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호

가정과삶의질연구(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Vol. 42 , No. 1

[ Article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Vol. 40, No. 1, pp. 1-10
Abbreviation: JKHMAJFBL
ISSN: 2765-1932 (Print) 2765-2432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Mar 2022
Received 30 Dec 2021 Revised 08 Feb 2022 Accepted 08 Mar 2022
DOI: https://doi.org/10.7466/JFBL.2022.40.1.1

부모의 놀이신념이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가정환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세은1 ; 김지현2, *

The Effect of Parents’ Play Belief on the Play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Seeun Ahn1 ; Jihyun Kim2, *
1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Education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Master
2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Education, Myongji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ence to : *Jihyun Kim,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Education, Myongji University, 34, Geobukgol-ro, Seodaemun-gu, Seoul 03674, Republic of Korea. Tel: 02-300-0606, E-mail: jihyunkim@mju.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arents and related variable which affect the interaction of play between parents and young childre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family environ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lay belief and parents play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286 mothers who have young children aged 3, 4 and 5 were survey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1 statistics program, a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s, frequency, Cronbach’s α reliability, hierarchical multi-regression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lay interaction and parents play belief and creative family environment. And, creative family environment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parents play belief on their play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parents to have positive beliefs about play tend to improve their play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through doing creative efforts to raise young children at home.


Keywords: play interactions, creative home environments, play beliefs, young children, parent
키워드: 놀이상호작용, 창의적 가정환경, 놀이신념, 유아, 부모

Ⅰ. 서 론

‘놀이’는 영유아기 삶의 전체이다. 유아들의 놀이는 자연스러운 활동이며, 놀이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여러 가지의 다양한 정보를 배우며 성장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활동이다(박미혜, 2009). 유아는 놀이를 통해서 그들의 감정, 느낌, 생각 등을 표현하고 놀이를 통해 사회적 역할을 배우게 되며(최태산, 조미정, 2009), 또래와의 놀이를 통해서 사회적인 관계를 형성해 나간다. 유아에게 또래와의 놀이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과 같이 성인과의 상호작용도 유아의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김종석, 2011). 특히 부모는 자녀가 태어나서 자라는 동안 많은 도움을 주며, 유아는 부모와 처음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을 경험하게 된다. 부모의 행동은 자녀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부모와 자녀는 오랜 시간 동안 관계를 지속하며, 부모의 자녀에 대한 반응은 자녀가 적응하고 성장하는데 필수적인 자원이 된다(서은희, 이미숙, 2012).

부모의 상호작용 중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이란 놀이 중에 부모와 자녀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행동적 또는 언어적 상호작용을 말한다(Stern, 1977). 부모가 자녀의 놀이에 적절한 시점에 개입하고 많은 시간 함께 놀이를 하다보면 유아의 놀이가 확장될 수 있다(김명순, 조항린, 박영림, 신혜영, 2013). 어머니가 자녀와의 놀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유아의 주도성과 애착, 자기를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의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으며(한송이, 2019), 어머니가 자녀와의 놀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유아의 사회적 능력이 높아진다(오지현, 2011). 또한 어머니가 자녀와의 놀이 상황에서 높은 정서적 지지 행동을 보였을 때 문제에 대해 유연하게 반응하는 인지적 유연성이 높게 나타났으며(안서희, 정윤경, 2019), 어머니와 자녀의 상호작용이 기능적이고 적절할 때 자녀의 언어발달은 높아진다(민성혜, 2000). 부모가 자녀와의 놀이상황에서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할 때 자녀는 호기심이 더욱 높아져 창의적 성격이 발달하며(염연옥, 김진희, 2017), 어머니는 신체적인 접촉을 통해 자녀와 신체적으로 상호작용하며 놀이한다(이행숙, 한유진, 2008). 이와 같이 부모와 유아의 놀이상호작용은 유아의 신체, 사회정서, 창의성, 인지와 언어의 전반적인 영역 발달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부모와 유아의 놀이상호작용 척도는 ‘창의성발달을 지원하는 놀이상호작용’, ‘인지발달을 지원하는 놀이상호작용’, ‘사회⋅정서발달을 지원하는 놀이상호작용’, ‘언어발달을 지원하는 놀이상호작용’, ‘신체발달을 지원하는 놀이상호작용’의 빈도를 뜻한다(성민경, 김지현, 2021). 이 연구에서는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의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변인이 무엇인지 연구하고자 한다.

