이 놀이할 때 하는 행동은 일상적인 행동을 할 때보다 발달적으로 앞서 있으므로 발달이 놀이 중에 일어난다고 보았다(권혜진 외, 2016). 근접발달영역은 성인이나 더 유능한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촉진되며, 성인이나 유능한 또래가 아동에게 독자적으로 할 수 있는 것보다 높은 수준의 사고나 행동을 요구하는 상황을 만드는 것에 의해서 영아의 근접발달영역을 더 높은 수준으로 형성할 수 있다(권혜진 외, 2016). 어린이집에서 영유아와 하루일과를 같이하는 교사는 영유아의 놀이와 배움을 지원하는 보육과정의 주체이자 영유아와 함께 배우며 성장하는 전문가이다. 특히 2020년에 개정된 제4차표준보육과정에서도 교사가 영아의 놀이를 통한 배움의 가치를 최대한 존중하고 반영하여 영아가 건강하고 행복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영아 중심, 놀이 중심 보육과정을 추구할 수 있는 영유아의 놀이 지원자로 제안하고 있다. 교사는 놀이지원으로 적절한 환경 구성과 영아와의 바람직한 상호작용을 위하여 영아가 놀이에 몰입하고 놀이를 확장하도록 돕는다(보건복지부, 2020). 어린이집에서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는 영아에게 교사는 영아의 성장과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보육의 질적 수준을 보장하는 중요한 요인이다(김숙령 외, 2006). 놀이 속에 나타난 영아의 신호 즉, 비언어적 표현을 지원하는 영아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에 따라 영아교사의 전문적 역량인 놀이지원역량이 요구된다. 놀이지원역량은 교사가 영아의 놀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효과적으로 놀이를 운영하는 능력과 태도 및 성향을 의미한다(조운주, 2020). 즉, 영아교사는 영아에게 다양한 놀이를 지원하며 전인적인 발달을 돕는 존재로 영아 놀이의 질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놀이를 세밀하게 바라볼 수 있는 놀이지원자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란 영아들이 놀이를 통하여 즐거움, 자발성, 주도성을 갖고, 자신을 표현하는 가장 안전한 수단으로 세상에 첫발을 내딛을 수 있는 용기를 배우며, 주변을 탐색하고 세상을 이해하는 배움의 과정을 갖도록 지원하는 능력이다(임진숙, 2021). 놀이지원역량이 높은 영아교사는 놀이지원을 통하여 영아의 발달을 이끌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영아가 몰입할 수 있는 놀이 환경을 조성하고 지원을 위한 개선 노력 및 다음 놀이계획을 수립한다. 이와 관련하여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연구를 탐색해보면 대부분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김보라, 오재연, 2022; 김양희 외, 2023; 김은혜, 권정윤, 2023; 박윤정, 임희수, 2023; 박정은, 2023; 배채현, 김숙령, 2023; 백영숙, 2022; 백종남, 박소영, 2022; 서나리, 2023; 서은솔, 정수진, 2023; 손귀옥, 2022; 송다희, 2023; 이영이, 도미향, 2023; 임연자, 이윤아, 2023; 임진숙, 2021; 장영숙, 2023). 이에 비해 0∼2세 영아반 교사의 놀이지원역량과 관련 연구들(배채현, 김숙령, 2023; 서동미, 고선아, 2021; 우현경, 2022)은 놀이지원에 관한 교사의 이해와 인식 변화에 대한 질적탐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제 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으로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시작하고 있고 영아의 놀이지원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을 다루는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에 관심을 가지고 관련되는 변인들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이해하고 반응하며 조절하는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영아의 비언어적 신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영아교사의 민감성을 고려할 수 있다. 효과적인 놀이지원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타인의 마음을 이해하고 배려하며 관계를 강화하는 공감 능력과 자신과 타인의 행복을 이끌어내는 정서 능력이 중요하다(이영이, 도미향, 2023). 정서지능은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적절하게 반응하며 긍정적인 방향으로 정서를 조절하고 활용하는 능력이다(Salovey & Mayer, 1990).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은 놀이상황에서 영아와의 정서적 교류를 통한 원활한 상호작용으로 놀이에 대한 이해 및 적절한 개입과 확장이 이루어지도록 도울 수 있는 자신감을 가진다(오지은, 2020).
