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호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Vol. 38 , No. 2

[ Article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Vol. 38, No. 2, pp. 161-172
Abbreviation: JKHMA
ISSN: 2765-1932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0
Received 21 Mar 2020 Revised 08 May 2020 Accepted 11 Jun 2020
DOI: https://doi.org/10.7466/JKHMA.2020.38.2.161

프로젝트 수행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과 교수창의성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선민 ; 김지현*

The Mediating Effects of Play Teaching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Beliefs in a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and Instructional Creativity of the Project-Experienced Early Childhood Teacher
Sunmin Kim ; Jihyun Kim*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 Education, Myongji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Jihyun Kim,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Myongji University, 34 Geobukgol-ro, Seodaemun-gu, Seoul 03674, Rep. of Korea. Tel: +82-2-300-0606, E-mail: jihyunkim@mju.ac.kr


Abstract

The study sampled a total of 101 project-experienced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mediated effect, and the Sobel test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ed effect. The results showed that play teaching 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in which the educational beliefs in a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DAP) predicted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of the project-experienced early childhood teachers. That is, Play teaching efficacy of project-experienced early childhood teachers is improved the through educational beliefs in a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DAP), and then improved play teaching 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nhancement of their instructional creativity.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future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Nuri program, which has been reorganized as a child·play-centered course.


Keywords: Instructional Creativity, Educational Beliefs in a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Play Teaching Efficacy, Project-experienced early childhood teacher
키워드: 교수창의성,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 놀이교수효능감, 프로젝트 수행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

Ⅰ. 서 론

제 4차 산업혁명이라 일컫는 현대 사회의 교육 핵심은 학습자 중심이다. 그리하여 2019년 3월 개정된 누리과정에서는 역량중심의 교육과정을 강조하며 새로운 인재의 역량 개발을 위해 교육과정 운영의 핵심을 ‘유아·놀이중심’이라고 공시하였다(교육부, 2019). 더불어 누리과정에서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도 함께 부각되면서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유아교사는 유아의 놀이와 학습 등의 상황에서 유아교사 자신의 유연성, 독창성 및 자율성 등을 가지고 지원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교육부, 2019; 송규운, 2013). 덧붙여 유아일수록 교수 전략이 더욱 다양화되어야 하기에 유아교사는 그에 맞춰 교수 내용에 융통성을 발휘해야 한다(김선효, 2006).

유아교사의 유연성, 독창성, 융통성 등의 창의성을 교수운영에 적용한 창의적 교수운영 역량을 교수창의성이라 일컫는다(서의석, 김미숙, 2018). 교수창의성은 유아교사가 교수학습과정을 이행할 때 창의성의 하위요소를 활용해 다양한 방법으로 교수활동에 접목하여 보다 흥미롭고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것을 뜻한다(Kaufman, 2009; Woods, 1990). 구체적으로 유아교사는 유아와 상호작용을 할 때 유아가 흥미와 호기심을 가질 수 있도록 개방적이고 확산적인 질문을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아교사는 유아 발달 수준을 고려한 활동을 진행할 수 있으며 문제 상황에서는 유아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격려와 제안 등을 통해 자유로운 분위기를 조성하여 창의적인 교수행동을 하는 것이다(백영숙, 김희태, 2008; Rinkevich, 2011). 유아교사들은 하루 일과 속에서 창의적인 교육을 포함하여 통합적으로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실행한다(구광현, 김보현, 2012; 이정욱, 박진이, 2014). 실제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현장의 유아교사들 역시도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창의적인 활동과 흥미롭고 의미 있는 활동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수창의성이 요구된다는 점에 동의한다(강보미, 이영애, 2018). 교수창의성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에서 우리는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교수활동에서 창의성을 발휘하는 데에 적합한 프로그램으로 구성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한 프로젝트 접근법을 들 수 있다. 프로젝트 접근법은 교사와 함께 한 명, 소집단 및 전체 집단의 아동이 특정 주제의 여러 특성을 조사하고 관찰하여 특성의 정확한 내용을 탐색하고 파악하는 것이다(Katz & Chard, 2000). 즉, 프로젝트 접근법은 아동과 교사가 함께 구성해나가는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프로젝트 접근법은 심층적 탐구 활동, 활동 시간 운영의 융통성, 수용적이고 개방적인 분위기, 활발하고 적극적인 상호작용, 표상활동의 다양성 등을 특징으로 지니고 있다(서영숙, 이남정, 안소영, 2001). 이러한 특징들을 통해 프로젝트 접근법은 아동의 흥미에 따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며 통합을 추구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이라고 불린다. 또한 유아교사에게 프로젝트 접근법이란 프로젝트 주제를 유아와 함께 탐구하며 유아교사 자신도 다양한 도전을 받기도 하고 도전을 할 수 있는 종합적인 교육방법이다(유승희, 성용구, 2007). 즉,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에 다양한 역할 수행의 임무를 지닌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유아교사에게는 자율성, 다양성, 융통성 등이 요구된다(손태호, 2006; Jalongo & lsenberg, 2000). 본 논문에서는 프로젝트 수행 경험이 현재 또는 과거에 있는 유아교사들을 프로젝트 유아교사로 명명하겠다. 따라서 프로젝트 유아교사에게는 교사의 다양한 개인적 독특성을 가지고 창의적으로 운영하는 개념인 교수창의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는 바,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교사 변인을 중점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다.