부모는 자녀의 발달에 대해 다양한 신념을 가진다. 부모는 자녀에 대한 생각과 지식, 정보들이 조금씩 변화, 수정해 나가면서 그들만의 신념체계를 만들게 된다. 이 중 유아의 놀이에 대해 어머니가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가치관을 어머니의 놀이신념이라고 한다(Fogel, 2003). 유아의 놀이를 지지하는 신념이 높은 부모는 유아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부모와 유아는 높은 수준의 놀이를 더 자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명순 등, 2013). 또한 자녀의 놀이가 자녀의 감정 발산의 통로이며,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워준다는 사고를 하는 어머니일수록 자녀와 놀이활동을 빈번하게 하였으며, 자녀의 발달수준과 자녀의 행복감이 높게 나타났다(박영애, 김리진, 2011). 비슷하게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긍정적일수록 어머니가 자녀에게 수용적이고 온정적으로 상호작용하고,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홍정유, 2007). 부모가 자녀와의 놀이를 통해 느끼게 되는 즐거움이나, 자녀와 함께 놀이 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말하는 것을 부모중심 놀이신념이라고 하는데, 전체 놀이신념의 하위개념인 부모중심 놀이신념이 높아질수록 자녀가 또래와 긍정적인 놀이상호작용이 증가했으며, 이를 통해 기초적인 사회적 능력이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신혜경, 2009). 이는 부모의 놀이신념이 전체적으로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보여준다.

부모가 유아와 놀이상호작용을 더 많이 하게 되는 환경적 요소로 창의적 가정환경을 들 수 있다. 창의적 가정환경이란 유아의 창의적인 생각과 영감을 보장하고 지지하는 가정환경을 뜻한다(Sternberg & Lubart, 1991). 창의적 가정환경은 자녀에게 발언권을 주고 규칙을 정하는 등의 가정 안에서 아동을 존중하는 ‘아동존중’, 풍부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풍부한 학습 환경’, 자신의 문제는 자신이 해결하도록 돕는 ‘독립심 자극하기’, 부모가 자녀의 일에 지나치게 간섭하지 않는 ‘가족의 압력’으로 정의된다(이송희, 2019). 창의적 가정환경은 창의적인 유아로 길러내기 위한 심리적, 물리적 가정환경의 요소를 뜻하는 것으로,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 중 상호작용 행위 자체에 초점을 맞춘 ‘창의성발달을 지원하는 놀이상호작용’과 차별성이 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놀이상호작용 자체의 빈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전반적인 가정환경이 어떻게 조성되어 있느냐에 따라 실제 놀이상호작용의 빈도가 달라지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읽기를 위한 환경 요인이 풍부하게 제공되었던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어머니가 자녀와 상호작용의 빈도가 더 많아졌고(정은숙, 1998), 유아를 위해 발달이 촉진되는 환경을 마련하고, 반응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며,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규칙적으로 양육 환경을 조성하면 어머니의 수학적 상호작용이 빈번해졌다(이은지, 김지현, 2018). 부모 집단과 특성에서 다를 수 있겠지만 유아와 놀이상호작용을 빈번하게 하는 유아교사에 대한 연구를 통해 볼 때에도,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은 유의한 상관이 있으며(이정희, 2021), 유아에게 발언권을 주거나, 독립된 인격체로 인정하는 등의 존중을 하는 교사일수록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은경, 2019). 이를 통해 어머니와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해서 아동을 존중하고, 풍부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며, 독립심을 자극하는 창의적 가정환경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창의적 가정환경은 부모의 놀이신념이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으로 실현되는 과정에서 매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녀의 놀이에 부모가 참여하여 상호작용 하는 것이 자녀의 놀이와 전반적인 발달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놀이신념을 가진 유아기 부모는 자녀의 발달 기초 형성을 위한 발달촉진 가정환경과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 부모가 자녀와 함께하는 여가 활동, 부모가 자녀에게 행하는 일괄적이고 규칙적인 양육태도를 포함하는 질 높은 가정환경의 매개를 통해 자녀와 일상적인 수학적 상호작용을 많이 하였다(오혜선, 김지현, 2021). 또한 어머니 집단과 특성에서 다를 수 있겠지만 유아와 놀이상호작용의 주된 성인 대상인 아버지에 대한 연구에서도 아버지가 놀이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놀이를 지원하면 자녀는 가족의 이해와 사랑 속에서 자라는 것과 자녀의 견해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것, 모든 문제에 있어서 자녀의 의사가 존중되는 것, 따뜻한 보살핌을 받는 것, 건강과 안전이 지켜지는 것을 포함한 자녀권리를 존중하는 실행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김영란, 2019). 부모가 자녀의 놀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여 자녀의 놀이 증진을 위해 제공한 다양한 경험들은 자녀의 놀이를 보다 풍성하게 이끄는 스토리가 되었으며(홍수경, 2010), 교사가 놀이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서 유아 스스로의 행동과 선택을 허용하고 지지하는 정도가 달라졌다(김상진, 2021). 이는 부모의 놀이신념이 높을수록 창의적 가정환경이 높게 구축되어 결과적으로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의 양이 증가하여 매개가 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부모의 놀이신념과 창의적 가정환경,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부모의 놀이신념이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창의적 가정환경이 매개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때, 유아는 부모와 가족, 또래, 교사를 포함하는 타인과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언어적인 발달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발달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임현주, 최항준, 2017)는 선행연구 결과와 부모마다 맞벌이의 가정형태, 짧은 출산휴가 등의 이유로 자녀와의 놀이시간 자체가 다르기에(임시형, 2017) 절대적인 시간이 아닌 부모에게 주어진 시간 내 얼마나 자녀와 놀이상호작용을 빈번하게 하는지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자녀의 성별과 주간 총 놀이시간을 통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가정에서 부모의 자연스러운 놀이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해 부모와 관련된 어떠한 변인이 필요한지에 대해 시사할 것이며, 부모의 놀이신념이 실제적인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으로 연결되기 위해 요구되는 매개변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동시에 자녀 양육에 있어서 부모의 놀이신념과 창의적 가정환경,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부모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부모의 놀이신념, 창의적 가정환경은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가?

