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과삶의질학회
[ Article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Vol. 41, No. 4, pp.75-88
ISSN: 2765-1932 (Print) 2765-2432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3
Received 18 Sep 2023 Revised 06 Nov 2023 Accepted 18 Nov 2023
DOI: https://doi.org/10.7466/JFBL.2023.41.4.75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미니멀리즘 분석

진현정1
Minimalism through Textmining Analysis
Jin, Hyun-Jeong1
1Depart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for Life,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rofessor

Correspondence to: *Hyun-Jeong Ji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96, Seochojungang-ro, Seocho-gu, Seoul, 06639, Rep. of Korea. Tel: +82-2-3475-2514, E-mail: hjjin@snue.ac.kr

초록

형태를 단순화하고 본질로 환원하려는 예술 사조를 의미하는 미니멀리즘은 최근 개념이 확장되어 소비를 줄이고 간소한 삶을 추구하는 생활방식을 함의한다. 미니멀리즘이 대중적으로 유행하기 전부터 학계에서는 소비를 절제하고, 소박한 삶을 추구하는 경향을 자발적 간소화로 명명하여 관련 연구를 꾸준히 진행해 왔다. 미니멀리즘과 자발적 간소화는 유사하지만 추구 동기와 개념 일치 여부를 두고 학자들간 의견이 다양하다. 이에 본 연구는 미니멀리즘이 포함된 블로그 게시글을 크롤링하여 텍스트마이닝 기법으로 살펴봄으로써 미니멀리즘 관련 주요어와 주제, 자발적 간소화와의 개념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네이버 블로그에 게시된 미니멀리즘 관련 글 3,234개를 R 프로그램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분석 결과 빈도가 높은 단어는 생각, 사람, 공간, 사용, 시간, 디자인, 정리, 인테리어, 물건, 우리 순으로 나타났다. 빈도가 높은 단어 중 공간, 인테리어, 정리 같은 단어를 통해 미니멀리즘은 주생활 관련 글에 자주 사용되며, 사용, 시간, 물건 같은 단어를 통해 자원 관리와 결부되어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미니멀리즘은 예술/디자인 영역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으나 현재는 예술 및 디자인보다 라이프스타일 관련 용어로 더욱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둘째, 빈도가 300회 이상인 단어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간, 사용, 필요, 시작, 마음, 공간 순으로 노드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나 미니멀리즘 관련 글에서 라이프스타일 관련 단어가 핵심임을 알 수 있다.

셋째, 토픽모델링으로 주요 주제를 분석한 결과, 미니멀리즘은 예술/미학, 제품 속성, 패션, 식생활, 공간/인테리어, 이사/정리서비스 광고, 소비와 정리정돈, 여행, 목표 설정 및 성찰, 화장품을 포함하는 전체 10개의 토픽으로 구분되며, 크게 예술/디자인 영역과 소비/라이프스타일 영역으로 양분할 수 있다. 환경 관련 내용은 중요한 주제로 나타나지 않아 미니멀리즘은 환경에 대한 관심보다 개인적인 성찰이나 이익에 의해 동기가 유발됨을 유추할 수 있다.

Abstract

Minimalism, which refers to an artistic trend that seeks to simplify form and reduce it to its essence, has recently been expanded as a concept to imply a lifestyle that reduces consumption and pursues a simple life. Even before minimalism became popular, academia named the tendency to moderate consumption and pursue a simple life as voluntary simplicity, and have steadily conducted related research. Although minimalism and voluntary simplicity are similar, opinions among scholars vary regarding the motivation for pursuing them and whether the concepts are consistent. Accordingly, this study crawled blog posts containing minimalism and examined them using textmining techniques to check the key words and topics related to minimalism and the consistency of concepts between minimalism and voluntary simplicity. The results of analyzing 3,234 minimalism-related blog posts on Naver using the R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the words with high frequency are ‘thought’, ‘people’, ‘space’, ‘use’, ‘time’, ‘design’, ‘decluttering’, ‘interior’, ‘stuff’, ‘we’ in that order. Among the high-frequency words, minimalism is frequently used in housing life through words such as space, interior, and it is tied to resource management through words such as use, time, and objects. Minimalism is still used in the art/design field, but is now more frequently used as a lifestyle term than as an art and design term.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network analysis on words with a frequency of more than 300 times, it was found that the node size was large in the order of ‘time’, ‘use’, ‘need’, ‘start’, ‘mind’, and ‘space’. This word played a central role in minimalism-related posts was related to lifestyle. It can be seen that the lifestyle is major theme in recent minimalism.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in topics through topicmodeling, minimalism includes art/aesthetics, product attributes, fashion, dietary life, space/interior, advertising for moving/organization services, consumption and decluttering, travel, goal setting and introspection, and cosmetics. Minimalism has been largely used in the areas of art/design and consumption/lifestyle. Environmental-related content does not appear as an important topic, so it can be inferred that minimalism is motivated by personal reflection or profit rather than interest in the environment.

Keywords:

minimalism, textmining, topicmodeling, voluntary simplicity

키워드:

미니멀리즘, 자발적 간소화, 텍스트마이닝, 토픽모델링

I. 서론

‘적을수록 좋다(Less is more)’라는 말로 대표되는 미니멀리즘(minimalism)은 최근 예술에서 일상으로 확장되고 있다. 1960년대 미국에서 태동한 미니멀리즘은 불필요한 것을 제거하여 최소만 남기며, 본질로 환원하려는 경향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 사조이다. 재료의 물성을 살리며, 기하학적 단순한 형태와 요소를 반복하는 것 또한 미니멀리즘 특징으로 들 수 있다. 회화, 조각, 건축, 음악, 문학 등 미학 관련 분야에서 다루던 미니멀리즘이 간소한 삶에 관한 서적, 다큐멘터리, SNS 등에 등장하며 미니멀리즘은 중요한 가치에 집중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것을 제거하고, 소박하고 단순한 삶을 추구하는 생활방식으로 의미가 확장되고 있다.

간소한 삶을 추구하려는 노력은 비단 최근 현상이 아니다. 소박한 삶은 오랜 기간 중요한 논제로 철학과 종교에서 인간의 행복과 결부되어 논의되었다. 고대 그리스의 스토아 학파와 에피쿠로스 학파 철학자들 사이에서 단순하고 소박한 삶이 행복에 이르게 한다는 주장에 대해 논의가 있었고(Westacott, 2016), 동⋅서양의 종교와 철학자, 사상가들은 사치와 낭비를 배격하고 절제하는 삶이 올바른 삶임을 설파하였다(Kang et al., 2021). 이후 소유가 인간을 행복하게 할 것인가에 대한 논란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지속되었다. 자본주의와 산업 성장으로 물질적으로 풍요로워졌으나 자원고갈과 환경문제에 직면하게 되었고, 물신주의적 가치관이 팽배해졌다. 물질 획득 이후 더 이상 행복을 느끼지 못하는 경험이 축적되어 인간은 물질 소유 여부가 지속적인 행복을 가져다주지 않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되었고, 경제 성장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검약, 절제와 같은 덕(김완구, 2017), 지속가능한 소비가 제안되었다.