프로젝트 접근법을 포함한 모든 교육활동은 교사 개인의 신념적인 부분과 실천적인 부분을 적용하여 상황에 따라 융통적으로 유아들과 상호작용하며 운영한다(이진화, 이혜원, 유진경, 2010). 다시 말하자면 유아교사의 역할에 대한 관점에 따라 그들이 실제로 행하는 교수실제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기에 유아교사가 어떠한 교육적 신념을 가지고 있는가는 교육활동의 핵심이다(강숙현, 2000; 최기영, 1993). 교사 중심이었던 시대를 지나 개정된 누리과정의 교육과정 운영의 핵심처럼 유아 중심이 더욱 대두되고 있어 유아교사는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실제를 적용하는 적용 능력과 교수 상황을 융통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융통성 등 유아 발달에 적합한 교육적 신념을 명확히 지닐 필요가 있다(김희태, 백영숙, 2009). 여기서 말하는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은 유아가 가진 흥미와 발달 정도의 개인차를 이해하고 인정하며, 유아의 발달적 욕구에 따라 자율적으로 과제를 선정하고 능동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는 교육적 신념을 뜻한다(이영석, 강순미, 2001).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을 가진 교사는 유아의 개별성(연령, 능력, 흥미 등)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언어, 종교, 경제적 배경 등) 적합성을 고려하여 통합적으로 교과를 운영하고 접근 가능한 교육목표를 설정하여 적절한 교수학습방법으로 실행해야 한다고 믿는다(김경희, 나귀옥, 2009). 이는 유아와의 기본적 신뢰감을 바탕으로 풍부하고 다양한 교육경험을 유아에게 제공하여 유아 스스로 다양한 선택을 하도록 격려하는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할과 관계가 있다. 실제로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이 높은 유아교사는 창의적 역할 수행 정도가 높았다(이연승, 임애경, 2001). 1987년에 미국유아교육협회(NAEYC)는 아동의 흥미와 관심에 따라 아동이 능동적, 주도적으로 활동하는 프로젝트 접근법 학습은 아동의 발달수준에 따라 가장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교육 방법 중 하나라고 설명하였다(Copple & Bredekamp, 1987). 덧붙여 유아교사가 아동의 흥미와 발달 정도에 맞게 내용을 구성하는 것은 프로젝트 접근법 수행을 위한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이다(지옥정, 장희성, 2010). 유아교사는 발달에 대해 적합한 실제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하며 아동의 발달과 학습에 대한 지식을 증진시킬수록 낯선 교수 상황에 대한 새로운 감각을 키울 수 있게 되어 교수 상황에서 새로운 도전을 할 수 있다(Goffin & Day, 1994). 또한 아동의 발달능력과 흥미에 대해 높은 이해수준을 가진 유아교사는 창조적으로 환경을 구성하며 자유로운 탐색활동이 가능한 교실 분위기롤 조성하고 다양한 교재, 교구의 제공하기도 한다(Chen, 1997; Ellis, 1998).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을 가진 프로젝트 유아교사일수록 창의적인 교수를 실행할 것임을 예상하게 한다.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을 설명할 때에 발달에 적합한 교수장면으로 유아의 놀이 상황을 빼놓을 수 없다. 교수창의성은 유아기관의 모든 교수활동의 중심인 놀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권다은, 2019). 전부터 유아보육·교육 분야에서는 놀이를 통한 배움을 강조해왔고(임부연, 손연주, 2019), 최근 누리과정의 개정 방향을 유아중심·놀이중심으로 제안한 이후 놀이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교육부, 2019). 유아의 놀이가 활발히 일어나기 위해서는 놀이에 적합한 물리적 환경을 토대로 인적 환경까지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김진영, 2012). 특히 인적환경 중 유아교사는 유아의 놀이의 질을 결정하는 중점적인 요인이며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운영이 효율적이기 위해서는 놀이를 지도하는 유아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박화윤, 1997; 신은수, 유영의, 박현경, 2004). 놀이교수효능감이란 유아교사 자신이 놀이에 대해 올바른 신념을 가지고 유아의 놀이에 어떻게 참여하는지에 대한 방법과 교수능력을 스스로 판단하여 놀이 실제 운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확신하는 정도를 뜻한다(신은수 등, 2004). 현장에 있는 유아교사들은 놀이중심의 교수활동을 통해 유아들의 놀이 관찰을 바탕으로 함께 놀이 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즐거움을 느끼게 되고 놀이방법 제안을 통해 놀이가 확장되는데, 이를 위해 유아교사에게 유아와 놀이할 수 있고 자율적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으며 융통성 있게 사고하는 역량이 핵심적으로 필요하다(경기도교육청, 2019). 이는 유아교사의 교수활동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이 요구되며, 놀이교수효능감을 통해서 놀이의 참여에 성공하고 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교수창의성이 발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덧붙여 놀이교수효능감이 높은 유아교사들은 새로운 활동에 더 긍정적으로 접근하여 유아의 호기심과 동기를 이끌어 내고 유아에게 새롭고 독창적인 의견을 제안하는 창의적 교수법을 발휘할 수 있다(홍주희, 2018). 다른 연구에서도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 수행 및 교수창의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은 서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권다은, 2019; 조은명, 2010).