연구문제 2. 부모의 놀이신념이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창의적 가정환경이 매개하는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조사절차

이 연구는 만 3, 4, 5세 자녀를 둔 부모 연구대상으로 임의표집 하였다. 2021년 5월 21일부터 6월 25일까지 총 5주간에 걸쳐 종이 질문지는 우편으로, 온라인 질문지 ‘moaform’을 통해 실시하였다. 서울과 경기 지역 어린이집 및 유치원 원장에게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설명한 후 동의한 원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질문지의 첫 페이지에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충분히 설명한 후 동의한 어머니들에 한해 질문지가 배포되었으며, 질문에 응하신 어머니들께는 소정의 담례품을 지급하였다. 온라인 질문지는 197부, 종이 질문지는 174부로 총 371부의 질문지를 회수하였고, 회수된 질문지 중 무응답이 있는 질문지 또는 성실하게 응답하지 않은 질문지 85부를 제외시켜 최종 286부를 이 연구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때 응답자의 전부가 어머니였다.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을 살펴보면 자녀 연령은 만 3세 92명(32.17%), 만 4세 111명(38.81%), 만 5세 83명(29.02%)이며, 자녀의 성별은 남아 138명(48.25%), 여아 148명(51.75%), 자녀형제순위는 첫째 106명(37.06%), 중간 18명(6.29%), 막내 96명(33.57%), 외동 66명(23.08%)으로 나타났다. 유아가 이용하는 기관은 어린이집 227명(79.37%), 유치원 54명(18.88%) 등으로 나타났으며, 기관 이용 시간은 6시간 이하 99명(34.62%), 7시간 79명(27.62%), 8시간 이상 107명(37.41%)으로 나타났다. 보조양육자 여부는 없음이 203명(70.98%), 조부모 72명(25.17%) 등이었다. 아버지 연령 35세 이하 47명(16.43%), 36∼40세 117명(40.91%), 41세 이상 116명(40.56%) 등이었고, 어머니 연령 35세 이하 85명(29.72%), 36∼40세 129명(45.10%), 41세 이상 71명(24.83%) 등이었다. 아버지 학력은 고졸 이하 35명(12.24%), 대졸 이상 249명(87.06%) 등이었고, 어머니 학력은 고졸 이하 26명(9.10%), 대졸 이상 260명(90.91%)으로 나타났다. 가정의 월평균 수입은 220∼450만원 74명(25.87%), 450∼570만원 61명(21.33%), 570만원 이상 145명(50.70%) 등이었고, 아버지 직업은 사무직 109명(38.11%), 전문직 59명(20.63%), 자영업 33명(11.54%) 순으로 많았으며, 어머니 직업은 전업주부 100명(34.97%), 전문직 77명(26.92%), 사무직 63명(22.03%) 순으로 많았다.