영유아 교사의 정서지능과 놀이지원역량 간의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 및 긍정적 대인관계를 이루는 능력이 높은 유아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백종남, 박소영, 2022; 김보라, 오재연, 2022). 또한 높은 정서지능을 지닌 영유아 교사가 영아와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고(이윤주, 2016; 조혜진, 김수연, 2012; 최은정, 변상해, 2020), 교사로서 효능감을 발휘하여 놀이를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윤은정, 2017; 이시은 외, 2021). 또 다른 연구에서는 교사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영유아의 자유로운 표현에 대해 격려하고 의견을 경청하면서 영유아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권리존중 보육을 적극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김서호, 2020; 김소영, 2020)고 보고하였다. 위의 결과는 타인을 공감하고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맺는 능력이 높은 교사가 놀이지원자로서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자신의 정서를 잘 인식·이해하여 긍정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이 높은 교사가 영유아와 보다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함을 잘 보여준다. 이를 통해 볼 때, 교사의 정서지능이 높을 때 교사가 교실 내외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놀이상황에서 영유아와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영유아의 요구와 자율성을 반영하여 놀이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 교사의 상호작용이나 긍정적 보육 실행에 있어서 정서지능의 역할은 밝혀져 왔으나, 놀이에 초점을 두고 놀이지원에 있어서 교사의 가진 역량과 관련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져왔다. 놀이중심 보육과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사의 정서지능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명하게 밝힐 필요가 있으며, 발달적으로 언어 뿐 아니라 비언어적 표현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이해, 즉각적 반응이 중요한 영아반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보고자 한다.
질 높은 놀이지원을 위해서는 영아의 비언어적 신호에 민감한 영아교사의 민감성 또한 중요하다. 영아교사의 민감성이란 영아가 표현하는 감정이나 요구를 영아가 표현하는 즉시 교사가 정확하게 인식하고 해석하여 적절한 반응을 제공하고 융통성 있고 일관된 반응을 의미한다(최은정, 변상해, 2020). 영아교사의 높은 민감성은 영아와 안정적 애착을 형성하고 주변 환경 탐색 능력을 촉진한다(민광미, 이지현, 2015). 생애 초기의 안정적 애착 형성은 삶의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영아의 요구와 흥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서지은, 이선미, 2014). 안정적 애착은 신뢰가 바탕이 되어야 하고 이러한 신뢰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영아가 보내는 신호를 민감하게 반응해 주는 것이다(김기철, 신애선, 2016). 교사가 영아의 개별적 특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며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교사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하여 신뢰감을 형성하게 된다(Howes & smith, 1995). 특히 영아교사는 다수의 영아를 돌보는 어린이집의 특성상 영아의 신호에 더욱 민감해질 필요가 있다. 영아들은 자신의 요구를 민감하게 받아주는 교사가 가까이 있을 때 정서적 교감과 안정감, 상호관계가 지속되며, 또래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정혜진, 박재옥, 2014).
영유아 교사의 민감성에 관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영아교사의 민감성은 놀이지원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박비둘, 2024), 유아의 놀이를 민감하게 관찰하는 교사는 놀이의 맥락을 이해하고 지원하는 놀이지원역량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박정은, 2023; 손지혜, 2023). 또한 높은 수준의 민감성을 가진 교사는 영아에게 정서적으로 안정된 환경을 제공하며(김미영, 정옥분, 2014; 김재란, 2017; 윤소정, 김진욱, 2021), 민감성이 높은 영아교사가 전문성을 바탕으로 영아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김진경 외, 2020). 영아교사는 발달적으로 교육보다는 돌봄을 받는 시간이 더 많은 영아가 즐겁게 놀이하면서 배우는 경험을 지원하고 놀이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놀이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우현경, 2022). 이러한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민감성이 높은 교사는 영아가 놀이를 하는 동안 관찰에 기초한 적절한 놀이 개입으로 영아들의 놀이 경험을 풍부하게 만들고 놀이를 확장시켜 나가므로 영아교사의 민감성은 놀이지원역량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영아교사의 민감성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교사의 심리 및 내면적 변인인 정서지능과 민감성을 살펴볼 수 있는데,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민감성 간의 인과관계도 추측해 볼 수 있다. 두 변인 간 관련성을 밝힌 선행연구에 따르면, 정서지능이 높은 교사가 유아와 민감하게 상호작용하고 긍정적이며(김소영, 2020; 박아영, 2021; 이민영, 2015; 최은정, 변상해, 2020), 정서지능과 민감성은 직접적인 상호영향을 주고받는 변인(김재란, 2017; 우수경, 2023)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 다른 영유아교사의 민감성을 다룬 연구에서는 교사의 안정적 정서가 민감성을 매개하여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영향을 미치고(김소영, 2020), 메타분석을 통해 정서지능이 민감성을 매개하여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이은혜, 2022)를 보고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민감성은 놀이지원 역량에 직접적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정서지능이 민감성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놀이지원역량 간의 관계에서 민감성의 매개효과를 밝혀보고자 한다.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서는 영아 보육의 질을 결정하는 주요한 인적 환경으로서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민감성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특히 정서지능이 민감성을 매개로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보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증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영아의 전인적 발달과 보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목적에 근거하여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1.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은 놀이지원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 연구문제2.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은 민감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 연구문제3.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민감성은 놀이지원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 연구문제4.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이 민감성을 매개로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간접 영향은 유의한가?