여기서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에 주목하게 되는데, 이는 프로젝트 접근법이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하나이기 때문이다(교육부, 2019). 놀이중심 교육과정은 놀이를 통한 학습활동으로써 유아교사와 유아가 함께 협력하여 자유놀이까지도 일과의 운영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교육과정을 의미하는데, 프로젝트 접근법 역시 의미 있는 경험과 활동으로 자유놀이를 강조하며 유아교사와 유아가 함께 구성하는 놀이 교육 접근이기 때문이다(교육부, 2019). 또한 프로젝트 접근법은 프로젝트의 주제, 지속시간, 운영시간, 참여 인원 수 등의 모든 부분을 유아와 유아교사가 함께 여러 토론을 거쳐 제안하고 결정되기에(지옥정, 1995), 그 상황 속에서 유아교사는 자신의 교수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빈번하게 존재한다. 즉, 프로젝트 접근법을 운영하는 유아교사는 전반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유아가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나 문제 상황에 대해 개방적으로 의견을 제안하는 등의 창의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Katz & Chard, 1987/2013), 따라서 유아들의 놀이를 통해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프로젝트 접근법을 운영하는 유아교사는 놀이상황에서 효과적으로 개입 또는 지도할 수 있다는 확신에 따라 교수창의성이 결정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은 교수창의성을 예측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은 놀이교수효능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의 주요 특징은 유아교사가 유아의 발달, 흥미, 그리고 요구사항에 알맞는 활동을 시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활동으로 가장 적절하며 두드러지게 잘 보여줄 수 있는 것은 놀이이다(백경순, 2007). 놀이는 발달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교육매체로써 유아교육·보육 분야에서 발달에 적합한 학습기회를 제공하는 교수방법으로 강조되고 있다(신은수, 2000; Isenberg & Quisenberry, 2002). 아동 발달에 관한 지식과 이해는 놀이를 통해 학습하며 발달하고 유아의 놀이 활동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어 유아교사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실제로도 놀이를 교수학습 상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조부경, 이정미, 1999).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이 높을수록 유아교사가 긍정적인 놀이신념을 가지고 있었는데(손여울, 2019), 이는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이 놀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놀이하는 교수상황에서 효능감을 발휘할 수 있도록 관련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놀이를 통해 유아는 학습하고 발달하기에 유아교사가 가지고 있는 유아 발달에 적합한 지식은 유아의 놀이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핵심이다, 놀이에 대해 잘 이해하는 유아교사는 유아의 놀이 상황 속에서 개입이나 참여하여 성공하는 횟수가 증가하고 그 결과 유아교사의 놀이교수에 대한 확신이 생겨 놀이교수효능감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즉,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을 가진 유아교사는 놀이교수효능감을 통해 수준 높은 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다(신은수 등, 2004). 유아의 흥미와 관심, 이해 및 발달 수준에 기반하여 유아가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에 입각한 교육과정을 유아중심 교육과정이라 칭하고(교육부, 2019), 유아가 자발적으로 놀이를 통해 학습활동을 하며, 유아의 자발성 및 상상력 등의 요소들을 살리는 교육과정을 놀이중심 교육과정이라 일컫는다(Lester & Russell, 2008). 특히 프로젝트 접근법은 NAEYC(Copple & Bredekamp, 1987)에 의해 아동의 발달수준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발달에 적합한 실제의 교육방법으로, 그리고 한국 교육부(2019)에 의해 놀이교육과정의 한 스펙트럼 중 하나인 놀이중심 프로그램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는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을 현장에서 실천하려는 신념을 가진 프로젝트 유아교사는 유아들의 놀이를 프로젝트와 연결시켜 효과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는 효능감이 높을 것임을 말해준다. 프로젝트 접근법은 유아교사가 유아들의 놀이 속에서 프로젝트 진행과 관련된 주제 및 진행 과정에 대한 창의적인 결정들을 하는 것을 요구하므로(교육부, 2019),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이 교수창의성으로 발현되기 위해 놀이교수효능감은 중요한 매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인식을 가지고 놀이에 개입해야 놀이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한다는 연구결과(Cuffaro, 1995)는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이 교수창의성으로 연결될 수 있기 위해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육실제의 수행에 있어 핵심적인 열쇠임을 말해준다. 따라서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이 높으면 놀이교수효능감이 높아지고, 그 결과 교수창의성도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에 대한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보고,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놀이교수효능감이 매개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 때, 유아교사 자신의 창의성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제하고자 한다. 이는 교수창의성의 개념이 교수 장면에서의 창의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개인의 창의성과 구분되어야 한다는 점(최미정, 2007)과 개인의 창의성이 교수창의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조은명, 2010)에 근거한다. 따라서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과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온전한 영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교사 자신이 가진 창의성을 통제할 필요가 있겠다. 이 연구는 유아중심·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해나갈 유아교사에게 요구될 교수창의성을 향상시키는 변인으로서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과 놀이교수효능감의 역할을 밝히고,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향상을 위해 예비교사 양성교육 및 현직교사 재교육 과정에서 본 연구의 해당 변인들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룰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겠다. 또한 프로젝트 접근법 등 유아중심 및 놀이중심 교육과정 계획 및 실행에 필요한 교사 역량을 개발하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구성 및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 및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수창의성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놀이교수효능감이 매개하는가?


그림 1.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과 교수창의성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적 역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주 유아교육프로그램으로 프로젝트 접근법을 1년 이상 시행해본 경험이 있는 만 3, 4, 5세 유아반 담임인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하여 110부가 회수되었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거나 무응답이 있는 질문지를 제외하여 최종 10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Katz(1972)의 이론에 따라서 생존기인 1년을 넘어 강화기에 진입한 유아교사는 소속 기관의 유아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적응했다고 판단되었기에 연구대상의 경력을 1년 이상으로 선정하였다. 프로젝트 유아교사는 질문지를 배부하기 전 프로젝트 접근법의 실행방법, 실행횟수, 실행기간 등의 질의를 통해 현재 및 과거 재직 기간에 주 유아교육프로그램으로 프로젝트 접근법을 1년 이상 실시하였는지 여부를 아동학 박사 1인(프로젝트 접근법 실행 유경력자)과의 협의를 통해 판단한 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배경은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배경
변인 구분 빈도
연령 20대 53( 52.47)
30대 32( 31.68)
40대 14( 13.86)
50대 이상 2( 1.98)
성별 여성 100( 99.00)
남성 1( 0.99)
기관유형 국공립어린이집 32( 31.68)
직장어린이집 42( 41.58)
민간어린이집 5( 4.95)
가정어린이집 2( 1.98)
법인단체어린이집 1( 0.99)
국공립유치원 3( 2.97)
사립유치원 16( 15.84)
경력 1년 이상∼3년 미만 25( 24.75)
3년 이상∼5년 미만 23( 22.77)
5년 이상 53( 52.47)
담당 연령 만 3세 27( 26.73)
만 4세 38( 37.62)
만 5세 36( 35.64)
최종학력 2, 3년제 전문대학졸업 26( 25.73)
4년제 대학졸업(온라인) 8( 7.92)
4년제 대학졸업(오프라인) 45( 44.55)
대학원 재학 중 8( 7.92)
대학원 졸업 13( 11.87)
소유 자격증 보육교사 1급 60( 43.16)
보육교사 2급 39( 28.05)
유치원 정교사 1급 9( 6.47)
유치원 정교사 2급 28( 20.14)
기타 3( 2.15)
101(100.00)