자발적 간소화(voluntary simplicity)는 사회적, 환경적 이유로 간소한 삶을 추구하는 생활방식을 의미하며, 소비절제의 일환이다. 물질 중심 사회에서 소유를 줄이는 자발적 간소화는 개인의 만족과 행복을 위한 대안적인 삶의 방식으로 간주되며, 자본주의 경제의 주류에서 벗어나 있는 일종의 틈새 소비로 볼 수 있다(McGouran & Prothero, 2016). 자발적 간소화는 성장 위주의 사회 분위기와 과잉 소비에 대한 반발로 일부 사람들이 추구하던 탈물질주의, 반(反)소비 라이프스타일이자 소비 운동으로 서구에서 전개되었다. 1990년대 말 이후 우리나라 학계에서 자발적 간소화 관련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이 용어는 대중과 괴리된 채 학술 용어로 제한되었다. 최근 소비와 소유물을 줄이고 간소한 삶을 추구하려는 경향을 대중은 자발적 간소화 대신 미니멀리즘으로 표현하고 있다.

2020년 Covid-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이전과 다른 소비 양상이 전개되었다. 소비자는 원하는 것과 필요한 것을 구분하고, 사회적 거리두기로 집안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쾌적한 공간을 만들기 위하여 불필요한 물건을 버리고 집안을 정리하였다. 축적되어 있는 물건을 버리고 적은 물건으로 간소하게 사는 삶을 권하는 책이 이 시기에 유행하였고, Netflix에서 방영된 정리/수납 전문가, 곤도 마리에(Kondo Marie)의 집안 정리 프로그램은 미국인들이 묵은 살림을 대대적으로 버리고 정리하는 계기를 만들었다(Sandlin & Wallin, 2022). 단순하고 비우는 삶을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이자 소비자 운동(Chen & Liu, 2023)인 미니멀리즘은 예전에도 존재했으나 Covid-19 유행 이후 관심이 더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Kang et al., 2021; Meissner,ㅋ 2019). 소비와 삶의 방식으로서의 미니멀리즘은 최근 몇 년간 주요 트렌드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미니멀리즘으로 명명하고 진행한 연구는 최근에야 이루어졌고, 개념에 대한 합의가 아직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Kang et al., 2021; Wilson & Bellezza, 2022). 특히, 미니멀리즘이 자발적 간소화와 동일한 개념인지 아닌지를 두고 논란이 있다(전주언 외, 2021).

언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성, 성장, 소멸하며 변화한다. 단순한 삶을 위한 소비 절제를 의미하는 자발적 간소화는 학계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예술 및 디자인 분야에 뿌리를 둔 미니멀리즘은 최근 소비와 라이프스타일 관련 용어로 의미가 확장되고 있으며 대중은 이를 수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니멀리즘이 포함된 SNS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니멀리즘 관련 단어와 주제를 고찰하고, 자발적 간소화와 개념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자 한다. 미니멀리즘으로 검색되는 블로그 게시글을 크롤링하여 주요 단어의 출현빈도, 주요 단어 사이의 관계, 미니멀리즘 관련 주제를 확인하여 향후 관련 연구에서 미니멀리즘 개념을 정립하고, 연구 방향을 결정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1: 미니멀리즘 관련 블로그 게시글에 포함된 주요 단어의 출현빈도를 고찰하여 미니멀리즘이 주로 어떤 단어와 함께 사용되는지 알아본다.
  • 연구문제 2: 미니멀리즘 관련 블로그 게시글의 주요 단어 중 중심 역할을 하는 단어를 확인하고, 단어들 간의 관계를 알아본다.
  • 연구문제 3: 미니멀리즘 관련 블로그 게시글의 주요 토픽을 고찰하여 미니멀리즘은 어떤 주제로 전개되고 있는지 알아본다.

1. 예술에서의 미니멀리즘

미니멀리즘은 1960년대 중반, 추상표현주의에 대한 반발로 조형예술에서 등장한 미학적 흐름이다. 건축가 Ludwig Mies van der Rohe(1886-1969)는 간단한 구조와 개방된 공간에 대한 선호를 ‘적을수록 좋다(Less is more)’라는 말로 표현하였고(Martin-Woodhead, 2022), 이 경구는 미니멀리즘 표현 방식과 가치를 함축적으로 나타낸다. 조형예술에서 미니멀리즘은 일루전(illusion)의 배제, 상징의 최소화, 극소화된 형태와 요소, 단순 기하학적 형태의 반복, 본질로 회귀하고자 하는 환원성이 특징이다. 미니멀리즘 미술에서는 작가의 주관적 개입이 최소화되는 대신 수용자 개인의 능동적인 해석이 중요하다. 조형예술에서 미니멀리즘은 댄 플래빈(Dan Flavin), 칼 안드레(Carl Andre), 도널드 저드(Donald Judd) 등이 주도하였다(이정욱, 1997).

조형예술에서 시작된 미니멀리즘은 발현 시기의 차이는 있으나 음악, 무용, 문학, 건축, 패션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었고, 장르별 고유한 특징이 나타난다. 1960년대 미국에서 시작된 미니멀리즘 음악은 기본 단위의 반복으로 변화를 최소화한다. 정체된 화성, 지속음을 특징으로 하며, 감정을 배제하고, 음악의 본질에 접근하고자 하였다(이민희, 2017). 스티브 라이히(Steve Reich), 필립 글래스(Philip Glass)가 미니멀리스트 작곡가로 분류된다(이민희, 2017). 무용에서 미니멀리즘은 일상적인 걷기, 달리기와 같은 움직임을 안무에 포함시키며, 연속과 반복을 통해 의미를 확장하고 신체 움직임이라는 춤의 본질에 다가가고자 하였다(민성희, 2000; 신창호, 2013). 문학에서 미니멀리즘은 열린 결말, 수식어 사용 절제, 단문 사용이 특징으로 화자의 설명 없이 경험 자체를 보여주는 방법으로 전개된다(노헌균, 2007; 홍재웅, 2010) 헤밍웨이(Ernest Hemingway), 레이먼드 카버(Raymond Carver) 작품에 미니멀리즘 특징이 잘 반영되었다. 건축에서는 단순, 기하학적 형태 반복, 재료의 물성을 강조하여 본질을 추구하고, 환경과의 관계를 고려하는 장소성으로 미니멀리즘을 표현하였다(윤상영, 윤재은, 2009). 미니멀리즘 패션은 간결한 라인 및 장식과 디테일의 최소화(변지연, 이순홍, 1996; 이지현, 노윤선, 2008), 우주복을 연상시키는 소재, 투명 소재 등 하이테크 소재 사용(변지연, 이순홍, 1996), 색채의 단순화(이지현, 노윤선, 2008), 사이즈의 소형화(변지연, 이순홍, 1996; 이지현, 노윤선, 2008)가 특징이다. 패션에서 미니멀리즘은 1960년대 앙드레 쿠레주(Andre Courreges)의 작품, 메리 퀀트(Mary Quant)의 미니스커트에 반영되었고, 레트로 열풍 속에 1990년대 부활하였다(변지연, 이순홍, 1996).