Ⅱ. 연구방법 및 절차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민감성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대구·경북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영아반 보육교사 20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연령은 40대(36.75%)가 76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자격 취득 경로는 2-3년제 대학을 통한 경로가 96명(46.4%)으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다. 연구대상자의 근무 경력은 5년 이상–10년 미만(35.3%)이 가장 많았으며, 근무기관 유형은 국공립어린이집 84명(40.6%), 민간어린이집 54명(26.1%), 직장어린이집 52명(25.1%), 가정어린이집 14명(6.8%)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연령은 만 2세 반이 71명(34.3%), 만 1세 반이 70명(33.8%), 만 0세 반이 48명(23.2%), 영아혼합반 18명(8.7%)으로 대체로 고른 분포도를 보였다.
2. 측정도구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을 측정하기 위해 김연수와 이지현(2019)의 유아교사용 수업역량 40개 문항을 바탕으로 임진숙(2021)이 사용한 놀이지원역량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나는 나의 놀이지원을 통해 영아의 발달을 이끌 수 있다고 생각한다.’ 등의 내적동기 3문항, ‘나는 놀이진행과정에서 영아의 요구를 민감하게 알아차린다.’ 등의 교사정서 및 태도 5문항, ‘나는 놀이 종료 후 나의 놀이지원방법에 대해 자체평가를 실시한다.’ 등의 놀이지원 개선노력 4문항, ‘나는 놀이 활동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지식이 있다.’ 등의 지식 5문항, ‘나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0-2세 표준보육과정)에 근거하여 놀이 활동목표를 수립한다.’ 등의 놀이목표 3문항, ‘나는 영아의 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 활동을 계획한다.’ 등의 놀이설계 3문항, ‘나는 영아가 집중할 수 있는 놀이 시간과 공간을 제공한다.’ 등의 놀이운영 5문항, ‘나는 영아가 몰입할 수 있는 놀이 환경을 만들기 위해 허용적이고 개방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 등의 놀이환경 조성 3문항, ‘나는 영아의 놀이활동 목표 도달 정도를 평가한다.’ 등의 영아평가 3문항의 총 3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5점 Likert척도 전혀 그렇지 않다(1점), 그렇지 않다(2점), 보통이다(3점), 그렇다(4점), 매우 그렇다(5점)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점의 범위는 34점∼170점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높음을 의미한다.
놀이지원역량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 간 일치도에 따른 Cronbach’s ɑ는 내적동기 .71, 교사정서 및 태도 .80, 놀이지원 개선노력 .76, 지식 .90, 놀이목표 .80, 놀이설계 .68, 놀이운영 .86, 놀이환경 조성 .70, 영아평가 .81,로 놀이지원역량 전체의 신뢰도는 .95로 나타났다.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Wong과 Law(2002)가 개발한 정서지능 척도 WLEIS(Wong and Law Emotional Inteligence Scale)를 박아영(2021)이 번안하여 사용한 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나는 대부분의 경우 내가 어떤 감정들을 왜 느끼는지 잘 안다.’ 등의 자기정서이해 4문항, ‘나는 언제나 동료 교사나 영아들의 행동을 보면 그 사람의 기분을 잘 안다.’등의 타인정서이해 4문항, ‘나는 항상 나 자신을 위해 목표를 세우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등의 정서활용 4문항, ‘나는 화(성질)가 나도 내 감정을 잘 조절해서 어려운 일들을 이성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등의 정서조절 4문항,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5점 Likert척도 전혀 그렇지 않다(1점), 그렇지 않다(2점), 보통이다(3점), 그렇다(4점), 매우 그렇다(5점)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점의 범위는 16∼80점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정서지능이 높음을 의미한다.