2. 연구도구
1) 교수창의성

Cropley(2004)의 창의성 요소 모델에 기초하여 백영숙, 김희태(2008)가 한국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타당화 작업을 거쳐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한 교수창의성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총 35문항으로 5점 Likert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교수과정을 창의적으로 운영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질문지 예시문항으로는 ‘교사는 유아들이 원하는 활동을 자유롭게 제안하고 선택하도록 자극하고 지원하는가?(확산적 사고와 행위)’, ‘교사는 유아들에게 유머를 즐기며 나눌 수 있게 해주는가?(개방성과 모호함의 허용)’ 등이 있다. 이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94로 신뢰롭게 나타났다. 각 하위척도별 신뢰도는 확산적 사고와 행위 .86, 일반적 지식과 사고기반 .81, 특정영역의 지식기반과 기술 .78, 집중하여 과제 수행하기 .60, 동기와 동기유발 .75, 개방성과 모호함의 허용 .81이다.

2)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

Hart 등(1990)가 개발한 교사 신념에 관한 질문지를 Lee(2003)가 한국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타당화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총 36문항으로 5점 Likert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발달에 적합한 교사의 교육신념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질문지 예시문항으로는 ‘유아에게 다문화적이고 성차별의 구분이 없는 활동을 제공하는 것(발달에 적합한 실제)’, ‘유아가 교실 규칙을 정하는데 스스로 참여하는 것(유아주도적 학습)’, ‘인쇄된 선 또는 모양 안에 색칠하는 활동(전통적 교수법)’ 등이 있고, 그에 대해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가를 물었다. 발달에 적합한 실제의 문항 구성은 유아가 지닌 흥미, 학습 방법 등의 개인차를 이해하여 유아의 발달적인 욕구에 따라서 자유롭게 과제를 선택하도록 하며(강숙현, 2000), 현 시대에 적합한 교육과정의 핵심은 분리가 아닌 통합이기에 유아의 발달에 맞는 통합적인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다.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89이며 각 하위척도별 신뢰도는 발달에 적합한 실제 .82, 유아주도적 학습 .72, 전통적 교수법 .81이다. 이때, 전통적 교수법은 역채점하여 유아교사의 교육신념 수준을 파악하였다.

3) 놀이교수효능감

신은수 등(2004)이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총 21문항의 5점 Likert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놀이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해석한다. 질문지 예시문항은 ‘나는 놀이를 지도할 때, 유아들의 놀이가 적절하게 잘 일어나도록 하는데 유능한 편이다.(놀이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 ‘만일 유아의 놀이수준이 높아졌다면, 그것은 교사가 더욱 효과적인 방법으로 놀이에 개입했기 때문이다.(놀이교수 결과에 대한 기대).’ 등이 있다. 이 척도에 대한 전체 신뢰도는 .86으로 신뢰로운 수치이며, 각 하위척도별 신뢰도는 놀이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 .85, 놀이 교수 결과에 대한 기대 .75이다.

4) 창의성

노영희, 김경철과 김호(2006)가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노영회 등(2006)의 창의성 척도는 총 문항 수가 41문항이며, 하위요인 중 하나인 ‘독립성’의 신뢰도가 .60으로 낮게 나타나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문항 수를 20문항으로 축소한 동시에 하위요인의 최저 신뢰도가 .70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창의성 검사 점수를 사용하였다. 기존의 하위척도 중 ‘독창성’과 ‘융통성’ 하위척도에 해당되는 문항들은 새 척도의 ‘사고의 변환’에 주로 구성되었고, 기존의 하위척도인 ‘유머’,‘ 개방성’ 등은 새 척도의 ‘개방적 유머’에 포함되었으며, 기존의 ‘몰입’과 ‘자기확신’ 등은 ‘자기집중과 수용’의 하위척도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 요인분석한 창의성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90으로 높게 나타나 신뢰로우며, 새로 도출된 각 하위척도별 신뢰도는 사고의 전환 .89, 개방적 유머 .87, 자기 집중과 수용 .70이다.

3. 연구절차
1) 예비조사

본 연구를 수행하기 전, 2019년 5월 13일부터 5월 17일까지 5일간 아동학 전공 교수 1인과 아동학 전공 석사 과정생 및 유아교육현장 유경험자 3명에게 측정도구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질문지의 안면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만 3, 4, 5세인 유아교사 3인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이해하기 어려운 문항이 있거나 설정에 적합하지 않은 것이 존재하지 않다고 판단되어 예비조사에 사용한 질문지를 본 조사에 그대로 사용하였다.