이상과 같이 미니멀리즘이 다른 예술 분야로 확장될 때 분야 고유의 표현 요소를 통해 단순성, 반복성이 전개되었고, 분야 본질로 환원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미니멀리즘 기본 철학을 담았다. 최근에는 미니멀리즘이 생활방식에까지 확장되어 개인이 일상생활에서 미니멀리즘이 담고 있는 철학과 가치를 추구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2. 자발적 간소화

자발적 간소화는 Richard Gregg가 1936년 출판한 『The Value of Voluntary Simplicity』라는 저서에서 처음 제시한 용어로 부처, 모하메드, 성 프란체스코, 힌두교의 현자(rishi)와 같은 영적 지도자들로부터 영감을 받았다(Kang et al., 2021). 이 용어는 수십 년간 잊혔다가 자본주의 사회에서 발생하는 물질주의, 과잉 소비 등의 문제에 대응하는 소비 문화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1970년대 다시 주목받게 되었고(Kang et al., 2021), Elgin(1993)의 저서를 통해 대중화되었다. 김완구(2017)Elgin(1993)이 저술한 자발적 간소화를 “자신의 삶을 자발적으로 선택하고 인생에서 쓸데없고 복잡한 것들로부터 벗어나 개인의 내적인 성장 및 검소한 소비를 통해 생태계와의 조화되는 삶을 살아가는 것”(김완구, 2017, p. 136)으로 요약하였다.

소비 관련 연구에서 자발적 간소화는 주로 소비 절제의 한 유형으로 간주된다. 소비 절제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적게 구입함으로써 소비를 자발적으로 회피하려는 것으로(Lee et al., 2009), 금전 자원이 부족하여 원하는 제품을 구입하지 못하는 상황과 구분된다(Nepomuceno & Laroche, 2015). 자발적 소비절제는 관리할 물건을 줄이고 삶을 간소화하기 위해, 또는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해 소비를 절제한다는 점에서 경제적인 이유로 소비를 줄이는 비자발적 소비절제와 구분된다. 자발적 소비절제에는 근검절약, 재무관리, 자급자족, 환경문제 경감, 자발적 간소화를 위한 소비절제가 포함되었고, 자발적 소비절제는 개인의 행복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성영애, 2016). Nepomuceno와 Laroche(2015)는 소비절제의 하위 차원을 검소함, 자발적 간소화, 강박적 소비절제로 구분하였고, 개인 채무 및 잔고와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절제하는 개인의 잔고가 더 높은 경향을 보여 소비를 제한하고 지속 가능한 소비를 추구하는 사람들이 재정 건전성을 유지하고 자산을 더욱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발적 소비절제와 간소화는 행복을 상승시키고, 건전한 소비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미린, 홍은실, 2016; 성영애, 2016; 최경숙, 박명숙, 2017; Hook et al., 2023; Nepomuceno & Laroche, 2015). Hook et al.(2023)은 자발적 간소화가 개인의 심리적 웰빙, 만족도, 삶의 목적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고, 불안, 스트레스, 소비중독같은 부정적인 요인을 완화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발적 간소화는 물질만능의 산업사회에서 복잡한 삶을 겪은 후 발생하며, 이를 통해 사람들은 물질과 정신의 균형을 이루고, 내적 풍요를 얻게 된다(송인숙, 1999; Elgin, 1993).

자발적 간소화는 사회와 환경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운동으로 전개되기도 하였다. 특히, 자원고갈과 환경문제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나 제로 웨이스트 운동과 연관되어 있다. Alexander와 Ussher(2012)의 연구에서 간소화를 추구하는 동기는 환경에 대한 관심, 자급자족, 건강하게 살기 위해, 불필요한 것을 줄이기 위해, 돈을 절약하기 위해, 정신적으로 살기 위한 이유로 나타났다. 자발적 간소화는 후기 산업사회의 소비와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적 접근 방식이 될 수 있음을 Alexander와 Ussher(2012)는 제시하였다. 자발적 간소화와 환경운동의 관련성을 고찰한 윤숙현(2004)의 연구에서 자발적 간소화와 환경의식/행동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확인되어 두 개념을 상호보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자발적 간소화의 관련성 연구에서 Zavestoski(2002)는 자발적 간소화 수업 참가자는 자신의 삶에 부족함을 느껴 자발적 간소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평균 미국인들보다 교육수준과 임금이 높은 편이었다. 우리나라 주부를 대상으로 진행한 윤숙현(2004)의 연구에서 사회경제적 지위를 보여주는 남편의 학력과 직업, 가계소득이 높을수록 자발적 간소화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서양에서 이루어진 연구와 차이가 있었다. 이 결과는 우리나라 고소득층의 시민의식이 낮거나 타인을 의식하는 소비행태 때문으로 해석하였다(윤숙현, 2004). 부가적으로, 이러한 결과는 대안적 소비 방식에 대한 이 시기 국내 소비자의 저조한 관심 때문으로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성인 소비자는 절제와 간소함 점수는 높았으나 자율성은 낮아 절제와 간소함을 보여주기식으로, 타인에 비해 도덕적으로 우위를 점하려는 행동으로 김미린과 홍은실(2016)은 간주하였고, 시민의식이 성장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과 관련 교육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Covid-19 팬데믹 이전 이루어진 자발적 간소화 관련 국내 연구는 추구 동기에서 서구의 연구결과와 차이가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의 미성숙한 소비문화에 기인한 것으로 결론짓는 경우가 많았다.

경제 성장과 물질주의를 경험한 국내 소비자는 물질이 행복을 가져다주는 것이 아니며, 자원고갈과 환경 위기로 인하여 지속가능한 소비의 중요성을 지각하게 되었다. 따라서, 소비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으며, 자발적 간소화와 유사한 미니멀리즘이 삶과 소비의 대안적 방식으로 부상하고 있다.

3. 라이프스타일 미니멀리즘

예술에서 주로 사용되던 용어인 미니멀리즘은 최근 불필요한 소비와 소유물을 줄여 물질 대신 인생의 중요한 가치에 집중하려는 삶의 방식을 의미하게 되었다. 예술에서의 미니멀리즘과 구분하기 위하여 소유하는 물건 수를 줄이고 간소한 삶을 살기 추구하는 최근 경향을 Meissner(2019)는 라이프스타일 미니멀리즘(lifestyle minimalism), Wilson과 Bellezza(2022)는 소비자 미니멀리즘(consumer minimalism)으로 지칭하였다. 그러나, 대중은 라이프스타일이나 소비자 같은 수식어 없이 미니멀리즘이라는 단어만으로 소비와 소유물을 줄이려는 최근 현상을 표현한다. 예술에서 미니멀리즘은 예술 사조나 미학적 접근 방식으로 간주되지만, 일상에서 미니멀리즘은 학계에서 주로 ‘자발적 간소화’로 표현해 왔던, 물질적 소유와 소비를 줄이고, 중요한 가치에 집중하여 더 의미 있는 삶을 살기 위한 대안적 라이프스타일과 유사한 의미로 해석된다. Hook et al.(2023)은 미니멀리즘을 개인의 목적에 따라 불필요한 잡동사니와 소유물을 부러 제한하는 것으로, Kang et al.(2021)은 단순히 소유물을 잘 정리정돈하는 것이 아니며, 인생에서 불필요한 것을 제거하고 중요한 가치에 집중하는 것으로 일상에서 미니멀리즘을 정의하였다.

