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과삶의질학회
[ Article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Vol. 40, No. 4, pp.1-14
ISSN: 2765-1932 (Print) 2765-2432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2
Received 16 Jun 2022 Revised 25 Sep 2022 Accepted 08 Dec 2022
DOI: https://doi.org/10.7466/JFBL.2022.40.4.1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 행복감의 매개효과

최형문1 ; 김진경2, *
The Effects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and Autonomy Support on Preschoolers’ Creative Personality: The Mediation Effect of Preschoolers’ Happiness
Hyeong Moon Choi1 ; Jin Kyung Kim2, *
1A Public kindergarten attached to Maseok Elementary School, Teacher
2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ence to: *Jin kyung Kim,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86 Daehak-ro, Jongno-gu, Seoul(03087), KS013. Tel: +82-2-3668-4671, Email: holyjin@knou.ac.kr

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유아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4, 5세 유아의 어머니 3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07부를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행복감은 모든 변인 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성은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와 유아의 행복감 전체와 하위요인 중 부모관계, 교사관계, 정서, 건강, 생활만족과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하위요인 중 긍정적 정서표현성, 부정적 정서표현성 그리고 유아의 행복감 하위요인 중 몰입, 심미감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는 유아의 행복감을 통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직접적,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함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utonomy support on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and also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young children’s happiness on the relati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total 350 mothers of young children in 4-5 years old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nd finally 307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for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utonomy support and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and happin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The moth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mothers’ autonomy support, young children’s happiness, and sub-factors such as parent-child relation, teacher-child relation, emotion,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out of sub-factors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mmersion and aesthetic sense out of sub-factors of young children’s happiness had effects on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Third, the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utonomy support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through young children’s happiness. Based on such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Keywords:

enotional expression, autonomy support, creative personality, happiness

키워드:

정서표현성, 자율성 지지, 창의적 인성, 행복감

I. 서론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미래사회는 다양한 학문과 기술의 융합으로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로봇공학과 같은 고도의 과학기술 발전을 이룰 것이며, 현재의 모습과는 다른 급격한 사회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로 인해 다수의 직업이 자동화 기술 도입으로 사라지게 될 것이며, 현재 존재하지 않는 전혀 새로운 형태의 직업이 생길 것이다. 미래 사회에서 인간보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이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더 빠르고 정확하게 많은 양의 지식을 습득할 수 있기 때문에, 지식이 많은 사람보다 지식을 잘 활용할 수 있는 창의적 사람이 더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새로운 변화의 흐름에 적응하고 당면한 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노력이 세계적 교육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창의적 능력이란 새롭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지적 능력, 즉 창의적 사고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으나(고선옥, 2006), 많은 학자들은 창의적 능력은 단일 요소가 아니라 인지적 요인과 인성적 요인을 같이 다루는 것이 필요하다고 한다(Bear, 1993; Sternberg, 1985). 즉, 유아가 창의적 능력을 발휘할 때에 인지적 능력, 개인의 성격, 동기, 정서와 같은 정의적 요소가 중요하게 부각됨에 따라 창의적 인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미래인재의 역량 중 특히 창의적 인성은 중요한데, 창의성의 구성요소 중 성격과 관련된 요소로서 모험심, 참을성, 자신감 등이 이에 해당된다(김민전, 이경화, 2017; Shaffer, 1999). Torrance(1976)는 유아기가 창의성 및 상상력 발달의 결정적인 시기라고 하며 이러한 유아의 창의적인 상상력은 4세부터 4세 반 사이에 절정을 이른다고 하였다. 즉 이 시기는 호기심과 탐구심이 많아 창의적 인성 교육을 시작하는 가장 효과적인 시기라 보았고, 특히 유아기는 부모와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기에 창의적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의 특성을 밝히기에 적합한 시기라 할 수 있겠다.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유아의 창의적 인성은 주로 어머니의 행동 특성, 성격, 양육행동, 부모와 유아의 관계 등 어머니 환경을 주요 요인으로 보고하고 있다(강경옥, 2015; Gardner, 1993). 특히 어머니는 유아가 접하는 최초의 환경이며, 유아의 직접적인 모델링과 동일시의 대상이다. 이에 유아에게 물리적인 환경뿐 만 아니라 창의적인 사고 및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자의 역할을 하므로 유아의 창의적 인성 발달에서 어머니와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 유아기의 경험은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이루어지게 되므로 어머니의 정서표현은 유아기 창의적 인성 개발에 핵심적인 변인이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은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를 표현하는 개인의 일상적 패턴을 의미한다(Halberstadt et al., 1995). 유아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에 대한 모방, 해석, 가르침 등을 통해 개인 내적 요소와 대인관계 측면을 발달시켜 나간다(Cassidy et al., 1992; Feldman, 2015).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어머니가 긍정적 정서를 많이 표현할수록 유아의 생각을 지지하고 유아가 정서적으로 안정될 수 있도록 도와 유아의 탐구력과 문제해결 능력에 필요한 창의적 인성이 증진되며(채지영, 2014), 어머니가 애정적 양육행동을 많이 보이고 긍정적 정서표현을 많이 할수록 유아는 높은 자아존중감을 갖는다고 하였다(최해주, 2007). 또한 부모의 부정적 정서표현도 유아의 인지, 정서, 사회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하였다(송명숙, 2016; Hoffman et al., 2006). 따라서 어머니의 정서표현은 유아 발달의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탐구력과 문제해결능력에 필요한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더불어 유아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변인은 어머니의 자율적 지지를 들 수 있다. 우리 사회는 과도한 교육열과 성취중심의 문화로 인해 부모가 자녀를 지나치게 통제하고, 문제해결에 대한 의사결정과 자율성을 제한하기도 한다. 이에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에서도 자녀의 관점을 인정하고 의사결정을 존중하는 자율성 지지에 대한 연구가 최근 들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가정의 지지적인 분위기는 유아의 창의력을 촉진하며(임성택, 2007), 부모가 애정적이고 자녀의 자율성을 지지할수록 창의적 인성이 발달된다고 하였다(김수연, 2003; 백지숙, 1998). 또한 창의적인 유아의 부모는 자녀의 요구에 관심을 보이고 창의적인 표현에 대한 동기를 지지해주며 자율성을 주고, 유아의 흥미에 적절하게 반응하는 등의 양육방식을 실행한다(Csikszentmihalvi, 1996; Gardner, 1993; Snowden, 1994).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는 자녀가 스스로 결정할 수 있게 하여 창의적 행동 특성(김수연, 이영, 2005)과 친사회적 행동(이지연, 장형심, 2015), 사회적 유능성(이소영, 심혜원, 2020), 정서적⋅사회적 유능성(문지현, 신나나, 2017)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상의 선행연구들을 통해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는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특히 유아 자신에 대해 이해하고 자신의 능력을 지각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감안해 볼 때 유아의 행복감도 함께 고려해 볼 수 있다. 행복감이란 우리가 삶에서 느끼는 기쁨이나 만족감을 느끼는 긍정적 정서를 의미한다(김도란, 김정원, 2008; 서진영, 2015; 이은주, 2010; Peterson, 2006). 행복한 유아는 친구들과 잘 지내고 놀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모든 일에 즐겁게 활동한다. 즉 가족, 친구, 교사 등과의 관계에서 놀이와 같은 일상적인 생활경험을 통해 행복감을 느낀다고 한다(서진영, 2015; 이은주, 2010). 유아기는 인간의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결정적인 시기이며 정신건강과 사회적응을 위해 유아기의 행복감은 매우 중요하다(Looney, 2015). 유아가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부모의 수용과 지지적 공감이 있어야 하며(김연경, 2014), 자녀의 안녕감을 높이려면 부모가 자율성을 지지해주어 스스로 내적인 삶의 목표를 갖도록 해야 한다(Lekes et al., 2010). 유아의 행복감은 어머니가 자율적, 애정적 양육태도를 보여 유아가 긍정적인 정서를 많이 경험할수록 높아지며(신명덕, 2007), 어머니가 애정적인 행동을 할수록 유아는 독립적이며, 창의적이고, 긍정적으로 사회생활을 하며 행복감이 높아지게 된다(최윤희, 2013).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유아의 행복감은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행복한 사람은 창의적 성향이 높고 더 독창적이며 유연한 사고를 하고 모험과 자유를 추구하며 탐구적으로 몰입하는 경향이 있다(신민희, 구재선, 2010). 행복한 유아는 교육의 기회를 즐겁게 향유하고 보다 낙천적이며, 자신에게 주어진 일에 자신감을 가지고 열정적으로 몰입한다(Noddings, 2003). 뿐만 아니라 유아의 안정된 행복감은 유아가 직면하는 다양한 문제 상황에서 능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을 길러 준다(최선미, 2015). 이는 Fredrickson(1998; 2001)의 긍정적 정서 확장-축적이론으로 뒷받침되는데 긍정적 정서는 사고와 행동의 레퍼토리를 확장시킴으로써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자원을 형성하며 다양한 사고를 촉진시킨다고 하였다. 또한 유아들은 하고 싶은 일에 주의를 기울이며 현재 경험하는 일에 몰입하는 상황,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취했을 때 행복을 느끼는데(황해익 외 2013), 유아들이 행복이라고 인식하는 경험의 순간에 필요한 내적 기제는 창의적인 사람이 가진 인성 특성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김란희, 2017). 이를 통해 긍정적 정서를 많이 느낄수록 창의적 성향이 높아지며(조선희, 김미영, 2011), 행복이 높은 유아는 창의적 인성에 있어서도 높은 수준을 나타낸다(김란희, 2017). 즉, 유아는 주변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에서 자연스럽게 행복감을 느끼며, 이런 사회적 관계 속에서 창의적 인성을 발달시키게 된다. 이는 유아의 행복감을 중심으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지지,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에 관심을 갖게 한다. 그러나 두 요인 간의 관계 속에서 유아의 행복감의 역할과 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찾기 어렵다. 따라서 어머니를 포함한 주변 사람과의 질적인 상호작용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지, 또한 유아의 행복감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지 탐색할 필요가 있다.