2) 본 조사

질문지 배부 및 회수는 2019년 6월 17일부터 7월 30일까지 총 7주간에 걸쳐 실시되었고, 서울 및 경기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110명을 표집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 방법은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에 전화하여 먼저 협조를 구한 후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 및 E-mail을 통해 질문지 110부를 배부하였다. 불성실한 응답을 한 질문지 또는 무응답이 있는 질문지 9부를 제외하여 총 101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의 활용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WIN 21.0과 AMOS 21.0인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의 사회인구학적 배경을 파악하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다음 각 측정도구의 문항 내적 일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Cronbach’s α 신뢰도 계수를 산출하여 각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창의성 측정도구는 문항을 축소하기 위해 요인구조를 살펴보고 주성분 분석과 Varimax 회전법을 통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문항을 선정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구조모델의 모델 부합도를 확인하였다.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 및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수창의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유아교사의 창의성을 통제한 편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이 교수창의성에 영향력을 놀이교수효능감이 매개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유아교사의 창의성을 통제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 및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수창의성 간의 관계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 및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수창의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통제변인인 창의성을 통제한 후 편상관계수를 실시하였다. 편상관계수를 실시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과 놀이교수효능감 간의 편상관관계 (N = 101)
교수창의성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 놀이교수효능감
교수창의성 1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 .49*** 1
놀이교수효능감 .49*** .30*** 1
*** p < .001

교수창의성은 놀이교수효능감(r = .49, p < .001),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r = .49, p < .001) 순으로 모두 유의하게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높은 수준의 교수창의성은 높은 수준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 높은 수준의 놀이교수효능감과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2.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과 교수창의성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과 교수창의성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창의성을 통제한 후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란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영향력을 나타내는 과정에서 두 변인 이외의 다른 한 변인이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효과를 지니는 것이다. 매개효과는 세 단계의 매개효과 검증 절차에 따라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Baron & Kenny, 1986). 이후 Sobel Test를 실시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도 검증하였다.

매개효과 검증 절차로 1단계 절차는 독립변인이 매개변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2단계 절차에서는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확인한다. 마지막 단계인 3단계 절차에서는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을 함께 투입했을 경우 매개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해야 하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이 때 완전 매개인지 부분 매개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은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무의미한 수준으로 떨어질 경우는 완전 매개효과를 가진다고 판단하고, 독립변인의 영향력은 약화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일 경우는 부분 매개효과를 가진다고 판단한다(Baron & Kenny, 1986).

회귀분석 실시하기 전, 독립변인들 간의 다중공선성 존재 여부와 잔차의 독립성 여부를 파악하였다. 그 방법으로 공차와 분산팽창계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를 확인하였다. 산출되어 나타난 공차는 1과 가까울수록 다중공선성이 없는 것을 의미하며, VIF가 10 이상이면 다중공선성이 있다고 해석한다. 본 연구의 모든 변수에 해당하는 공차한계는 .79∼.85이며, VIF는 1.17∼1.45로 변인들 간 다중공선성의 문제인 부분은 없었다. 또한 독립변인들 간의 상관계수도 .62∼.65로 나타났고 .80보다 낮아 다중공선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 잔차 독립성의 여부에 대한 Durbin-Watson 계수를 살펴본 결과, 회귀모형 모두에서 통계량이 1.95로 나타났고 2에 가깝게 확인되어 독립성 가정을 충족하였다.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과 교수창의성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적 역할을 나타내는 <표 3>을 보면, 1단계 절차인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이 매개변인인 놀이교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할 수 있다(β = .41, p < .001). 2단계 절차인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이 종속변인인 교수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할 수 있다(β = .40, p < .001). 3단계 절차인 매개변인인 놀이교수효능감이 종속변인인 교수창의성에 영향을 유의하게 미쳤다(β = .42, p < .001). 자세히 살펴보자면, 독립변인인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이 종속변인인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약화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이 영향력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β = .40, p < .001 → β = .23, p < .01). Sobel Test 결과는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Z = 3.34, p < .001). 이러한 결과를 통해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의 상당 부분을 놀이교수효능감이 매개의 역할을 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그림 2 참조). 이는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이 놀이교수효능감을 향상시켜 향상된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수창의성을 높이는 경로가 더 의미 있음을 말해준다.

표 3.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과 교수창의성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N = 101)
변인 β(B)
1단계
독립→매개
2단계
독립→종속
3단계
독립→종속 / 매개→종속
통제변인 창의성 .32(5.86)*** .33(10.24)*** .19(5.94)*
1단계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 → 놀이교수효능감 .41(.34)***
2단계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 →교수창의성 .40(.57)***
3단계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 →교수창의성 .23(.32)**
놀이교수효능감 →교수창의성 .42(.73)***
R2 .31 .31 .43
F 22.29*** 21.97*** 24.78***
* p < .05, ** p < .01, *** p < .001.


그림 2.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과 교수창의성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적 역할