자발적 간소화와 라이프스타일 미니멀리즘이 유사하다는 것에 많은 학자들이 동의하지만 일치 여부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양하다. Martin-Woodhead(2022)는 미니멀리즘과 자발적 간소화는 소비와 물건의 축적을 줄이고, 개인의 성장과 가치에 초점을 두는 등, 몇 가지 핵심 특징을 공유하기 때문에 유사하다고 하였다. Hook et al.(2023)은 자발적 간소화가 미니멀리즘이 사용되기 이전의 용어로 보았으나, 자발적 간소화는 환경과 사회적 책임에 초점을 두는 데 반해 미니멀리즘은 이에 대하여 덜 구체적인 경향이 있으며 개인 스스로 가치를 정의하도록 한다고 주장하였다. 자발적 간소화는 환경, 사회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운동임에 반하여 미니멀리즘은 사회적, 정치적인 성격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두 개념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보기도 하며(Kang et al., 2021), 전주언 외(2021)는 미니멀리즘을 추구하는 미니멀리스트는 사회적 의식을 공유하기 보다 내적 만족에 집중한다는 점에서 미니멀리즘과 자발적 간소화는 차이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소비자학에서 미니멀리즘 관련 연구는 최근 등장하였다. Martin-Woodhead(2022)는 15명의 영국 미니멀리스트와의 면접을 통해 라이프스타일 미니멀리즘을 추구하는 배경과 혜택을 확인하였다. 미니멀리스트는 물건을 신중하게, 적게 구입하였고, 참여자 중 일부만 윤리적이고 지속 가능한 제품을 획득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나 환경적 관심보다는 개인적인 이익에 의해 동기가 유발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들은 신체적, 시간적, 정신적 공간이 늘어나는 이점 때문에 미니멀 라이프스타일을 채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Lloyd와 Pennington(2020)은 미니멀한 삶이 개인의 삶의 질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미니멀리스트들과의 면접을 통해 확인하였다. 미니멀한 삶은 개인의 자주성, 역량, 정신적 여유, 인식, 긍정적 감정에 영향을 미쳐 미니멀한 삶을 추구하는 개인이 높은 웰빙 수준을 경험함을 주장하였다. 미니멀한 삶을 지향하는 개인은 자아를 더 잘 이해하고, 사회적 연결을 강화하며,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 보다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다(Hausen, 2019). 미니멀리즘을 받아들이고 물질적 소비보다 체험적 소비를 우선시하는 사람이 더 높은 수준의 행복과 삶의 만족을 경험함을 Matte et al.(2021)은 확인하였다. Kang et al.(2021)은 미니멀리즘은 소유에 대한 의존을 줄이고, 소비 관행을 조절하여 감정적인 부담과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의 감정적 웰빙을 증진시키는 데 유익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Bardey et al.(2022)의 연구에서 품질, 내구성에 초점을 맞춘 단순, 클래식한 옷으로 구성된 최소한의 옷장을 경험한 참가자들은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자신의 스타일을 찾는 과정에서 기쁨을 경험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미니멀리즘은 삶의 질과 개인의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 되었다. 이 결과는 자발적 간소화를 통해 얻는 혜택과 유사하다.

선행 연구에서 미니멀리즘은 사회경제적 지위와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ilson과 Bellezza(2022)의 연구에서 미니멀리즘은 높은 사회 경제적 지위를 보여주는 일부 척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물질적 풍요가 미니멀리즘의 선행 조건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뒷받침했다. Chen과 Liu(2023)의 연구에서 사회 경제적 지위가 낮은 소비자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미니멀리즘을 접목한 브랜드에 대해 덜 호의적으로 평가하는 것 나타났다. 이 결과는 물질적 풍요를 이미 경험한 개인은 물질이 행복을 가져다주는 것은 아님을 깨달은 후 미니멀리즘에 관심을 갖고, 아직 풍요를 경험하지 못한 개인은 미니멀리즘에 상대적으로 무관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라이프스타일 미니멀리즘 척도를 개발하고, 하위차원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 또한 이루어졌다. Wilson과 Bellezza(2022)는 소비문화에서 미니멀리즘은 소유물의 수, 부족함의 미학, 신중하게 엄선한 소비로 구성되었다고 보았고, 이를 하위 차원으로 구성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 척도에서 소유물의 수는 소유물을 축적하지 않고 제한하려는 노력으로 측정하였다. 부족함의 미학은 단순한 디자인과 비움을 보여주는 환경에 대한 선호로 측정하였다. 이는 비움에서 얻는 미학적인 효용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신중하게 엄선한 소비는 선택에서 신중한 정도로 측정하였다. Kang et al.(2021)은 미니멀리즘을 불필요한 것의 정리, 신중한 구입, 내구성 지향, 자족의 하위 차원으로 구성하였다. Kang et al.(2021)은 미학적 선호를 척도에 포함시키지 않았으나 Wilson과 Bellezza(2022)의 연구에는 단순한 디자인 제품에 대한 선호가 미니멀리즘 하위 차원으로 포함되어 소비자 미니멀리즘은 미적 취향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Rodriguez(2018)는 미니멀리스트 운동이 소비 문화와 사회적 변화의 관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대안적인 사회적 경제 구조를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Meissner(2019)는 라이프스타일 미니멀리즘과 탈성장(de-growth)은 소비를 제한하고, 자원의 절약과 재생에 초점을 맞추며, 사회적 공유와 협력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하므로 이를 통한 사회와 경제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소유물을 줄이려는 최근의 현상이 지속된다면, 미니멀리즘은 풍요의 시기를 거치며 얻은 물질주의, 스트레스, 자원고갈 등 개인적,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적 라이프스타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절차

본 연구는 미니멀리즘을 포함하는 블로그 게시글을 추출하여 주요 단어의 출현 빈도를 확인한 후 단어 사이의 관계를 키워드 네트워크로 분석하고, 토픽모델링으로 미니멀리즘 관련 주제를 고찰하였다<그림 1>.

그림 1.

연구 절차

2. 데이터 수집

네이버 블로그는 2003년 서비스 개시 후 약 20년 동안 지속되었고, 2022년 기준으로 약 3200만개의 포스팅이 존재한다(네이버 블로그 리포트, 2022). 다른 SNS보다 텍스트가 많은 네이버 블로그는 단어 사용 현황을 텍스트마이닝으로 고찰하기 용이하여 이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월 31까지 한 달간 새로 게시된 포스팅에 대하여 Python 3.9에서 네이버 OPEN API 기반으로 ‘미니멀리즘’을 검색어로 설정하고, 제목, 본문, 해시태그에 미니멀리즘이 포함된 게시물을 추출하였다. 일반 글과 광고 및 업체 지원금을 받고 게시한 글의 구분이 모호한 경우가 많아 추출된 모든 글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전체 3,234개 포스팅을 분석하였다.

3. 분석 방법

텍스트마이닝은 방대한 양의 비정형 데이터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고 해석하는 분석 방법이다. 이는 대량의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감정, 특정 정보, 패턴을 추출하여 트렌드나 주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텍스트마이닝 기법 중 빈도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토픽모델링이 자주 활용되고 있다.

추출한 데이터는 R 4.3.1 for Window로 분석하였다. KoNLP 패키지를 활용하여 명사를 추출하였고, 1음절과 의미 없는 명사를 삭제한 후 빈도 분석을 실시하여 워드 클라우드로 시각화하였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동시 발생이나 연관성을 기준으로 어떤 단어가 연결망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강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키워드 간 상호작용과 핵심 주제를 파악하고,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에서 전체 연결망에서 키워드가 차지하는 위치는 노드(node)로, 연결 강도는 링크(link)로 시각화하고, 커뮤니티는 색으로 구분하였다. 단어를 군집화하여 의미 있는 주제들을 발견하고 주제들 간 연관 관계를 발견하기 위해 사용하는 토픽모델링(topicmodeling)은 문서의 단어 분포 패턴을 기반으로 여러 주제로 분류하는 확률 모델인 디리클레 할당(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알고리즘(Blei et al., 2003)을 주로 사용한다. 본 연구는 LDA기반 알고리즘으로 토픽모델링을 진행하였으며 Griffiths와 Steyvers(2004)가 제안한 복잡도 지표인 ‘Griffiths2004’를 사용하여 최적의 토픽 수를 도출하였다.