2. 측정 도구
1)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성민경과 김지현(2021)이 개발한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창의성발달을 지원하는 놀이상호작용 3문항, 사회⋅정서발달을 지원하는 놀이상호작용 7문항, 인지발달을 지원하는 놀이상호작용 4문항, 언어발달을 지원하는 놀이상호작용 6문항, 신체발달을 지원하는 놀이상호작용 6문항으로, 총 2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척도는 4점 Likert식 척도로 ‘1점(전혀 하지 않는다)’부터 ‘4점(자주 한다)’으로 측정되었다. 총점의 범위는 26∼104점으로, 총합이 높게 나타날수록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이 자주 일어남을 의미한다. 이 척도의 Cronbach’s α인 전체 신뢰도는 .91로 신뢰로운 수치이다.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 측정도구의 문항 구성 및 신뢰도는 <표 1>과 같다.

표 1.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 측정도구의 문항 구성 및 신뢰도
영역 문항수 문항 예시 Cronbach’s α
창의성발달을
지원하는
놀이상호작용
3 나는 자녀와 놀이 중 자녀가 예술적인 생각과 느낌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이야기 나눈다.
(예:이 그림을 보면 기분이 어때?”, “이 음악을 들으면 어떤 색깔이 떠오르는지 말해줄래?등)
.76
사회ㆍ정서발달을
지원하는
놀이상호작용
7 나는 자녀와 함께 놀면서 내 기분을 자녀에게 말한다.
(예: “00와 함께 놀아서 기분이 좋아.”, “00가 놀잇감을 소중히 다루지 않아서 속상해.” 등)
.72
인지발달을 지원하는
놀이상호작용
4 나는 자녀와 놀이 중 자연에서 볼 수 있는 동식물, 곤충 등의 특징에 대해 관찰하며 이야기 나눈다.
(예:강아지가 꼬리를 흔드네.”, “공벌레를 툭 치니까 동그란 공이 되었어.” 등)
.80
언어발달을 지원하는
놀이상호작용
6 나는 놀이 중 자녀가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언어로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예: “어떻게 공을 가지고 놀아볼까?”, “00가 블록으로 만든 집은 어떤 집이니?등)
.73
신체발달을 지원하는
놀이상호작용
6 나는 놀이 중 자녀의 몸짓과 움직임을 말로 표현한다.
(예:00가 쌩쌩 달리고 있구나.” 등)
.80
전체 26 .91

2) 놀이신념

놀이신념을 측정하기 위해 Fogel(2003)이 제작한 놀이신념 척도를 유미(2008)가 수정, 번안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한국 샘플을 대상으로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긍정적 놀이신념 13문항, 부정적 놀이신념 7문항, 부모 중심 놀이신념 3문항으로 총 2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척도는 5점 Likert식 척도로 ‘1점(전혀 그렇지 않다)’부터 ‘5점(매우 그렇다)’으로 검사문항이 이루어져 있으며, 부정적 놀이신념은 역체점하여 총점 범위는 23∼115점으로 총합이 높게 나타날수록 부모의 놀이신념이 긍정적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 척도의 Cronbach’s α인 전체 신뢰도는 .87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놀이신념 측정도구의 문항 구성 및 신뢰도는 <표 2>와 같다.

표 2. 
놀이신념 측정도구의 문항 구성 및 신뢰도
영역 문항수 문항 예시 Cronbach’s alpha
긍정적 놀이신념 13 놀이는 우리 아이가 친구를 사귀고 협동하는 사회적 기술들이 향상되는데 도움이 된다. .90
부정적 놀이신념 7 놀이는 우리 아이가 셈하기, 글자 익히기와 같은 학습방법을 배우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72
부모 중심 놀이신념 3 나에게 우리 아이와 함께 노는 것은 중요하다. .79
전체 23 .87

3) 창의적 가정환경

유아의 창의성을 높이기 위한 가정의 환경적인 요소를 나타내는 창의적 가정환경(Sternberg & Lubart, 1991)을 측정하기 위해 오미형과 최보가(2006)가 개발한 창의적 가정환경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아동존중 8문항, 풍부한 학습 환경 9문항, 독립심 자극하기 7문항, 가족의 압력 8문항으로 총 3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4개의 하위요인 중 가족의 압력은 역체점하여 4개의 하위 요인의 점수를 합산하여 총점을 산출한다. 본 척도는 5점 Likert식 척도로 ‘1점(전혀 그렇지 않다)’부터 ‘5점(매우 그렇다)’으로 검사문항이 이루어져 있으며, 총점 범위는 32∼160점이다. 총합이 높게 나타날수록 더 높은 수준의 창의적 가정환경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 척도의 Cronbach’s α인 전체 신뢰도는 .84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창의적 가정환경 측정도구의 문항 구성 및 신뢰도는 <표 3>과 같다.