정서지능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 간 일치도에 따른 Cronbach’s ɑ는 자기정서이해 .87, 타인정서이해 .83, 정서활동 .84, 정서조절 .89로 정서지능 전체의 신뢰도는 .90으로 나타났다.
영아교사의 민감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민광미와 이지현(2015)이 개발한 영아반 교사용 민감성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도구는 적절성 9문항, 정확성 6문항, 즉시성 8문항, 일관성 4문항, 융통성 5문항, 총 3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하위 요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적절성은 ‘나는 영아의 말을 끝까지 들어주려고 한다.’ 등 교사가 영아와의 반응적 상호작용이 적절하고도 충분해서 영아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도록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교사의 반응을 의미한다. 정확성은 ‘나는 영아가 불안할 때 보이는 개인적 행동특성을 알고 있다.’ 등 영아의 입장을 잘 공감해주고 사소한 단서도 정확하게 해석하고 반응해주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시성은 ‘나는 영아들이 원하는 것은 바로 해결해주려고 한다’ 등 영아가 자신의 신호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관성은 ‘ 나는 영아들의 요구에 항상 같은 방식으로 반응한다.’ 등 영아가 자신의 요구에 대해 신호를 보낼 때 교사가 항상 같은 반응을 보여 신뢰감을 가질 수 있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융통성은 ‘나는 영아들의 흥미와 요구에 따라 일과를 융통성 있게 진행한다.’ 등 영아 개개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날의 건강상태나 여러 가지 변수 등에 따라 활동을 조절하거나 대처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5점 Likert척도 전혀 그렇지 않다(1점), 그렇지 않다(2점), 보통이다(3점), 그렇다(4점), 매우 그렇다(5점)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점의 범위는 32점~160점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영아교사의 민감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민감성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 간 일치도에 따른 Cronbach’s ɑ는 적절성 .90, 정확성 .88, 즉시성 .85, 일관성 .76, 융통성 .83으로 민감성 전체의 신뢰도는 .96으로 나타났다.
3. 자료수집절차
본 조사를 실시하기에 앞서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정서지능, 민감성의 측정 도구가 적합한지 판단하기 위해 대구지역의 국공립어린이집 영아반 교사 10인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해 설문지를 끝까지 작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약 15∼20분 정도임을 파악하였고, 문항의 구성에 있어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아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정서지능, 민감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2024년 2월 7일부터 2024년 2월 16일까지 대구·경북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중인 영아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교사들에게 연구의 목적과 연구 내용을 충분히 설명하였고, 총 250부의 설문지를 직접 방문하여 배부하였다. 총 245개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98%의 회수율을 보였다. 설문지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38부를 제외한 207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는 수집한 자료를 SPSS 26.0 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v4.2)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정서지능, 민감성의 연구에 사용된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내적합치도인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정서지능, 민감성의 분포를 분석하기 위한 평균, 표준편차 및 왜도, 첨도를 산출하는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정서지능, 민감성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놀이지원역량 간 상관관계에서 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SPSS Process Macro(v4.2)의 4번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영아교사의 정서지능, 민감성, 놀이지원역량의 기술통계치 및 상관관계
영아교사의 정서지능, 민감성, 놀이지원역량의 평균, 표준편차 및 왜도, 첨도를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영아교사의 정서지능, 민감성, 놀이지원역량의 전체 평균값 및 표준편차를 살펴보면, 영아교사의 정서지능 평균(표준편차)은 총점의 16-80점 범위에서 M(SD)= 64.24(7.53)으로 나타났다. 영아교사의 민감성 평균(표준편차)은 총점의 32-160점 범위에서 M(SD)= 136.67(13.93)으로 나타났으며,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의 평균(표준편차)은 총점의 34-170점 범위에서 M(SD)= 138.00(14.89)으로 나타났다.