Ⅲ. 연구결과 및 논의

1. 미니멀리즘 관련 주요 단어 분석

수집한 글을 대상으로 R 프로그램의 KoNLP 패키지를 활용하여 명사를 추출한 결과, 1,148,579개가 추출되었다. 먼저, ‘한’, ‘것’, ‘수’, ‘나’, ‘들’, ‘적’ 등 1음절 명사를 삭제하였고, ‘가지’, ‘그것’, ‘들이’, ‘때문’, ‘무엇’, ‘번째’, ‘정도’, ‘하기’, ‘하면’, ‘하시’, ‘하지’, ‘해서’ ‘진짜’ 등 의미 없이 반복되는 명사 13개를 삭제하였다. 검색어로 사용한 ‘미니멀리즘’은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추출된 63,245개의 키워드 중 빈도가 높은 상위 100개 명사를 <표 1>에 제시하고, 워드클라우드<그림 2>로 표현하였다. 생각(5,696회)이 가장 빈도가 높았고, 그 다음 사람(4,235회), 공간(4,213회), 사용(4,153회), 시간(3,996회), 디자인(3,853회), 정리(3,503회), 인테리어(3,427회), 물건(3,238회), 우리(2,882회) 순으로 나타났다. 블로그에는 개인적인 사색, 일상 감정을 표현하는 글이 빈번하게 게시되므로 ‘생각한다’, ‘생각했다’ 같은 서술어가 많고, 그 결과 ‘생각’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빈도가 높은 10개 명사 중 공간(3위), 인테리어(6위), 정리(8위)를 통해 미니멀리즘은 주생활 관련 글에 사용되며, 사용(4위), 시간(5위), 물건(9위)을 통해 미니멀리즘은 자원 관리와 결부됨을 유추할 수 있다. 작품(14위), 작가(23위), 전시(39위)를 통해 미니멀리즘은 예술 영역에서 여전히 사용됨을 알 수 있다. 주생활 및 자원관리 관련 단어의 빈도가 예술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미루어보아 현재 미니멀리즘은 예술 및 디자인보다 라이프스타일 관련 용어로 더욱 빈번하게 사용됨을 알 수 있다. ‘환경’은 772회(106위), ‘에너지’는 406회(290위)로 환경 관련 단어가 미니멀리즘과 함께 사용되고 있으나 빈도가 높은 편은 아니었다. 이 결과는 미니멀리스트가 환경적 관심보다 개인적 이익에 의해 동기가 유발되는 경우가 많다는 Martin-Woodhead(2022)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따라서, 환경, 사회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운동의 성격을 지니며, 환경보전에 대한 동기가 강한 자발적 간소화와 미니멀리즘은 개념이 유사하지만 미니멀리즘은 환경보호에 대한 동기가 상대적으로 약해 두 개념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

미니멀리즘 관련 주요 단어 빈도

그림 2.

미니멀리즘 관련 주요 단어의 워드클라우드 결과

2. 미니멀리즘 관련 단어의 네트워크 분석

빈도가 300회 이상인 단어를 대상으로 동시 출현 빈도를 활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시각화하였다<그림 3>. 노드 크기가 크면 빈도가 높고, 노드 크기가 작으면 빈도가 낮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상관관계가 높으면 선의 굵기가 굵게, 낮으면 가늘게 표현된다(박선주, 2015). 동일한 노드 색은 같은 커뮤니티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시간, 사용, 필요, 시각, 마음, 공간 순으로 노드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나 미니멀리즘 관련 글에서 이 단어가 중심 역할을 한다. 이 단어는 라이프스타일 관련 용어로 볼 수 있어 라이프스타일이 최근 미니멀리즘 관련 컨텐츠의 핵심임을 알 수 있다. 시간은 정리, 이야기, 행복, 집중, 사랑과, 사용은 컬러, 스타일, 추천, 구매와, 필요는 오늘, 고민, 의미와, 마음은 하루, 가능, 선택과, 공간은 물건, 이상과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림 3.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3. 미니멀리즘 주제 분석

미니멀리즘 주요 주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였다. 적절한 토픽 수를 선정하기 위하여 토픽 수를 2-25개로 설정한 후 ‘Griffiths2004’로 복잡도 지수를 살펴보았다. 복잡도 지수를 참고하여 다양한 토픽 수로 토픽모델링을 반복적으로 실시한 결과 토픽을 구성하는 주요어의 조합이 유의미하며, 해석이 용이한 토픽 수가 10개로 확인되어 최종 토픽 수를 10개로 결정하였다<그림 4>. 각각의 토픽과 주요 단어는 <표 2>에 제시하였다.

그림 4.

Griffiths2004 복잡도 지수 분석 결과

미니멀리즘 주제와 주요 단어

토픽 1에는 ‘작품’, ‘작가’, ‘전시’, ‘사진’, ‘영화’, ‘음악’, ‘그림’, ‘작업’, ‘표현’, ‘예술’, ‘시리즈’, ‘미술’이 포함되었다. 미니멀리즘이 태동한 예술 관련 단어와 사진, 영화, 음악, 미술 등 다양한 예술 분야가 포함되어 ‘예술/미학’으로 명명하였다.

토픽 2에는 ‘사용’, ‘디자인’, ‘제품’, ‘기능’, ‘케이스’, ‘선택’, ‘제공’, ‘전기’, ‘모델’, ‘차량’, ‘다양’이 포함되었다. 디자인 분야 중 특히 산업디자인, 제품디자인과 연관성이 높은 단어로 구성되었고, 제품 속성 관련 단어들이 포함되어 ‘제품 속성’으로 명명하였다.

토픽 3에는 ‘브랜드’, ‘디자인’, ‘컬러’, ‘제품’, ‘패션’, ‘스타일’, ‘가격’, ‘가방’, ‘소재’, ‘구매’, ‘사이즈’, ‘컬렉션’, ‘아이템’이 포함되었다. 패션 제품 관련 단어로 구성되어 ‘패션’으로 명명하였다.

토픽 4에는 ‘카페’, ‘커피’, ‘친구’, ‘시간’, ‘선물’, ‘아침’, ‘음식’, ‘맛집’, ‘주문’, ‘저녁’, ‘엄마’가 포함되었다. 아침, 저녁, 커피, 음식, 카페, 맛집 등 식음료 관련 단어로 구성되어 ‘식생활’로 명명하였다.

토픽 5에는 ‘공간’, ‘인테리어’, ‘가구’, ‘디자인’, ‘거실’, ‘주방’, ‘조명’, ‘스타일’, ‘깔끔’, ‘분위기’, ‘화이트’가 포함되었다. 거실, 주방 같은 집안 내부 공간의 명칭과 조명, 가구 같은 공간을 채우는 제품 관련 단어로 구성되어 ‘공간/인테리어’로 명명하였다.