위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지지, 유아의 창의적 인성, 유아의 행복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변인들 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들이 대부분이고 이들을 통합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유아의 창의적 인성을 둘러싼 변인들 간의 통합적 관계를 파악하는 것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지원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파악하는 동시에 가설로 설정한 매개변인들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어떻게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은 가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관련된 변인으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지지, 유아의 행복감을 선정하여 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1.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자율성 지지와 유아의 행복감, 창의적 인성 간의 유의한 관계가 있는가?
  • 2.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자율성지지, 유아의 행복감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 3.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과정에서 유아의 행복감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어린이집 103곳, 유치원 204곳)에 재원중인 만 4, 5세 유아의 어머니 30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자가 사전에 기관을 방문하여 기관장과 교사에게 연구목적, 실시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설문조사는 기관장과 교사의 동의을 얻어 연구 동의서와 설문지를 각 가정으로 보냈으며, 2021년 1월 11일부터 2월 5일까지 약 4주간 350부를 배부하였다. 회수된 검사지 318부 중 누락되거나 성실히 응답하지 않은 검사지 11부를 표본에서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총 307부를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2. 연구도구

1)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을 측정하기 위해 Halberstadt et al., 1995)가 제작한 가정에서의 자기표현 질문지(Self-Expressiv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ire)를 한영민(2005)이 번안하여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도구는 가정 내에서 어머니의 정서적 표현을 측정하는 자기 보고식 형태의 평정 도구로서, 전체 40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긍정적 정서표현에 해당하는 애정, 감사, 기쁨 등을 측정하는 23문항과 부정적 정서표현에 속하는 슬픔, 실망, 분노, 비난 등을 측정하는 17문항으로 구성된다.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과 부정적 정서표현 모두 점수가 높을수록 유아에게 정서표현을 자주하는 것을 의미한다. 총 점수의 범위는 긍정적 정서표현이 23점∼115점이며, 부정적 정서 표현은 17점∼85점이다. 본 연구에서 전체 신뢰도는 Cronbach’s ⍺계수가 .84로 나타났고, 하위문항별 신뢰도는 긍정적 정서표현 .93, 부정적 정서표현 .81로 나타났다.