측정 변인들의 정규분포 검증을 위해 왜도와 첨도를 산출한 값은 다음과 같다. 모든 변인들의 왜도 절대값은 3보다 낮았으며, 첨도 절대값은 7보다 낮으므로 본 연구에 수집된 자료들은 정규분포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West et al., 1995). 또한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의 정확한 분석결과 및 다중공선성 문제확인을 위해 변인들 간의 다중공선성을 검증하였다. 일반적으로 분산팽창계수(VIF)의 값이 10이하인 경우 다중공선성 문제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검증 결과에서 분산팽창계수(VIF)의 값이 1.71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아교사의 정서지능, 민감성, 놀이지원역량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표 2>에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민감성 간의 상관관계는 r= .65(p < .01)으로 유의한 정적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높은 민감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놀이지원역량 간의 상관관계는 r= .71(p < .01)으로 유의한 정적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영아교사가 놀이지원역량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아교사의 민감성과 놀이지원역량 간의 상관관계는 r= .71(p < .01)으로 유의한 정적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영아교사의 민감성이 높을수록 놀이지원역량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놀이지원역량간의 관계에서 민감성의 매개효과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놀이지원역량의 관계에서 민감성의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을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SPSS Process Macro(v4.2) 4번 모델을 이용하여 각 변인들 간 경로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은 놀이지원역량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 1.40, p < .001).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이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은 영아교사의 민감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 1.19, p < .001).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민감성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표 5>와 같다.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민감성을 통제했을 때 B= .86(p < .001)을 나타냈다. 이 값은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인 B= 1.40(p < .001) (<표 3> 참조) 보다 감소한 것이다. 즉,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이 민감성을 통제했을 때 감소했다는 것은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이 민감성에 의해 부분매개 됨을 시사하는 것이다.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이 민감성을 부분 매개로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그림 1>과 같다.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이 영아교사의 민감성에 의해 부분매개 됨을 검증한 가운데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이 민감성을 매개로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간접영향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으며, 신뢰구간을 95%로 설정하고 5000개의 표본 수를 재추출하여 검증을 진행하였다.
검증 결과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이 민감성을 매개로 놀이지원역량에 이르는 간접효과는 .54로 나타났으며 95% 신뢰구간에서 하한값(LLCI)과 상한값(ULCI) 사이에 0이 존재하지 않아 간접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대구·경북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영아반 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민감성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놀이지원역량 간의 관계에서 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이 놀이지원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신의 정서와 타인의 정서를 이해하고 조절하여 활용하는 능력이 높은 영아교사가 놀이지원역량 수준도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타인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긍정적 대인관계를 이루는 유아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높다고 밝힌 선행연구 결과(백종남, 박소영, 2022; 김보라, 오재연, 2022)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또한 정서지능이 높은 영유아 교사가 놀이상황에서 영유아를 존중하는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며(김서호, 2020; 김소영, 2020; 박아영, 2021; 이윤주, 2016; 조혜진, 김수연, 2012; 최은정, 변상해, 2020), 놀이지원자로서 교사역할에 대한 효능감이 높다고 보고한 연구결과(윤은정, 2017; 이시은 외, 2021)와 일부 맥을 같이 한다.