토픽 6에는 ‘이사’, ‘설치’, ‘작업’, ‘이용’, ‘고객’, ‘방문’, ‘업체’, ‘시스템’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분석과정에서 광고를 제거하지 않았기 때문에 분석 대상 글에 이사/정리서비스 업체의 글이 다수 포함되었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이사/정리 업체가 주로 사용하는 용어들이 하나의 토픽으로 구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 토픽은 업체 광고에 등장하는 단어로 구성되었으므로 ‘이사/정리서비스 광고’로 명명하였다.

토픽 7에는 ‘정리’, ‘물건’, ‘필요’, ‘미니’, ‘가족’, ‘아이’, ‘미니멀라이프’, ‘지출’, ‘아이들’, ‘남편’이 포함되었다. 최근 미니멀리즘의 큰 흐름을 이루는 물건의 구입, 사용, 정리에 관한 단어로 구성되어 ‘소비와 정리정돈’으로 명명하였다.

토픽 8에는 ‘여행’, ‘일본’, ‘호텔’, ‘건물’, ‘도시’, ‘위치’, ‘거리’, ‘문화’, ‘숙소’, ‘공간’, ‘역사’, ‘한국’, ‘나무’가 포함되었다. 국내외 여행 관련 단어가 주를 이루어 ‘여행’으로 명명하였다. 두 번째 주요 단어로 일본이 선정된 이유는 2022년 10월에 재개된 무비자 입국 허용 정책과 엔화 약세로 방문객 수가 늘었고, 미니멀리즘과 일본을 연관 짓는 경향 때문일 것이다. 일본 출신 정리정돈 전문가나 일본에서 출판된 미니멀리즘 관련 책이 전세계적으로 알려져 다수의 사람들은 일본을 최근 미니멀리즘 유행이 시작된 국가(Kang et al. 2021)로 인지할 가능성이 높다.

토픽 9에는 ‘시간’, ‘자신’, ‘마음’, ‘중요’, ‘시작’, ‘행복’, ‘이야기’, ‘인생’, ‘공부’, ‘목표’, ‘세상’, ‘사람들’, ‘문제’가 포함되었다. 오래 전부터 철학과 종교에서 관심을 가져온 주제와 인생 목표를 설정하거나 성찰하는 용어가 주를 이루어 ‘다짐과 성찰’로 명명하였다.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며 행복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비움과 소박함을 지향하는 미니멀리즘을 추구하기 때문에 다짐과 성찰 관련 단어가 한 개의 토픽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인다.

토픽 10에는 ‘제품’, ‘피부’, ‘브랜드’, ‘트렌드’, ‘소비’, ‘성분’, ‘효과’, ‘관리’, ‘크림’, ‘환경’, ‘뷰티’, ‘기업’, ‘생산’이 포함되었다. 화장품 관련 단어가 주를 이루어 ‘화장품’으로 명명하였다. 이 토픽을 통해 화장 단계와 사용하는 화장품 수를 줄이는 것도 미니멀리즘으로 표현됨을 알 수 있다.

토픽모델링 결과, 미니멀리즘은 예술이나 소비, 정리정돈에 제한되지 않고, 의식주, 여행을 비롯한 라이프스타일, 성찰, 제품 속성 같은 다양한 주제로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미니멀리즘이 자발적 간소화와 동일한 개념인가를 두고 다양한 의견이 있었다(전주언 외, 2021; Hook et al., 2023; Kang et al., 2021; Martin-Woodhead, 2022). 본 연구의 결과는 환경이라는 단어가 토픽 10에 포함되었으나 중요성이 낮았고, 자신의 성찰에 관한 단어가 하나의 토픽을 구성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미니멀리즘은 사회적, 정치적인 성격이 결여되어 있고, 내적 만족에 집중한다는 주장(전주언 외, 2021; Kang et al., 2021)을 지지하며 미니멀리즘과 자발적 간소화는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토픽모델링 결과를 포괄적으로 분석하자면, 일부 중복되지만 미니멀리즘은 크게 1) 예술/디자인(토픽1-예술, 토픽2-제품디자인, 토픽3-패션디자인, 토픽5-인테리어디자인), 2) 소비와 라이프스타일(토픽4-식생활, 토픽7-소비, 토픽8-여행, 토픽9-성찰, 토픽10-화장품)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미니멀리즘은 예술/디자인 영역에서 제품 속성, 소비와 라이프스타일 영역에서 소유물의 제한, 신중하게 엄선한 소비와 관련되어 있다. 아직 초기 단계인 라이프스타일 미니멀리즘 연구는 간소한 삶과 신중한 소비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었고, 미적 취향에 대한 부분은 간과되었다. 토픽모델링 결과, 제품 디자인, 속성 관련 여러 개의 토픽이 명확하게 존재함에 따라 단순한 형태를 선호하는 개인의 미적 취향을 라이프스타일 미니멀리즘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하거나 이를 소유물을 줄이기 위한 노력, 신중한 소비와 구분하여 별개의 개념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Ⅳ. 결론 및 제언

형태를 단순화하고 본질로 환원하려는 예술 사조를 의미하는 미니멀리즘은 최근 개념이 확장되어 소비를 줄이고 간소한 삶을 추구하는 생활방식을 함의하게 되었고, 대중은 일상에서 이 용어를 흔히 사용하고 있다. 소비자학에서는 미니멀리즘이 대중적으로 유행하기 이전부터 소비를 절제하고, 소박한 삶을 추구하는 경향을 자발적 간소화로 명명하고, 관련 연구를 꾸준히 진행해 왔다. 유사한 개념이지만 사용 주체와 시기의 차이가 있는 자발적 간소화와 미니멀리즘, 두 용어의 개념 일치 여부를 두고 학자들 간 의견이 다양하다. 이에 본 연구는 미니멀리즘이 포함된 블로그 게시글을 크롤링하여 텍스트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함으로써 미니멀리즘과 관련 단어와 주제를 고찰하고, 자발적 간소화와 개념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2023년 1월 1일부터 1월 31일까지, 한 달간 새로 게시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팅 중 제목, 본문, 해시태그에 미니멀리즘이 포함된 3,234건을 R 프로그램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명사를 추출하여 빈도를 분석한 결과, 빈도가 높은 주요어는 생각, 사람, 공간, 사용, 시간, 디자인, 정리, 인테리어, 물건, 우리 순으로 나타났다. 빈도가 높은 단어 중 공간, 인테리어, 정리를 통해 미니멀리즘은 주생활 관련 글에서 사용되는 빈도가 높으며, 사용, 시간, 물건을 통해 자원 관리와 결부됨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인, 작품, 작가, 전시를 통해 미니멀리즘은 예술에서도 지속적으로 사용됨을 알 수 있다. 환경 관련 단어는 빈도가 높은 편은 아니므로 미니멀리스트는 환경에 대한 관심보다 개인적인 성찰이나 이익에 의해 동기가 유발되는 경우가 많음을 유추할 수 있다.

둘째, 빈도가 300회 이상인 단어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간, 사용, 필요, 시작, 마음, 공간 순으로 노드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나 미니멀리즘 관련 글에서 라이프스타일 관련 단어가 중심 역할을 하여 라이프스타일이 최근 미니멀리즘 트렌드의 핵심임을 알 수 있다.