2)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Grolnick, Ryan과 Deci(1991)가 개발한 부모에 대한 지각 척도 중 자율성 지지 문항과 Williams와 Deci(1996)가 개발한 자율성 지지 측정을 위한 학습풍토 질문지, Soenens 외 (2007)의 자율성 지지 척도를 토대로 수정⋅보완한 노보혜 외(2011)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어머니가 자녀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지지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평정 도구로서, 단일요인이며 총 1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 점수가 높을수록 어머니가 자녀의 자율성에 대한 지지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전체 신뢰도는 Cronbach’s ⍺계수가 .79로 나타났다.

3) 유아의 창의적 인성

창의적 인성 검사는 Rimm(1983)의 PRIDE(Preschool and Kindergarten Interest Descriptor)를 참고하여 이영 외, (2002)이 제작한 ‘유아용 창의적 행동특성검사(RSCCP)’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도구는 유아가 놀이나 활동 속에서 창의적인 사고와 행동을 발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태도, 성향, 흥미 등을 검사하기 위한 도구로서, 총 4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도구의 하위요인은 독특성과 호기심(15문항), 개성과 유머(12문항), 민감성과 다양한 흥미(9문항), 상상력과 놀이성(5문항), 독립성과 몰두(5문항)의 5개로 구성되어 있다. 점수가 높을수록 유아가 창의적 인성을 많이 보인다는 것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 전체 신뢰도는 Cronbach’s ⍺계수가 .95이다. 하위문항별 신뢰도는 독특성-호기심 .92, 개방성-유머 .89, 민감성-다양한 흥미 .85, 상상력-놀이성 .83, 독립성-몰두 .81로 나타났다.

4) 유아의 행복감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해 유아 행복의 구성요소에 대한 이론적 근거(권석만, 2008; 이현수, 2008; Compton, 2007; Diener, 1995; Hills & Argyle, 2001; Myers, 1993), 유치원 교육과정(교육인적자원부, 2008) 및 표준보육과정(여성가족부, 2007)을 기초로 하여 이은주(2010)가 교사의 관점에서 개발한 척도를 김성범(2012)이 부모의 관점에서 부분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도구는 전체 36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위요인은 부모관계(3문항), 교사관계(5문항), 또래관계(4문항), 인지 및 성취(5문항), 몰입(4문항), 심미감(5문항), 정서(4문항), 건강(4문항), 생활만족(2문항)의 9개로 구성되어 있다. 유아의 행복감 점수가 높을수록 부모가 지각한 유아의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전체 신뢰도는 Cronbach’s ⍺계수가 .91로 나타났으며, 하위문항별 신뢰도는 부모관계 .84, 교사관계 .86, 또래관계 .81, 인지 및 성취 .92, 몰입 .83, 심미감 .89, 정서 .91, 건강 .88, 생활만족 .79로 나타났다.

3. 자료 분석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를 산출하고, 연구 대상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 등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 유아의 행복감과 창의적 인성 간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 유아의 행복감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가 제시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Baron & Kenny, 1986), 유아의 행복감에 대한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 계수와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Bootstrap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자율성지지, 유아의 행복감, 창의적 인성 간의 상관관계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행복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하위요인 중 긍정적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행복감은 모든 변인 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반면,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하위요인 중 부정적 정서표현성은 어머니의 자율성지지, 유아의 행복감 전체와 하위요인 중 부모관계, 교사관계, 정서, 건강, 생활만족과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부정적 정서표현과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 유아의 행복감과 창의적 인성 간의 상관관계(N=307)