교사의 정서는 전문성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며 교수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다. 정서지능이 높은 영아교사가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는 능력이 높고 자신의 정서를 잘 조절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정서를 유지하면서 영아들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으로 높은 수준의 놀이를 지원하고 실행할 수 있다. 영아의 놀이를 교육적 가치로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교사의 정서지능이 매우 중요하고, 이를 통해 교사가 갖는 자아개념, 지식, 기술, 동기, 특질 등의 놀이지원역량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인 정서지능에 대해 기관에서도 직무스트레스 해소 및 심리, 정서 지원을 위한 상담 등의 정서회복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한국보육진흥원의 마음성장 프로젝트, 육아종합지원센터의 보육교직원 고충처리 창구, 정신건강증진센터 상담 등의 정부지원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영아교사의 민감성은 놀이지원역량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민감성이 높은 영아교사가 놀이지원역량 수준도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영아교사의 민감성이 놀이지원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밝힌 선행연구 결과(박비둘, 2024)와 일치하며, 유아교사의 민감성이 높을수록 놀이지원역량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선행연구 결과(박정은, 2023; 손지혜, 2023)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또한 민감한 영아교사는 놀이교수에 대한 효능감이 높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한다는 선행연구 결과(안연경, 최인숙, 2020; 유지연, 황혜정, 2015)와 맥을 같이한다. 이처럼 높은 민감성을 가진 교사가 놀이를 이해하고 지지하며 긍정적인 상호작용으로 놀이를 확장해 나가므로 영아교사의 민감성과 놀이지원역량 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아교사의 민감성은 영아반의 일과 동안 지속되는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 내에서 영아의 신호와 교사의 반응을 통해 발현된다. 영아교사는 영아들에게 민감하게 반응하고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영아의 놀이를 지속, 확장, 몰입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여야 하며, 놀이를 통한 배움이 이루어지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여야 한다. 따라서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인 민감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영아교사는 영아의 발달적 특성의 이해와 권리존중 보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전문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더불어 원장의 지지, 동료 교사와의 관계, 전문적 성장의 기회 등의 자신의 직무에 만족감을 가지고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사회적 지지가 뒷받침 될 수 있는 건강한 보육환경 조성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은 민감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신의 정서 및 타인의 정서를 잘 이해하고 자신의 정서를 조절, 활용할수록 영아교사의 민감성도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영아교사의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정서지능이 직접적인 상호 영향관계가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우수경, 2023)를 지지한다. 또한 교사의 민감성은 교사가 일과 중에 영아를 관찰하여 적절히 반응하고 개별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하는 것으로 교사의 정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이선희, 이승연, 2019), 긍정적 정서지능을 가진 영아교사가 영아-교사와 민감한 상호작용으로 영아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여 영아의 발달을 돕는다는 선행연구 결과(이민영, 2015)와 맥을 같이 한다. 이와 같이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은 영아의 안정적인 생활과 전인적인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정서를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적절하게 사용하는 능력을 보이는 교사는 영아의 긍정적인 모델링이 되기에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교사의 정서 안정성은 영아교사의 민감성 개념의 선행요인으로써 교사 개인의 정서와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영아교사의 민감성 교육은 교사의 정서 안정성을 돕는 긍정적 자아발달 함양과 함께 교사 전문성 증진 교육을 지속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은 민감성을 매개로 놀이지원역량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민감성이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놀이지원역량 간의 중요한 매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교사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안정적인 정서를 유지하여 영아의 개별적인 요구를 이해하는 민감성을 높여 영아-교사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으로 놀이지원역량이 높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메타분석을 통한 연구에서 교사와의 상호작용에서 정서지능과 민감성이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이은혜, 2022)와 일부 맥을 같이한다. 또한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자신의 정서를 잘 조절하고 활용할수록 영아를 존중하는 보육실행을 예측한다고 밝힌 선행연구 결과(김소영, 2020), 정서지능이 민감한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는 민감성과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연구결과(이민영, 2015)를 지지한다. 이는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민감성을 높이고 개발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민감성을 강화함으로써 놀이지원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영아교사는 자신의 안정적 정서와 더불어 영아의 행동이나 감정을 읽을 수 있는 민감성을 높이는 방안을 살펴보면서 놀이지원역량을 키워나가는 것이 보육의 질을 높이는 효율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영아교사는 영아의 놀이에 대한 이해와 전문성을 가지고 놀이하며 배울 수 있도록 지원해 줄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놀이지원 방안 및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연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정서지능과 민감성이 놀이지원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며 특히 정서지능이 민감성을 통해 간접영향을 미침을 밝힌다. 