한편, 매개모델 최종 단계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창의성에 대한 설명력을 살펴보면. 창의성이 교수창의성에 미친 설명력 16%를 통제한 다음(F = 22.29, p < .001)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이 단독으로 투입되었을 때의 설명력 추가로 15%(F = 21.97, p < .001)가 증가하였고, 교수창의성을 가장 많이 설명하는 놀이교수효능감이 추가로 투입되었을 때의 설명력은 12% 증가하여, 최종 교수창의성의 43%(F = 24.78, p < .001)를 설명하였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에 대한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본 후,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과 교수창의성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다. 각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은 놀이교수효능감,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과 유아교사 개인의 창의성을 통제하고도 관계가 있다. 먼저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수창의성이 관련이 있다는 결과는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수창의성이 높다는 연구결과(권다은, 2019; 김희태, 백영숙, 2009; 조은명, 2010; 홍주희, 2019)와 같은 맥락이다. 또한 놀이성이 높은 유아교사는 유아와의 놀이 활동에서도 유아교사가 즐거움과 흥미를 가지고 놀이에 몰입하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으로 유아와 놀이하고 자연스럽게 제안하는 등의 교수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김경은, 2014)를 통해서도 본 연구결과를 유추할 수 있다. 프로젝트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도 이를 지지하는 결과가 도출된 것은 프로젝트 접근법의 특성과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특성은 유사한 점이 많다는 점에서 유추해볼 수 있다. 프로젝트 접근법은 지식이나 기능의 습득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닌 학습하고자 하는 성향을 기르고 학습에 대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의 과정적 측면에 목표를 두고 있으며, 교사에 의해 외부에서 주어지는 학습, 외적인 동기유발에 의한 것이 아닌 내적인 동기에 의한 활동이다(조형주, 2004). 놀이는 내적인 동기유발로부터 발현되어 놀이를 하면서 즐거워하고 좋아하며 결과보다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점(지성애, 2019)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의 특징과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특징이 유사하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프로젝트 접근법은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교육부, 2019). 실제로 프로젝트 접근법에서는 유아들의 놀이를 관찰함으로써 프로젝트의 주제를 도출하고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을 파악하며 프로젝트의 종결여부를 판단한다(이순형 등, 2000). 프로젝트 접근법에서 주제, 진행과정, 종결여부 등을 결정하는 방법은 유아와 유아교사가 함께 의견을 제시하고 토론하며 결정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의견을 제시하는 상황에서 유아교사는 교수창의성의 특성인 허용적이고 자유로운 분위기를 조성해야하는 등의 교수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빈번하게 마련된다(지옥정, 1995; Katz & Chard, 1987/2013). 따라서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 프로젝트 접근법을 운영해나갈 수 있는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은 교수창의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도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관련이 있었는데, 이는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을 가진 유아교사일수록 교실 내에서 창의적인 역할 수행을 잘 하도록 돕는다는 결과(이연승, 임애경, 2001)로 설명할 수 있다. 덧붙여 유아를 믿고 유아 스스로 환경을 탐색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진보주의 신념을 가진 유아교사들이 교육의 내용을 우선시하는 전통주의 신념을 가진 유아교사들보다 또래끼리 가르쳐주는 방법을 더 자주 사용한다는 연구결과(Borko & Shavalson, 1978)도 이를 뒷받침한다. 유아의 발달능력과 흥미에 대해 높은 이해수준을 가진 유아교사는 창조적으로 환경을 구성하며 자유로운 탐색활동이 가능한 교실 분위기롤 조성하고 다양한 교재, 교구의 제공하는 등의 교수창의성의 특성을 나타낸다(Chen, 1997; Ellis, 1998). 유아교사는 창의적인 교수를 하기 위해서는 발달에 대해 적합한 실제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 아동의 발달과 학습에 대한 지식을 증진시키게 되었을 때 유아교사는 낯선 교수 상황에 대한 새로운 감각을 키울 수 있게 되어(Goffin & Day, 1994) 교수 상황에서 새로운 도전을 할 수 있게 만드는 유아교사의 역량인 교수창의성이 발휘될 수 있다. 프로젝트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도 이들을 지지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동안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핵심적인 관심은 “어떻게 유아의 발달에 맞춰 흥미와 학습요구에 맞도록 활동을 다양화시킬 수 있을 것인가?”이다(Chard, 1992). 이러한 유아교사의 관심은 프로젝트 활동에서 기록을 통해 활동 과정을 평가하여 더욱 심도 깊게 고민하고 자아성찰을 하는 시간을 가지며 점차 자신의 교육적 신념을 세우도록 이끈다.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핵심역량 중 아동의 흥미와 발달 정도에 맞게 내용을 재구성하고 아동의 내적 동기를 유발하며 프로젝트 중 수업일지 기록을 통한 수업과정 분석 및 평가를 뜻하는 ‘수업일지’ 역량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실제로도 높은 실행력을 보인다(지옥정, 장희성, 2010). 프로젝트 유아교사는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교육현장에서도 이를 충분히 실행하여 교수창의성으로 연결시킬 가능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을 가진 프로젝트 유아교사가 교수창의성을 더 갖추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놀이교수효능감이 부분 매개 역할을 하였다.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이 놀이교수효능감을 향상시켜 향상된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수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이는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이 놀이교수효능감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박은영, 2009; 백경순, 2007). 