2.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자율성지지, 유아의 행복감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정서표현성, 자율성 지지, 유아 행복감이 ‘유아 창의적 인성 전체’에 미치는 설명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동시적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어머니 정서표현성의 각 하위 요인과 자율성 지지, 유아 행복감의 각 하위 요인을 독립변수로 투입하였다.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는 독립변수의 수가 많은 경우 회귀식의 전체 설명력은 높아질 수 있으나 변수간의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각 변인 간의 다중공선성을 확인한 결과, VIF는 1.107∼2.799, 잔차상관을 나타내는 Durbin-Watson는 2.001로 회귀분석의 기본가정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자율성 지지, 유아의 행복감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 전체의 57.7%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24.699, p<.001).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중 긍정적 정서표현성(β=.328, t=5.127, p<.001), 부정적 정서표현성(β=.012, t=2.839, p<.01)과 유아의 행복감 중 몰입(β=.275, t=5.143, p<.0001), 심미감(β=.209, t=3.696, p<.001)의 설명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유아의 창의적 인성 전체에 있어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하위요인 중 긍정적 정서표현성, 부정적 정서표현성, 유아의 행복감 하위요인 중 몰입, 심미감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대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자율성 지지, 유아의 행복감의 영향(N=307)

3.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 유아 행복감의 매개효과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행복감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절차에 따른 매개 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행복감 매개효과 검정(N=307)

매개효과를 검정하는 1단계에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β=294)과자율성 지지(β=.481)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단계 모형의 설명력은 43.6%로 나타났다(F=117.312, p<.001). 즉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가 높을수록 유아의 행복감이 높아졌다. 2단계에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β=.318)과 자율성 지지(β=.410)는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단계 모형의 설명력은 39.8%인 것으로 나타났다(F=100.373, p<.001). 즉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가 높을수록 유아의 창의적 인성이 높아졌다. 마지막 단계인 3단계에서 유아의 행복감(β=.395)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영향을 주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95.413, p<.001). 또한 3단계 모형의 설명력은 48.6%로 1, 2단계에 비해 높아졌으며, 3단계에서 독립변인인 정서표현성(β=.128), 자율성 지지(β=.302)가 여전히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유아의 행복감은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 단계인 3단계에서 유아의 행복감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영향을 주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단계 모형의 설명력은 48.6%로 1, 2단계에 비해 높아졌으며, 3단계에서 독립변인인 정서표현성, 자율성 지지가 여전히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유아의 행복감은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한 <그림 1>에 나타나 있다.

그림 1.

유아 행복감의 매개효과 검증

다음으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자율성 지지와 유아의 창의적 인성의 관계에서 유아 행복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총효과와 직접효과, 간접효과와 유의성 여부를 검증한 결과가 <표 4>에 제시되어 있다.