정서지능이 높은 영아교사가 안정적인 정서를 유지하여 영아들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으로 높은 수준의 놀이를 지원하고, 민감성이 높은 영아교사가 영아의 일상과 놀이를 민감하게 관찰하고 놀이를 이해하고 지지하며 긍정적인 상호작용으로 놀이를 확장해 나간다. 또한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민감성이 높으며,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이 민감성을 매개하여 영아의 놀이를 촉진할 수 있는 놀이지원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그러므로, 영아교사는 자신의 내면적 요인 탐색으로 정서적 안정과 자아발달을 돕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영아 놀이의 가치를 인식하고 놀이를 민감하게 관찰하고 해석하여 영아의 놀이를 적극적으로 지원해 줄 수 있는 민감성과 놀이지원역량을 증진 시켜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통해 향후 이루어질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대구·경북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영아교사 207명을 연구 대상으로 표집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역 전체로 일반화시키기에 제한점이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모든 영아교사들에게 일반화 할 수 있도록 전국 각 지역의 영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표집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변인으로 영아교사의 내재적 변인인 정서지능과 민감성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았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에 미칠 수 있는 환경변인을 포함하여 보다 폭 넓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과의 관련 변인에 대해 질문지를 통한 교사의 자기보고에 주관적 평가라는 제한점이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관찰, 면접사례연구, 동료보고 등 다각적인 측정이 보완되어야 하고, 교사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분석도 함께 이루어질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과 달리 영아교사의 정서지능, 민감성, 놀이지원역량의 세 가지 변인들을 동시에 고려하여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자로서의 역할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이론적으로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자기와 타인의 정서를 이해하고 조절·활용하는 능력과 영아의 일상과 놀이 행동을 민감하게 읽고 반응해 주는 민감성이 높은 교사가 놀이지원역량이 높음을 밝힘으로써,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향상을 위한 어린이집 교사·원장 교육 프로그램 및 관련 정책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제1저자의 석사학위논문 중 일부이며, 2024년 춘계공동학술대회 포스터 발표문을 수정·보완한 것임.
References
- 권혜진, 김경은, 우현경, 전가일, 전숙영, 정윤주, 한유진(2016). (아이와 교사가 즐거운) 놀이지도. 파주: 양서원.
-
김기철, 신애선(2016). 영아교사의 전문성, 민감성, 행복감과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관계 및 영향력. 한국보육학회지, 16(2), 57-82.
[https://doi.org/10.22251/jlcci.2017.17.7.1]
- 김미영, 정옥분(2014). 영아전담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교사민감성에 관한 연구: 환경변인 및 개인변인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1(2), 75-96.
-
김보라, 오재연(2022). 유아교사의 인성, 행복감, 공감능력이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3(4), 1661-1676.
[https://doi.org/10.22143/HSS21.13.4.116]
-
김서호(2020).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1(4), 875-888.
[https://doi.org/10.22143/HSS21.11.4.62]
- 김소영(2020).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민감성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남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숙령, 김선희, 육길나, 조숙진(2006). 영아와 교사의 집단 활동 상호작용에 있어서 영아교사의 민감성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0(4), 125-150.
-
김양희, 윤은정, 부성숙(2023). 영유아교사의 그릿, 정서노동, 교사전문성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24), 401-413.
[https://doi.org/10.22251/jlcci.2023.23.24.401]
-
김연수, 이지현(2019). 유아교사 수업역량 평가척도의 타당화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4(3), 169-195.
[https://doi.org/10.20437/KOAECE24-3-08]
-
김은혜, 권정윤(2023). 영유아교사의 놀이성과 교수창의성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7(2), 5-26.
[https://doi.org/10.32349/ECERR.2023.4.27.2.5]
- 김재란(2017). 영아교사의 민감성이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진경, 강은영, 윤혜주(2020). 영아교사의 놀이성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민감성과 놀이지원역량의 매개효과 경력 및 교사효능감과 민감성, 전문성 발달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5), 155-171.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5.155]
- 민광미, 이지현(2015). 영아반 교사 민감성척도 개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1), 229-249.
- 박비둘(2024). 영아교사의 놀이성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민감성과 놀이지원역량의 매개효과.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아영(2021).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윤정, 임희수(2023). 영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놀이신념과 교수창의성이 놀이지원 역량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 475-489.
[https://doi.org/10.22251/jlcci.2023.23.1.475]
- 박정은(2023). 유아교사의 민감성과 놀이성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배채현, 김숙령(2023). 초임교사의 만 2세 영아 놀이지원 역량 향상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4(2), 199-226.
[https://doi.org/10.22154/JCLE.24.2.9]
-
백영숙(2022). 유치원교사의 교수창의성 및 놀이지원역량과 유아 또래놀이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1), 671-685.
[https://doi.org/10.22251/jlcci.2022.22.21.671]
-
백종남, 박소영(2022). 유치원교사의 놀이성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지능의 매개효과. 유아특수교육연구, 22(3), 155-171.