표 3. 
창의적 가정환경 측정도구의 문항 구성 및 신뢰도
영역 문항수 문항 예시 Cronbach’s alpha
아동존중 8 나는 아이가 스스로 이해하도록 격려한다. .86
풍부한 학습 환경 9 우리 집에는 아이의 흥미를 끄는 많은 것들이 있다. .78
독립심 자극하기 7 나는 아이가 자신의 일을 항상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 .77
가족의 압력 8 아이가 무엇인가 새로운 것을 시작할 때는 부모의 허락을 받아야 한다. .69
전체 32 .84

3.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는 IBM SPSS Statistics 21의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배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문항의 내적 일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Cronbach’s α 신뢰도 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부모의 놀이신념이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창의적 가정환경이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가 제안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이때 어머니의 유아와의 주간 총 놀이시간과 유아의 성별은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력이 확인되어 통제한 뒤 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연구문제에 따른 분석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에 앞서서 본 연구에서 조사된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 놀이신념, 창의적 가정환경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점수범위, 문항 수, 첨도, 왜도를 살펴보면 <표 4>와 같다. 이때 놀이신념의 ‘부정적 놀이신념’ 척도와 창의적 가정환경의 ‘가족의 압력’ 척도는 역코딩하여 계산하였으며, 놀이신념, 창의적 가정환경,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 척도는 하위영역별로 결과의 큰 차이가 없어 전체값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4. 
측정변인들의 기술통계 결과
요인 평균 표준편차 중앙값 최소값 최대값 왜도 첨도 점수범위 문항 수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
87.05 9.29 88.00 49.00 104.00 -.61 1.06 26∼104점 26
놀이신념 96.98 8.98 97.00 69.00 115.00 -.40 .03 23∼115점 23
창의적 가정환경 106.30 10.75 106.00 80.00 143.00 .24 .39 32∼160점 32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은 평균 87.05점(표준편차 9.29점)으로, 중앙값인 88.00점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부모의 놀이신념은 평균 96.98점(표준편차 8.98점)으로, 중앙값인 97.00점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창의적 가정환경은 평균 106.30점(표준편차 10.75점)으로, 중앙값인 106.00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 점수들의 첨도와 왜도를 파악한 결과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 부모의 놀이신념, 창의적 가정환경의 첨도가 10.00을 넘지 않고, 왜도가 절대값 3.00을 넘지 않으므로(Kline, 2005), 각 분포가 정규분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과 놀이신념, 창의적 가정환경 간의 상관관계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과 놀이신념, 창의적 가정환경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확인된 유아의 성별과 어머니의 유아와의 주간 총 놀이시간을 통제한 뒤 편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 부모의 놀이신념, 창의적 가정환경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제시된 <표 5>와 같다.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은 부모의 놀이신념(r = .39, p < .01), 창의적 가정환경(r = .53, p < .01)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부모의 놀이신념은 창의적 가정환경(r = .48, p < .01)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즉, 부모의 빈번한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은 긍정적인 놀이신념과 창의적 가정환경과 관련이 있다.

표 5.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과 부모의 놀이신념, 창의적 가정환경 간의 상관관계 (N=286)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 부모의 놀이신념 창의적 가정환경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 1
부모의 놀이신념 .39** 1
창의적 가정환경 .53** .48** 1
*p<.05, **p < .01. ***p < .001.