셋째, 토픽모델링으로 주요 주제를 분석한 결과, 미니멀리즘은 예술/미학, 제품 속성, 패션, 식생활, 공간/인테리어, 이사/정리서비스 광고, 소비와 정리정돈, 여행, 목표 설정 및 성찰, 화장품을 포함한 전체 10개의 토픽으로 구분되었다. 미니멀리즘은 예술에서 소비 영역으로 확장되었으며, 의식주, 여행을 비롯한 라이프스타일, 성찰, 제품 관련 주제에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단어 ‘환경’의 중요성은 미미하였고, 다짐과 성찰 관련 단어는 별도의 토픽을 구성할 정도로 중요하였다. 따라서, 미니멀리즘은 환경, 사회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사회적, 정치적인 성격이 결여되어 있고, 내적 만족에 집중한다는 주장을 지지하며 미니멀리즘과 자발적 간소화는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업체 광고와 지원금을 받고 게시하는 글, 해시태그를 모두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후속 연구는 네이버나 인스타그램 해시태그의 미니멀리즘 관련 용어만을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거나 광고만 구분하여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2023년 1월, 한 달간 네이버 블로그에 게시된 포스팅을 분석하였으므로 연구 결과는 시기에 따른 영향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연초에 작성되었기 때문에 다짐과 신년 계획 관련 글이 상대적으로 많을 수 있을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분석 대상 글의 시간 범위를 넓게 설정하여 특정 시기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미니멀리즘 관련 주제 변화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미니멀리즘은 제품, 인테리어, 패션 관련 속성과 연관되어 사용되었다. 소비에서 미니멀리즘을 불필요한 것을 줄이고 신중하게 제품을 선택하여 간소한 삶을 추구하는 경향으로만 접근할 것이 아니라 단순한 형태를 선호하는 취향으로 구분하여 이를 개념화하고, 실증 연구를 통해 라이프스타일 미니멀리즘 하위 차원으로 구성하거나 별도의 변수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니멀리즘이 의식주, 여행, 성찰을 아우르고 있다는 결과를 통해 미니멀리즘을 다양한 제품 및 소비생활과 연관지어 연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환경 관련 단어가 추출되었으나 빈도가 적어 미니멀리즘은 지속가능한 소비에 대한 접근 방식과는 다른 방향의 논의가 필요하다. 미니멀리즘이 지속가능한 소비와 동일한 개념으로 인식되기 보다는 지속가능한 소비와 일부 공통점을 공유하지만 이와는 구분되는 소비 현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소비, 자발적 간소화, 미니멀리즘의 차이를 소비자 대상의 질적 연구나 양적 연구를 통해 구체화하고,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장기적인 추이를 고찰하여 미니멀리즘이 물질주의, 자원고갈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적 라이프스타일인지, 일시적인 소비 트렌드인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미니멀리즘이 간소한 삶을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과 소비 양상으로 자리잡음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질적 연구를 통하여 이런 삶을 지향하는 사람들을 총체적으로 고찰하여 추구 동기나 행동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이전의 자발적 간소화 연구가 국내 소비자의 소비 의식이 성숙되기 이전이나 라이프스타일 미니멀리즘이 유행하기 전에 진행된 연구가 많으므로 유사한 연구를 현시점에 실시할 경우 이전 연구 결과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미니멀리즘이 소비와 라이프스타일의 주요 현상으로 자리잡음에 따라 앞으로 미니멀리즘 관련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Acknowledgments

이 연구는 2023년도 서울교육대학교 교내연구비를 지원받아 수행되었음

References

  • 김미린, 홍은실(2016). 절제와 간소, 자율성, 소득 수준에 따른 성인소비자 유형분류와 유형별 행복 비교.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7(1), 31-47. [https://doi.org/10.7856/kjcls.2016.27.1.31]
  • 김완구(2017). 자본주의 소비문화에서 비롯한 생태위기 억제와 극복을 위한 ‘자발적 소박함’의 덕. 환경철학, 24, 115-153. [https://doi.org/10.35146/jecoph.2017..24.005]
  • 네이버 블로그 리포트(2022). 2022 블로그 리포트. https://campaign.naver.com/2022blog/blogreport/, 에서 인출.
  • 노헌균(2007). 미니멀리즘과 에이미 햄플(Amy Hempel): 현대 미국 백인문화의 초상. 문학과 영상, 8(1), 135-155.
  • 민성희(2000). 포스트 모던 댄스의 미니멀리즘과 한국창작춤에 나타난 미니멀리즘 비교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39(3), 1004-1019.
  • 박선주(2015). R을 활용한 SW교육 텍스트데이터 토픽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논문지, 19(4), 517-524.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4.517]
  • 변지연, 이순홍(1996). 미니멀리즘이 현대패션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4(3), 427-445.
  • 성영애(2016). 소비절제를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과 행복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27(2), 233-254.
  • 송인숙(1999). 자발적으로 간소화하는 생활방식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11), 85-95.
  • 신창호(2013). 미니멀리즘의 반복성 안무법에 나타난 사실적 해석 연구: 신창호의 <No Comment>를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1(2), 109-122.
  • 윤상영, 윤재은(2009). 미니멀리즘 건축의 공간 철학적 의미론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0(3), 285-295.
  • 윤숙현(2004). 자발적 단순성지향 생활양식에 기초한 환경운동의 방향. 대한가정학회지, 42(1), 1-16.
  • 이민희(2017). 미니멀리즘 음악의 수렴하고 발산하는 정의들에 관한 고찰. 서양음악학, 20(1), 163-210.
  • 이정욱(1997). 현대건축에서의 미니멀리즘의 의미와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3, 150-160.
  • 이지현, 노윤선(2008). 미니멀리즘 패션 스타일링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8(1), 95-115.
  • 전주언, 이혜린, 이재영(2021). 미니멀리스트가 인식하는 C2C 플랫폼 효용과 평가에 관한 연구. 글로벌경영학회지, 18(4), 134-154.
  • 최경숙, 박명숙(2017). 대학생소비자의 소비절제 행동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20(3), 7-25. [https://doi.org/10.17053/jcc.2017.20.3.002]
  • 홍재웅(2010). 욘 포세(Jon Fosse)의 희곡 「가을날의 꿈」에 나타난 ‘내적 상호텍스트성’과 미니멀리즘의 미학. 인문언어, 12(1), 85-111.
  • Alexander, S., & Ussher, S. (2012). The voluntary simplicity movement: A multi-national survey analysis in theoretical context. Journal of Consumer Culture, 12(1), 66-86. [https://doi.org/10.2139/ssrn.1941088]
  • Bardey, A., Booth, M., Heger, G., & Larsson, J. (2022). Finding yourself in your wardrobe: An exploratory study of lived experiences with a capsule wardrobe. International Journal of Market Research, 64(1), 113-131. [https://doi.org/10.1177/1470785321993743]
  • Blei, D. M., Ng, A. Y., & Jordan, M. I. (2003). 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3, 993-1022.
  • Chen, W. F., & Liu, J. (2023). When less is more: Understanding consumers’ responses to minimalist appeals. Psychology & Marketing, 40(10), 2151-2162. [https://doi.org/10.1002/mar.21869]
  • Elgin, D. (1993). Voluntary simplicity: Toward a way of life that is outwardly simple, inwardly rich. New York, NY: William Morrow.
  • Griffiths, T. L., & Steyvers, M. (2004). Finding scientific topic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1(suppl 1), 5228-5235. [https://doi.org/10.1073/pnas.0307752101]
  • Hausen, J. E. (2019). Minimalist life orientations as a dialogical tool for happiness. British Journal of Guidance & Counselling, 47(2), 168-179. [https://doi.org/10.1080/03069885.2018.1523364]
  • Hook, J. N., Hodge, A. S., Zhang, H., Van Tongeren, D. R., & Davis, D. E. (2023). Minimalism, voluntary simplicity and well-being: A systematic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8(1), 130-141. [https://doi.org/10.1080/17439760.2021.1991450]
  • Kang, J., Martinez, C. M. J., & Johnson, C. (2021). Minimalism as a sustainable lifestyle: Its behavioral representations and contributions to emotional well-being. Sustainable Production and Consumption, 27, 802-813. [https://doi.org/10.1016/j.spc.2021.02.001]
  • Lee, M. S., Fernandez, K. V., & Hyman, M. R. (2009). Anti-consumption: An overview and research agenda.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2(2), 145-147. [https://doi.org/10.1016/j.jbusres.2008.01.021]
  • Lloyd, K., & Pennington, W. (2020). Towards a theory of minimalism and wellbeing.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Positive Psychology, 5, 121-136. [https://doi.org/10.1007/s41042-020-00030-y]
  • Martin-Woodhead, A. (2022). Limited, considered and sustainable consumption: The (non)consumption practices of UK minimalists. Journal of Consumer Culture, 22(4), 1012-1031. [https://doi.org/10.1177/14695405211039608]
  • Matte, J., Fachinelli, A. C., De Toni, D., Milan, G. S., & Olea, P. M. (2021). Relationship between minimalism, happiness, life satisfaction, and experiential consumption. SN Social Sciences, 1(7), 166. [https://doi.org/10.1007/s43545-021-00191-w]
  • McGouran, C., & Prothero, A. (2016). Enacted voluntary simplicity: Exploring the consequences of requesting consumers to intentionally consume les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50(1/2), 189-212. [https://doi.org/10.1007/s43545-021-00191-w]
  • Meissner, M. (2019) Against accumulation: lifestyle minimalism, de-growth and the present post-ecological condition. Journal of Cultural Economy, 12(3), 185-200. [https://doi.org/10.1080/17530350.2019.1570962]
  • Nepomuceno, M. V., & Laroche, M. (2015). The impact of materialism and anticonsumption lifestyles on personal debt and account balanc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8(3), 654-664. [https://doi.org/10.1016/j.jbusres.2014.08.006]
  • Rodriguez J. (2018). The US minimalist movement: Radical political practice? Review of Radical Political Economics, 50(2), 286-296. [https://doi.org/10.1177/0486613416665832]
  • Sandlin, J. A., & Wallin, J. J. (2022). Decluttering the pandemic: Marie Kondo, minimalism, and the “joy” of waste. Cultural Studies Critical Methodologies, 22(1), 96-102. [https://doi.org/10.1177/15327086211049703]
  • Westacott, E. (2016). The wisdom of frugality: Why less is more-More or les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 Wilson, A. V., & Bellezza, S. (2022). Consumer minimalism.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48(5), 796-816. [https://doi.org/10.1093/jcr/ucab038]
  • Zavestoski, S. (2002). The social-psychological bases of anti-consumption attitudes. Psychology & Marketing, 19(2), 149-165. [https://doi.org/10.1002/mar.10007]