[https://doi.org/10.21214/kecse.2022.22.3.155]
- 보건복지부(2020).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0-75호에 따른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세종: 보건복지부.
- 서나리(2023).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과 민감성이 유아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동미, 고선아(2021). 영아의 놀이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교사 지원 방안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25(6), 81-103.
[https://doi.org/10.32349/ECERR.2021.12.25.6.81]
-
서은솔, 정수진(2023).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교수효능감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7), 485-501.
[https://doi.org/10.22251/jlcci.2023.23.17.485]
- 서지은, 이선미(2014). 영아교사의 놀이신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9(6), 129-150.
- 손귀옥(2022). 유아교사의 놀이실행역량 변인 분석:놀이성,놀이신념,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손지혜(2023). 유아교사의 놀이민감성과 긍정적 놀이신념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송다희(2023).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민감성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안연경, 최인숙(2020). 영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민감성이 놀이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12), 570-577.
[https://doi.org/10.5762/KAIS.2020.21.12.570]
-
오지은(2020).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25(4), 197-217.
[https://doi.org/10.20437/KOAECE25-4-08]
-
우수경(2023). 영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정서지능 및 사회적 지지와 민감성 간의 구조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4), 733-747.
[https://doi.org/10.22251/jlcci.2023.23.4.733]
-
우현경(2022). 영아중심⋅놀이중심 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반 교사의 놀이지원에 관한 질적 탐구. 한국보육학회지, 22(2), 31-45.
[https://doi.org/10.21213/kjcec.2022.22.2.31]
-
유지연, 황혜정(2015). 영아교사의 민감성, 효능감, 영아와의 상호작용이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3), 1-23.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3.001]
-
윤소정, 김진욱(2021). 유아놀이에 대한 교사 놀이민감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열린유아교육연구, 26(3), 145-174.
[https://doi.org/10.20437/KOAECE26-3-06]
- 윤은정(2017).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만족도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민영(2015).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 민감성과 교사-영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선희, 이승연(2019). 영아교사의 민감성에 대한 개념적 고찰. 한국교원교육연구, 36(3), 395-423.
[https://doi.org/10.24211/tjkte.2019.36.3.395]
-
이시은, 송승민, 한정이(2021).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교사가 인식한 부모-교사 신뢰관계와 협력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6), 29-52.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6.029]
- 이영이, 도미향(2023). 영유아교사의 놀이성과 공감능력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부모교육연구, 20(4), 49-66.
- 이윤주(2016). 교사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은혜(2022).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0), 997-1012.
[https://doi.org/10.22251/jlcci.2022.22.20.997]
-
임연자, 이윤아(2023). 보육교사의 놀이성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43(4), 129-149.
[https://doi.org/10.18023/kjece.2023.43.4.007]
- 임진숙(2021).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창의적 리더십, 교사의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 놀이지원역량의 구조적 관계 : 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장영숙(2023).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인식, 놀이교수효능감, 놀이지원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4(4), 329-347.
[https://doi.org/10.22154/JCLE.24.4.14]
-
정혜진, 박재옥(2014). 영아반 교사의 민감성과 놀이교수효능감에 따른 전문성 인식. 가정과삶의질연구, 32(5), 193-205.
[https://doi.org/10.7466/JKHMA.2014.32.5.193]
-
조운주(2020).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내용개발. 육아지원연구, 15(4), 83-102.
[https://doi.org/10.16978/ecec.2020.15.4.004]
- 조혜진, 김수연(2012). 영아 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7(5), 189-208.
-
최은정, 변상해(2020). 어린이집교사의 정서지능, 민감성, 교수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1(6), 361-374.
[https://doi.org/10.22143/HSS21.11.6.27]
-
Howes, C., & Smith, E. W. (1995). Children and their child care caregivers; Profiles of relationships. Social Development, 4(1), 44-61.
[https://doi.org/10.1111/j.1467-9507.1995.tb00050.x]
-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https://doi.org/10.2190/DUGG-P24E-52WK-6CDG]
-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2307/j.ctvjf9vz4]
-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
Wong, C., & Law, K. S. (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3), 243-274.
[https://doi.org/10.1016/S1048-9843(02)000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