2. 부모의 놀이신념과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창의적 가정환경의 매개효과

부모의 놀이신념과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창의적 가정환경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정의한 단순 회귀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성별과 어머니의 총 놀이시간을 통제한 뒤 분석한 결과는 <표 6>에 나타나있다. 매개효과 검증은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 단계 모두 만족한다면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첫 번째로는 부모의 놀이신념이 창의적 가정환경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야 한다. 부모의 놀이신념이 매개변인인 창의적 가정환경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β = .45, p < .001). 두 번째는 부모의 놀이신념이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야 한다. 부모의 놀이신념이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β = .31, p < .001). 세 번째로는 부모의 놀이신념과 창의적 가정환경이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 때 놀이신념은 유의하지 않고, 창의적 가정환경만 놀이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경우 ‘완전매개효과’라고 명명하며, 놀이신념과 가정환경의 영향력이 유의하지만 2단계 놀이신념의 영향보다 3단계 놀이신념의 ‘표준화 계수’가 적게 나타날 경우엔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고 해석한다. 분석 결과, 부모의 놀이신념(β = .14, p < .05)과 창의적 가정환경(β = .40, p < .001)이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2단계 놀이신념 표준화 계수(β)는 .31이고, 3단계 놀이신념 표준화 계수(β)는 .14로 2단계 독립변수 표준화 계수가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표 6. 
부모의 놀이신념과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 관계에서 창의적 가정환경의 매개효과 (N=286)
1단계
독립 -> 매개
2단계
독립 -> 종속
3단계
독립 -> 종속 매개 -> 종속
β B 표준 오차 β B 표준 오차 β B 표준 오차
통제변인 유아의 성별 -.03 -.74 1.11 .05 .87 .96 .06 1.13 .89
어머니의 주간 총 놀이시간 .15** .20 .08 .31*** .37 .07 .25*** .30 .06
1단계 놀이신념 → 창의적 가정환경 .45*** .54 .64
2단계 놀이신념 → 놀이상호작용 .31*** .32 .06
3단계 놀이신념 → 놀이상호작용 .14** .14 .06
창의적 가정환경 → 놀이상호작용 .40*** .34 .05
R2 .25 .24 .36
수정된 R2 .24 .24 .35
F 31.52*** 30.27*** 39.89***
*p < .05, **p < .01. ***p < .001.
유아의 성별은 더미변수(남아 0, 여아 1)로 처리함.

이 결과는 <그림 1>과 같이 창의적 가정환경이 부모의 놀이신념이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서 Sobel test를 실시해보았다. 부모의 놀이신념이 부모-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창의적 가정환경의 매개효과는 Sobel(1982)의 유의성 검정 결과, Z = 5.44, p < .001로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 
부모의 놀이신념과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 관계에서 창의적 가정환경의 매개효과 연구모형

***p < .001.




Ⅳ. 논의 및 결론

이 연구는 부모의 놀이신념과 창의적 가정환경이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 놀이신념, 창의적 가정환경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지 파악하였다. 이후 부모의 놀이신념이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창의적 가정환경이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만 3, 4, 5세 자녀를 둔 어머니 286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음은 각각의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이다.