유아 행복감의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


Ⅳ. 논의 및 결론

1.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자율성지지, 유아의 행복감, 창의적 인성 간의 상관관계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자율성 지지, 유아의 행복감,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서표현성 전체와 자율성 지지 전체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하위요인 중 긍정적 정서표현성은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와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부정적 정서표현성은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즉,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높을수록 자율성 지지를 많이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정서표현성 간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연구(박소은, 남은영, 2010), 애정적-자율적, 애정적-통제적, 거부적-자율적, 거부적-통제적 양육태도의 네 가지 어머니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양육태도는 애정적-자율적 태도라고 밝힌 연구(이원영, 1983)와 유사하다. 애정적-자율적 양육태도란 어머니가 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나 평등주의적 태도를 취하고, 동시에 자녀에게 허용적이며 선택권을 존중하는 양육태도이다. 이 둘은 서로 다른 축에 있지만 바람직한 양육태도의 경향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유사한 성격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도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도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와의 직접적인 관계를 밝힌 선행연구가 많지 않아 관련된 논의에 어려움이 있으며, 추후에 두 변인과의 관계를 파악해 볼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성은 자율성 지지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정서표현은 타인의 행동에 경멸과 비판, 또는 두려움이나 분노와 같은 부정적 정서를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Halberstadt et al., 1995). 그러나 자율성을 지지하는 어머니는 자녀의 감정이나 행동을 존중하는 태도를 보여 자녀의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공감하는(문지현, 신나나, 2017) 태도를 보이기 때문에 슬픔과 실망, 비난 등의 부정적 정서표현성과는 상반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행복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전체는 유아의 행복감 전체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하위요인 중 긍정적 정서표현성에서도 유아의 행복감 전체와 모든 하위요인 간에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하위요인 중 부정적 정서표현성은 유아의 행복감 전체와 행복감 하위요인 중 부모관계, 교사관계, 정서, 건강, 생활만족 간에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 온정⋅격려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행복감과 정적 상관을 보인다는 연구(우혜진, 유연옥, 2017),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한계설정은 절제와 규율을 알게 하고, 일관된 행동으로 한계를 규정해줘 유아가 불안하고 위축된 행동을 적게 보이게 하며, 유아의 행복감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낸다는 연구(이혜인, 2015)와 그 맥을 같이 한다. 한편, 부모의 거부적인 양육태도는 자녀의 불안, 우울, 반항, 적대감을 유발시키며(Shaffer, 1999),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태도와 유아의 행복감은 부적 상관을 보인다는 연구(이은경, 2019)와 그 맥을 같이하며, 유아의 자제심 발달을 저해하며, 공격성을 조장하고 유아의 행복감이 낮아진다는 연구와 유사하다(Cohn, 1990). 이를 통해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행복감이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유아의 행복감은 유아가 성장하면서 접하게 되는 환경, 즉 의미 있는 타인과의 상호작용과 경험을 통해 발달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전체와 긍정적 정서표현성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 전체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정서표현성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어머니가 긍정적 정서표현을 할수록 유아의 창의적 인성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김미경, 2013; 채지영, 2014)와 일치하며, 어머니의 부모유능감은 긍정적 정서표현을 통하여 자녀의 창의적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조준오, 김소향, 2017)와도 맥을 같이 한다. 이는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고 수용하는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 자녀의 성취를 격려하는 성취적 양육태도 및 자녀를 지도할 때 합리적이고 자율적인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확산적 사고를 촉진하고 창의적인 행동을 발달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장성희 외, 2015).

넷째,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와 유아의 행복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는 유아의 행복감 전체, 모든 하위요인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가 높으면 유아의 행복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율적일수록 영유아 행복감이 높다는 연구(양보라, 2006)와 부모의 양육태도가 애정적이고 자율적일수록 아동의 행복감이 높게 나타났다는 연구(문민정, 2008)가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한다. 반면 부모의 양육태도가 과보호일수록 아동의 행복감이 낮아진다는 연구결과(이은진, 2011)는 어머니의 과보호적이고 통제적인 양육태도가 유아의 선택권을 제한하고 자율성을 저해하여 유아의 행복감이 낮아진다는 것으로 본 연구결과와 맥락을 같이한다. 어머니가 자녀의 선택권을 존중하고,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도록 유아에게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은 자기결정이론에 따른 기본심리 욕구 중 자율성을 충족시키며, 동시에 그 행위의 실행으로 인한 유능감을 함께 경험하여 긍정적 정서가 유발되므로 유아의 행복감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는 유아의 창의적 인성 전체, 모든 하위요인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가 높으면 유아의 창의적 인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와 유아의 창의적 인성을 직접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미비하나,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 유아의 자율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자율적, 지지적인 유형과 유사하며, 유아의 창의적 인성은 유아의 창의성, 창의적 사고, 창의적 행동 등과 유사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에 대한 양육행동이 지지적이고 온정적일수록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김수연, 2003)와 어머니의 자율적이고 합리적인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유아의 확산적 사고를 촉진하고 창의적인 행동을 발달시킬 수 있다는 연구(장성희 외, 2015) 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자녀를 존중하고 자녀에게 자율성과 독립심을 허락하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창의성을 길러준다고 한 연구결과(백지숙, 1998)도 본 연구결과를 지지한다고 할 수 있다.