즉, 놀이 맥락 안에서 진행되는 프로젝트 접근법이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방식이라는 신념을 통해서 놀이에 대한 교수효능감이 더 강해지고, 그 결과 프로젝트 유아교사는 프로젝트 활동 중 교수 장면에서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놀이란 발달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교육적 맥락이기에, 발달에 적합한 학습기회를 제공하는 교수학습 맥락으로 강조되고 있다(신은수, 2000; Isenberg & Quisenberry, 2002). 놀이를 통해 아동은 학습하며 발달하기에 유아교사에게 아동 발달에 관한 지식은 유아의 놀이 활동을 잘 이해하게 하고, 유아교사 역시 함께 놀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실제로도 놀이를 교수학습 상황으로 잘 활용한다(조부경, 이정미, 1999).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교육과정은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유아의 개별적 특성(발달수준, 문화, 흥미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재구성해야 한다는 ‘유아중심’ 교육과정이고, 두 번째는 유아가 자유롭게 발현하여 배움으로 확장해 가는 자유놀이를 중점적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이다(교육부, 2019). 이 연구결과는 발달에 적합한 유아중심 교육과정 운영이 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과 관련이 있고, 이를 통해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때, 프로젝트 접근법의 핵심 또한 유아의 흥미와 호기심을 통해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유아가 직접 선정한 주제에 대해 능동적으로 탐구(Chard, 1992)하는 ‘유아중심’과, 유아는 놀이를 통해 즐기고 몰입하며 일상 속에서 자연스레 주제에 대한 관련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놀이중심’이다(교육부, 2019). 즉, 유아중심이자 놀이중심의 교육과정인 프로젝트 접근법을 운영하는 유아교사는 유아의 발달과 흥미에 기반하여 교육과정을 유아와 함께 진행하기에 자연스레 유아의 발달 정도에 집중하게 되어 발달에 적합한 신념을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일상 속 놀이 활동에서 유아교사는 유아의 발달에 맞게 놀이 상황에서의 참여하기에 놀이 교수에 대한 확신이 생기게 되면서 창의적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유아와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게 되어 교수 상황에서의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는 유아의 발달을 잘 이해하고 발달에 적합한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젝트 유아교사가 놀이를 교수학습 상황으로 잘 활용하여 결과적으로 교수창의성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로써 프로젝트 유아교사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인으로써 놀이교수효능감의 중요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에 대해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상이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더 나아가 놀이교수효능감이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경로에서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하는 변인임을 밝혔다. 본 연구는 세 가지의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첫 번째는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접근법에 관한 연구는 다수 존재하였지만 프로젝트 유아교사를 다룬 연구, 특히 유아교사의 개인적 특성을 다룬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었다. 유아의 자발적인 탐색과 주도적인 문제해결을 추구하는 프로젝트 접근법을 실행하는 경험을 가진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을 살펴보는 것은 특히 재편되고 있는 유아교육 현장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요구되는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변인을 밝혔다는 점이다. 프로젝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교육신념이 어느 정도인지, 유아 놀이 상황에서 유아의 발달을 지원하는 활동들을 시행할 수 있는 본인의 놀이교수효능감이 어느 정도인지가 중요한 예측변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는 현장에서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을 높이기 위해 유아교사의 양성과정 및 현직 과정에서 계획할 수 있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유아교사의 창의적 발문이나 적절한 피드백, 자율적인 수업환경 조성 등을 포함한 창의적 교수행동인 교수창의성 중심의 교사전문교육이 요구되고 있다(소연희, 2011), 이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실행을 경험한 유아교사들의 교수창의성을 연구하였지만, 프로젝트 접근법의 놀이중심 교육과정으로서의 교수방법 및 철학을 능동적으로 활용하여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과 놀이교수효능감의 향상을 다루어주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교수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변인인 발달에 적합한 교육신념, 놀이교수효능감 외에는 다른 변인은 고려하지 못한 점이다. 둘째, 1년 이상 프로젝트 접근법을 경험했을 경우 프로젝트 접근법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시간으로 판단하였으나 보다 충분한 관련 경력을 가진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또한 프로젝트 접근법 기관은 프로젝트 운영방법에서 다양한 스펙트럼이 존재할 수 있음을 밝힌다. 셋째, 현재뿐만이 아니라 과거에 프로젝트를 주 보육프로그램으로 경험했던 교사도 함께 표집되었기에 해석할 때 주의를 요할 필요가 있다. 넷째, 프로젝트 유아교사와 일반 유아교사 및 타 유아교육프로그램을 경험하는 유아교사와의 직접적인 통계적 차이를 검증하지 못하였고, 프로젝트 수행 경력에 따른 차이 등 추후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심도 깊은 비교 연구가 필요하겠다. 다섯째, 매개효과에 대해 측정오차까지 걸러낼 수 있는 보다 검증력이 높은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또한 추후에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양적 연구 방법 뿐만이 아니라 유아교사의 관찰 및 심층 연구 등의 질적 연구 방법도 병행하여 다각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는 심층적인 후속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주저자의 2020년 2월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의 일부를 발전시킨 것임.