첫째,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과 놀이신념, 창의적 가정환경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 먼저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과 놀이신념은 관련이 있다. 이는 놀이신념이 유아와의 놀이참여 시간, 수준 및 빈도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는 이현지와 정혜욱(2016)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이다. 어머니가 놀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할수록 일상생활 및 놀이에서 유아와 빈번하게 수학적 상호작용을 한다는 연구결과(배진희, 김지현, 2017; 이은지, 김지현, 2018)도 긍정적인 놀이신념을 가진 부모가 일상 및 놀이 과정에서 유아와 다양한 상호작용을 빈번하게 할 수 있음을 유추하게 해 준다. 실제로 아버지가 놀이의 중요성과 가치를 알면 자녀에게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더 많이 하였으며(임예슬, 한유진, 2015), 어머니가 놀이에 대해 지지적인 신념을 가지고 있을 때 어머니와 자녀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 행동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신승렬, 이승희, 2016). 다음으로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은 창의적 가정환경과 관련이 있다. 자녀를 위해 어머니가 질 높은 가정환경을 제공하면 어머니의 수학적 상호작용은 빈번해졌으며(이은지, 김지현, 2018), 읽기를 위한 환경이 풍부하게 제공되었던 집단이 어머니와 자녀 간 상호작용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풍부하게 나타났다(정은숙, 1998). 또한 유아기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은 가정의 언어적, 물리적, 수학적 환경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으며(김지현, 2015), 어머니가 유아와의 놀이 상황 속에서 정서적으로 지지해줬을 때 유아의 인지적 유연성이 높게 나타났다(민성혜, 2000). 이는 아동을 존중하고, 풍부한 창의적 학습환경을 제공하며, 유아의 독립심을 자극하고, 가족의 압력이 적은 창의적 가정환경의 수준과 어머니와 유아와의 빈번한 놀이상호작용이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부모의 놀이신념이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창의적 가정환경이 부분적으로 매개한다. 부모가 높은 수준의 놀이신념을 가지고 있다면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을 더욱 활발하게 하게 되는데, 여기에는 높은 수준의 놀이신념을 가진 부모가 창의적인 가정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을 빈번하고 활발하게 하는 것임을 말해준다. 이 연구결과는 부모가 유아의 놀이에 참여하고자 하는 신념을 가지고 있을수록 가정환경의 질을 높이고, 높아진 가정환경의 질이 부모와 유아 간의 빈번한 수학적 상호작용을 가져왔다는 오혜선과 김지현(2021)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이는 긍정적인 놀이신념을 가지고 있는 부모가 가정에서 유아를 존중하고, 풍부한 학습 환경과 독립심을 자극하며, 압력이 적게 하는 창의적 가정환경을 조성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실제로 부모가 유아의 놀이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여 유아의 놀이 증진을 위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였는데, 이런 경험들은 유아의 놀이를 풍성하게 이끌었으며(홍수경, 2010), 아버지가 놀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놀이 지원을 했을 때 자녀권리 존중 실행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김영란, 2019), 자녀 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어머니일수록 아동권리 존중 실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문정연, 2016). 성미영, 장영은, 이강이와 손승희(2010)의 연구를 통해 어머니의 양육신념은 자녀에게 책을 읽어주는 것과 어휘발달에 관련된 가정문해환경과 자녀와 숫자세기 놀이나 게임을 하는 등의 가정수환경을 결정짓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창의성이 필요하다는 부모의 인식은 창의적인 가정환경을 마련하게 유도할 수 있다는 점(안선희, 성은현, 2016)은 놀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부모의 인식이 유아를 존중하고 유아의 독립심을 인정하며 놀이를 가치있다고 판단하여 적절한 학습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는 부모의 놀이상호작용을 활발하게 하기 위해서는 부모가 유아의 놀이가 유아의 전인적 발달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이라고 믿는 놀이신념만이 아니라 그 신념이 유아에게 창의적인 가정환경을 제공하려는 노력으로 이어질 때 유아의 발달을 지원하는 놀이상호작용을 더 빈번하게 해 줄 수 있다는 점을 말해준다.

이 연구는 부모의 놀이신념과 창의적 가정환경,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이 관련이 있으며, 창의적 가정환경이 부모의 놀이신념과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인임을 밝혔다. 그러나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두 가지 변인인 부모의 놀이신념과 창의적 가정환경 외의 다른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포함하는 연구가 추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 척도는 부모와 유아 간 놀이상호작용의 빈도만을 측정했다는 한계가 있다. 민감하고 세심하게 인식하고, 적절하게 반응해주는 질 높은 상호작용이 유아의 전반적인 발달을 지원하기에(홍형주, 2021), 추후 연구에서는 놀이상호작용의 질도 함께 연구할 필요가 있겠다. 이 연구에서는 유아와 어머니 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최근 어머니와 아버지가 함께 육아를 하고 있는 만큼 아버지 관련 변인들을 포함한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을 다루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가정에서만큼 유아기관에서 생활하는 유아들이 많은 만큼 추후 연구에서는 유아가 다니는 기관 그리고 교사 관련 변인들을 포함한 교사의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을 다루는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변인들의 영향력을 연구하여 가정에서 어머니와 유아 간의 놀이상호작용을 향상시키는 변인들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창의적 가정환경이 매개효과를 가진다는 점을 밝혀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을 위해 부모의 놀이신념과 더불어 유아를 창의적으로 길러내고자 노력한 가정환경일수록 부모가 유아와 놀이상호작용도 많이 하게 된다는 점을 밝혔다. 이 연구의 결과는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을 향상시키는 부모교육프로그램에서 부모의 긍정적인 놀이신념과 창의적 가정환경 구성의 중요성을 다루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는 바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유아의 놀이가 존중되고 유아를 창의적으로 기르기 위한 부모의 노력이 유아의 발달을 지원하는 놀이상호작용으로 이어지는 가정환경을 구축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석사학위 논문의 일부를 수정한 논문임.