여섯째, 유아의 행복감 전체는 유아의 창의적 인성 전체, 모든 하위요인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유아의 행복감이 높으면 유아의 창의적 인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행복감이 높은 유아는 창의성에 있어서도 높은 수준을 나타내며(김란희, 2017), 창의적인 활동은 즐거움을 주고 이러한 경험은 행복을 느끼는데 도움이 된다고 밝힌 연구결과(박숙희, 2008)와 맥을 같이 한다. Fredrickson(2004)의 연구에서도 행복감이 높은 사람이 독창성, 대안적 문제해결력과 같은 창의성이 높았으며, 주로 긍정적인 정서를 느끼는 집단이 부정적 정서를 느끼는 집단보다 융통성, 독창성, 유창성과 같은 창의력 점수가 높았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따라서 유아의 창의적 인성이 발현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정서 및 행복감의 경험이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2.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자율성지지, 유아의 행복감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자율성 지지, 유아의 행복감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유아의 창의적 인성 전체에 있어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하위요인 중 긍정적 정서표현성은 유아의 행복감 하위요인 중 몰입, 심미감이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는 자녀의 놀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놀 권리를 존중하고, 새로운 생각이 산출되는 것을 격려하여 자녀의 창의성과 논리적 사고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이현주 외, 2014)와 유사한 결과이다. 또한 긍정적인 정서 및 행복감을 경험할수록 유창성, 독창성 등에 해당하는 창의적인 사고능력이 높게 나타났다고 한 연구(Isen, 1985)와도 맥락을 같이 한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창의적 인성발달을 위해서는 어머니의 합리적이고 명확한 한계설정을 위한 자율성지지, 긍정적 정서표현성, 유아의 행복감 발달이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유아의 행복감은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정서표현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므로 유아의 행복감 발달을 위해서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지지가 긍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으로 유아의 창의적 인성 전체에 있어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하위요인 중 부정적 정서표현성은 유아의 행복감 하위요인 중 몰입, 심미감이 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에서 한 가지 주목할 점은 앞에서 살펴 본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 정서표현성은 유아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김수경, 2017; 채지영, 2014) 한 것에 반하여, 본 연구결과 부정적 정서표현성도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은 어머니 개인이 독립된 개체로서 갖추는 것이 아니라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머니가 속한 집단과 사회를 함께 이해할 필요가 있다(김미경, 2013). 과거에는 어머니가 유아에게 긍정적인 반응만을 보이는 것이 건강한 것이었다면 현대 사회는 자신의 솔직한 감정을 드러내는 것이 보다 건강하다는 것으로 바뀌었으며, 부모유능감이 높은 어머니는 긍정적 정서표현과 함께 부정적 정서도 잘 표현한다는 것이다(조준오, 김소향, 2017). 부정적 정서표현을 하는 어머니는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도 허용하며, 과제에 대한 실패나 좌절에 대한 수용과 함께 도전의식도 심어준다는 점에서 유아의 창의적 인성 발달에 기여한다고 해석할 수 있겠다. 또한 부모의 부정적인 양육태도라 할 수 있는 권위적이고 거부적인 양육태도를 보일수록 아동은 보다 창의적이라고 하였으며, 애정적인 부모일수록 자녀가 사회적 가치와 기준에 더 동조적일 것을 강조하기 때문에 아동은 덜 창의적이 될 수 있다는 연구도 있다(Levene, 1984; Roe & Siegelman, 1963). 자녀의 생활에 엄격한 제한을 정해두고 한계영역을 제시하는 한계설정 양육행동은 부정적인 어머니의 양육행동으로 비춰져 유아의 창의적 인성 발달에 도움을 주지 못할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독립심을 제외한 유아 창의적 성격의 모든 하위 요인은 한계설정 양육행동과 정적 상관이 산출되어 어머니가 유아를 양육할 때 적절한 한계 설정을 해주면 유아의 호기심과 모험심, 과제집착력이 높아진다고 하였다(최윤희, 2013). 부모의 무조건적인 애정과 사랑은 아동의 창의성에 장애가 되며 충족되지 못한 요구나 절제 있는 애정이 창의적 인성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권기행, 2003; 조성연 외, 2009)는 본 연구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들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헬리콥터 부모’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들의 과보호적인 양육은 유아가 자유롭게 탐색하고 자율적으로 선택할 기회를 박탈함으로써 자녀의 창의적 인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입증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와 관련하여 후속 연구에서는 부정적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사이의 관계를 사회적 맥락 안에서 해석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아의 행복감 중 몰입은 다양한 자극을 통한 방해가 있더라도 주의를 집중하고 하나의 활동을 오랜 시간동안 지속하는 정도를 의미하는데 본 연구는 행복한 사람들은 호기심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몰입하여 잘 학습하며, 창의적인 성향을 띈다고 보고한 연구(Seligman et al., 2006)와 일맥상통한다 또한 심미감의 개념이 예술, 자연, 사물 등의 모든 감각적 아름다움을 느끼고 인식하고 표현하려는 미적 심상이나 지각임을 감안할 때, 미술작품 감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 발달에 효과가 있었다고 밝힌 연구(박화윤, 2001; 이경수, 2006)와도 맥을 같이 한다. 유아의 창의적 인성 전체에 있어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하위요인 중 긍정적 정서표현성, 부정적 정서표현성 그리고 유아의 행복감 하위요인 중 몰입, 심미감이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는 자녀의 놀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놀 권리를 존중하고, 새로운 생각이 산출되는 것을 격려하여 자녀의 창의성과 논리적 사고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이현주 외, 2014)와 맥을 같이 한다.