References
1. 강보미, 이영애(2018).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이 수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3(3), 225-252.
2. 강숙현(2000).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과 교육실제의 질적 수준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경기도교육청(2019). 「놀이2018」 놀이중심교육과정실천자료-유아교육! 놀이로 풀다. 경기: 경기도교육청.
4. 교육부(2019). 2019 개정 누리과정(안) 공청회. 서울: 교육부.
5. 구광현, 김보현(2012). 창의성 교육에 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및 지도 실태. 유아교육연구, 32(1), 343-370.
6. 권다은(2019).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수업역량의 관계에서 놀이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경은(2014). 예비유아교사의 성격 5요인 및 놀이성과 창의성 간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21(2), 1-17.
8. 김경희, 나귀옥(2009). 다양한 관점에서 본 유아에 대한 이해: 인지적 구성주의, 사회적 구성주의, DAP, 포스트모더니즘.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3, 171-196.
9. 김선효(2006). 교수-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역할 : 단원 중심과 레지오 접근법의 비교.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진영, 최미숙(2012). 부모 놀이신념 수준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 및 리더십의 차이. 아동교육, 21(4), 189-206.
11. 김희태, 백영숙(2009). 유아교사의 창의성과 교수 효능감. 유아교육학논집, 13(3), 51-67.
12. 노영희, 김경철, 김호(2006). 유아교사의 자기 평정용 창의성 검사 도구 개발. 유아교육연구, 26(2), 93-121.
13. 박은영(2009). 교사의 놀이 교수효능감에 따른 교수 행동 및 유아 놀이행동의 차이.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화윤(1997). 교사의 신념에 따른 창의적 놀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2, 25-55.
15. 백경순(2007). 일반환경에 소속된 특수유아의 통합교육(inclusion)을 위한 발달에 적합한 실제(DAP) 원리 적용에 대한 질적연구: 특수유아의 놀이수준 변화의 의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281-305.
16. 백영숙, 김희태(2008). 유아교사의 창의성 검사 도구 타당화. 유아교육학논집, 12(3), 111-128.
17. 서영숙, 이남정, 안소영(2001). (프로젝트 중심) 방과후 아동지도(제 2판). 서울: 양서원.
18. 서의석, 김미숙(2018). 어린이집 교사의 자기성찰지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3), 325-350.
19. 소연희(2011). 초등교사의 사고양식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교사효능감과 교수몰입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20(4), 5-20.
20. 손여울(2019).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에 대한 구성주의 신념과 발달에 적합한 교육실제신념의 영향력.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손태호(2006). 보육교사 역할에 대한 인식 차이. 아동교육, 15(1), 235-246.
22. 송규운(2013). 5세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의 활동목표에 나타난 창의성 관련 요소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1), 39-54.
23. 신은수(2000). 놀이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유아 놀이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0(1), 27-42.
24. 신은수, 유영의, 박현경(2004). 유아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수 효능감과 놀이 운영 실제 신념에 관한 도구 개발연구. 유아교육연구, 24(1), 49-69.
25. 유승희, 성용구(2007). 초등 교사를 위한 프로젝트 접근법. 서울: 양서원.
26. 이순형, 유안진, 김영명, 안소영, 한유진, 최혜미, 이경화, 이경신, 손경희, 이성옥(2000). 어린이를 위한 주제탐구 표현활동 프로그램의 운영. 서울: 창지사.
27. 이연승, 임애경(2001).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 및 교수활동과 창의적 역할의 관계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2(3), 183-193.
28. 이영석, 강순미(2001). 보육교사와 원장의 DAP 신념 지각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8(2), 1-45.
29. 이정욱, 박진이(201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학교 1학년 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의 주제와 활동의 연계성 분석. 유아교육연구, 34(6), 365-389.
30. 이진화, 이혜원, 유진경(2010).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자기효능감·정서노동과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5(2), 117-136.
31. 임부연, 손연주(2019). 유아교육과정의 맥락 속에서 살펴본 ‘놀이~배움’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3), 265-287.
32. 조부경, 이정미(1999). 유아교사교육의 새로운 접근. 경기: 양서원.
33. 조은명(2010). 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및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역할 수행과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조형주(2004). 프로젝트접근법에 대한 유치원교사들의 인식과 현장적용실태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지성애(2019). 유아 놀이의 재조명, 그리고 교육적 함의.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17-40.
36. 지옥정(1995). 유아교육의 통합적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접근법: 프로젝트 접근법. 한국영유아보육학, 2, 125-148.
37. 지옥정, 장희선(2010). 프로젝트 접근법 수행을 위한 유아교사의 핵심역량 도출. 한국영유아보육학, 62, 261-281.
38. 최기영(1993). 현대 사회와 유아교육. 서울: 교문사.
39. 최미정(2007). 교사 창의성의 의미와 과제.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7(1), 431-447.
40. 홍주희(2019).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42. Borko, H., & Shavalson, R. J. (1978). Teacher’s sensitivity to reliability of information in making casual attributions in an achievement situ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0, 271-279.
43. Chard, S. C. (1992). The project approach: A practical guide for teachers. Edmonton, Alberta: University of Alberta Printing Services.
44. Chen, S. F. (1997)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action: Stories of 5 preschool teachers’ curriculum making. Unpublished doctor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Maryland, USA.
45. Copple, C., & Bredekamp, S. (1987).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serving children from birth through age 8.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Young Children.
46. Cropley, A. J. (2004). Creativity in education & learning: A guide for teachers and educator (2nd ed.). London: Kogan page.
47. Cuffaro, H. K. (1995). Experimenting with the world: John Dewey and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New york: Teachers College.
48. Ellis, P. J. (1998). The relationship of teacher education, training, and beliefs to program quality in Head Sta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eorgia State University .Georgia, USA.
49. Goffin, S. G., & Day, D. E. (1999). 유아교사교육의 새로운 접근 (조부경, 이정미 역). 서울: 양서원. (원저 1994 출판)
50. Hart, C., Burts, D., Charlesworth, R., Fleege, P., Ickes, M., & Durland, M. (1990). The teachers questionnaire: Preschool version. Baton Rouge, LA: Louisiana State University, School of Human Ecology.
51. Isenberg, J. P., & Quisenberry, N. (2002). Play: Essential for all children. Childhood Education, 79(1), 33-39.
52. Jalongo, M. R., & Isenberg, J. P. (2000). Exploring your role: A practitioner’s introduction to early childhoo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53. Katz, L. G. (1972). Developmental stages of preschool teachers. Elementary School Journal, 73(1). 50-54.
54. Katz, L. G., & Chard, S. C. (2000). Engaging children’s mind: The Project Approach (2nd ed.). Stamford, CT: Ablex.
55. Katz, L. G., & Chard, S. C. (2013). Katz와 Chard의 프로젝트 접근법 (윤은주, 이진희 역). 경기: 아카데미프레스. (원저 1987 출판)
56. Kaufman, J. C. (2009). Creativity 101.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57. Lee, S. M. (2003).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ors’ beliefs and best practices; The impact of education, experience, and teaching contex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USA.
58. Lester, S., & Russell, S. (2008). Play for a change. Play, policy, and practice: A Review of Contemporary Perspectives. London: Play England.
59. Rinkevich, J. L. (2011). Creative teaching: Why it matters and where to begin. The Clearing House: A Journal of Educational Strategies, Issues and Ideas, 84(5), 219-223.
60. Woods, P. (1990). Teacher skills and strategies. London: Fal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