References
1. 김명순, 조항린, 박영림, 신혜영(2013). 부모와 유아 자녀의 놀이에 관한 연구: 부모의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를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5(1), 37-53.
2. 김상진(2021).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영란(2019).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자녀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부모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영유아교육지원연구, 4(1), 51-67.
4. 김종석(2011). 아버지의 놀이성과 부모효능감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지현(2015). 유아기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36(5), 95-113.
6. 문정연(2016). 유아 어머니의 양육특성이 자녀에 대한 아동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민성혜(2000). 어머니-자녀 상호작용과 유아의 인지⋅언어발달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미혜(2009). 어린이집 실외놀이 시설 실태와 실외놀이 활동에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국립진주산업대학교 벤처창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영애, 김리진(2011). 유아기 및 아동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관련 인식 기초조사.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4(2), 37-56.
10. 배진희, 김지현(2017). 만 3 세 유아의 인지발달에 대한 부모-교사 협력관계의 영향력: 가정환경의 질,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6), 143-161.
11. 서은희, 이미숙(2012). 유아의 활동성 기질과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어머니-유아 관계, 교사-유아 관계의 중재효과. 가정과삶의질연구, 30(2), 27-46.
12. 성미영, 장영은, 이강이, 손승희(2010). 양육신념, 부모협력 및 가정학습환경과 유아의 학교준비도. 가정과삶의질연구, 27(6), 21-29.
13. 성민경, 김지현(2021). 영유아의 발달을 지원하는 부모-자녀 놀이상호작용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가정과삶의질연구, 39(2), 121-140.
14. 신승렬, 이승희(2016). 모의 양육효능감과 놀이신념 및 모-자녀 상호작용행동의 관계: 양육미혼모 가정과 양부모 가정을 중심으로. 재활심리연구, 23(3), 547-567.
15. 신혜경(2009).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안서희, 정윤경(2019). 놀이 상황에서 어머니의 인지적⋅정서적 지지와 유아의 인지적 유연성 간의 관계: 흥미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2(3), 99-119.
17. 안선희, 성은현(2016). 창의성에 대한 부모인식, 가정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특성간의 관계. 창의력교육연구, 16(1), 63-79.
18. 염연옥, 김진희(2017). 유아의 놀이 유형별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에 따른 창의적 성격 간 차이.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7(2), 91-109.
19. 오미형, 최보가(2006). 취학 전 아동을 위한 창의적 가정환경 척도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44(1), 1-10.
20. 오지현(2011). 어머니의 성격 유형 및 놀이참여 형태와 만 5세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오혜선, 김지현(2021). 부모 참여적 놀이신념이 유아기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정환경의 질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5), 475-487.
22. 유미(2008).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송희(2019). 어머니의 창의성과 창의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은경(2019). 유치원교사의 아동권리인식 및 아동권리존중실행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은지, 김지현(2018). 유아기 어머니의 수학학습관점이 가정환경의 질과 어머니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 아동과 권리, 22(3). 527-544.
26. 이정희(2021). 유아교사의 놀이성, 놀이교수효능감, 교수창의성,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이현지, 정혜욱(2016). 부모의 놀이신념, 놀이참여,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 부모의 놀이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육아지원연구, 11(4), 77-95.
28. 이행숙, 한유진(2008). 전통놀이에 나타난 어머니-영아간 신체적 상호작용. 아동학회지, 29(3), 253-272.
29. 임시형(2017). 부모의 놀이성과 놀이참여시간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임예슬, 한유진(2015). 아버지의 놀이신념이 부-자녀 간 상호작용과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6(2), 1-16.
31. 임현주, 최항준(2017). 유아의 개인변인, 타인 (부모, 가족, 또래, 교사)과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수용⋅표현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2), 237-259.
32. 정은숙(1998). 읽기를 위한 가정 환경과 책읽기에서 어머니-유아의 상호작용.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최태산, 조미정(2009). 아동의 놀이성 관련 연구 경향 분석: 국내학회지 및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1994년∼ 2008년).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2(4), 75-96.
34. 한송이(2019).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홍수경(2010). 유아의 놀이에 관한 부모의 인식.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홍정유(2007).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양육 효능감과 양육행동과의 관계. 수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홍형주(2021). 어머니-자녀 상호작용과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39. Fogel, L. (2003). Parent beliefs about play: Relations with parent-child play interaction and child peer play competenc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in the Department of Psychology,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Columbia, South Carolina, United States.
40.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New York: The Guilford.
41.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1). An investment theory of creativity and it’s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34(1), 1-31.
42. Stern, D. N. (1977). The First Relationship: Mother and Infant.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