그림 1.

그림 1.
연구 절차

그림 2.

그림 2.
미니멀리즘 관련 주요 단어의 워드클라우드 결과

그림 3.

그림 3.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그림 4.

그림 4.
Griffiths2004 복잡도 지수 분석 결과

표 1.

미니멀리즘 관련 주요 단어 빈도

순위 단어 빈도 순위 단어 빈도 순위 단어 빈도
1 생각 5696 35 깔끔 1303 69 소비 931
2 사람 4235 36 여행 1302 70 아이 930
3 공간 4213 37 이상 1298 71 피부 913
4 사용 4153 38 구매 1296 72 단순 903
5 시간 3996 39 전시 1288 73 올해 901
6 디자인 3853 40 이번 1272 74 구성 900
7 정리 3503 41 거실 1227 75 준비 898
8 인테리어 3427 42 행복 1216 76 진행 889
9 물건 3238 43 자연 1197 77 색상 888
10 우리 2882 44 활용 1190 78 조명 887
11 제품 2869 45 방법 1184 79 커피 884
12 하나 2857 46 경우 1154 80 인생 879
13 필요 2498 47 제작 1150 81 음악 878
14 마음 2477 48 분위기 1134 82 문제 865
작품 2477 작업 1134 83 공부 864
16 사진 2456 50 미니 1121 84 방식 857
17 시작 2418 51 소개 1112 85 선물 852
18 브랜드 2356 이유 1112 86 사람들 848
19 다양 2023 53 가격 1097 87 관심 844
20 오늘 2022 54 사랑 1088 88 변화 836
21 가능 1915 55 트렌드 1084 89 패션 833
22 자신 1905 56 주방 1083 90 세상 828
23 작가 1715 57 하루 1082 91 다음 826
24 가구 1674 58 생활 1073 92 설치 824
25 컬러 1581 59 영화 1065 93 그림 822
26 추천 1577 60 표현 1046 이용 822
27 스타일 1538 61 친구 1034 95 목표 817
28 중요 1463 62 의미 1033 96 자기 813
29 선택 1441 63 고민 1032 97 화이트 808
30 사실 1381 64 경험 1105 98 가치 805
31 모습 1367 65 시공 977 99 편안 803
32 부분 1364 66 소재 969 100 일상 801
33 카페 1358 67 가족 966
34 이야기 1343 68 세계 963

표 2.

미니멀리즘 주제와 주요 단어

토픽 토픽 명 주요 단어(상위 15개)
1 예술/미학 작품, 작가, 전시, 사진, 영화, 음악, 그림, 작업, 표현, 세계, 년대, 예술, 시리즈, 모습, 미술
2 제품 속성 사용, 디자인, 제품, 가능, 기능, 케이스, 적용, 선택, 제공, 경우, 전기, 모델, 지원, 차량, 다양
3 패션 브랜드, 디자인, 컬러, 제품, 패션, 스타일, 가격, 추천, 가방, 소재, 구매, 사이즈, 컬렉션, 아이템, 겨울
4 식생활 카페, 커피, 친구, 시간, 선물, 사진, 아침, 오늘, 음식, 맛집, 주문, 저녁, 올해, 엄마
5 공간/인테리어 공간, 인테리어, 가구, 디자인, 거실, 주방, 사용, 조명, 스타일, 깔끔, 시공, 분위기, 화이트, 활용, 연출
6 이사/정리서비스 광고 이사, 가능, 진행, 설치, 저희, 부분, 경우, 작업, 준비, 이용, 고객, 오늘, 방문, 업체, 시스템
7 소비와 정리정돈 정리, 물건, 필요, 미니, 가족, 아이, 마음, 미니멀라이프, 시작, 지출, 아이들, 남편, 구입, 사용, 실천
8 여행 여행, 일본, 호텔, 시간, 건물, 도시, 위치, 거리, 문화, 숙소, 공간, 사진, 역사, 한국, 나무
9 다짐과 성찰 시간, 자신, 마음, 중요, 시작, 행복, 이야기, 필요, 인생, 공부, 자기, 목표, 세상, 사람들, 문제
10 화장품/환경 제품, 피부, 사용, 브랜드, 트렌드, 소비, 성분, 효과, 관리, 시장, 크림, 환경, 뷰티, 기업, 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