3.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 유아의 행복감의 매개효과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유아의 행복감은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는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유아의 행복감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아의 부모는 유아에게 직접적인 모델이 될 수 있는데 어머니가 보이는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있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Garner & Power, 1996; Parke, 1994). 유아가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만족감과 뿌듯함, 자신감을 가지고 열정적으로 몰입하게 하는 행복감은 유아가 성장하면서 접촉하게 되는 의미 있는 타인과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어 간다(이지영 외, 2018). 그러므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행복감이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받을 수 있다. 어머니가 유아에게 정서적인 표현을 많이 하고, 유아의 자율성을 존중하며 지지해줄수록 유아의 행복감이 높아지며, 유아가 긍정적인 정서의 경험은 사고의 확장을 일으켜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기여한다고 해석할 수 있겠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양육참여도는 유아 행복감을 매개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송수경, 2019),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의 하위 요인 중 발달적 지지 요인이 유아 행복감을 매개로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강미선, 2017)와 그 맥을 같이한다. 또한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고 격려하며, 자녀에게 친절하고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은 자녀를 정서적으로 기쁘게 하고, 자녀의 창의성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나종혜 외, 2021)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어머니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은 자녀의 기본적인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이 충족감은 자녀를 정서적으로 행복하게 하며 더 나아가 창의적 역량을 발휘하도록 한다는 연구 결과(Dunsmnore & Smallen, 2011; Moltafet et al., 2018)와도 일맥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 등을 포함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정적 상관이 있다고 밝힌 다수의 연구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경로를 밝힌다는 점에서 고무적으로 생각한다. 어머니가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양육태도를 보일 때 유아의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이 많이 형성되고(곽용, 1985), 긍정적 정서의 경험을 통해 유아의 행복감을 높일 수 있으며, 유아가 긍정적인 정서 및 행복감을 경험할수록 유창성, 독창성 등에 해당하는 창의적인 사고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자율성 지지와 그에 대한 유아의 창의성 증진 방안을 분석함에 있어 유아의 행복감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유아의 행복감이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자율성 지지와 유아의 창의적 인성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보였음이 확인되었다는 점에서, 유아의 창의적 인성 증진을 위해서는 유아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 모색도 필요함을 시사받을 수 있다. 또한, 유아 정서에 대한 접근과 함께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자율성 지지 등의 양육태도를 고려한 통합적인 접근이 이뤄져야 하는데,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를 함양시킬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도 중요함을시사받을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상담 및 부모교육을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며, 나아가 부모에게 실제적인 교육을 통하여 바람직한 자녀양육을 위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어머니의 긍정적인 정서표현과 유아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양육태도, 유아 행복감의 중요성이 검증되었다. 이에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는 긍정적 양육태도에 대한 부모교육 연구와 유아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다양한 유아 행복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밝히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서 연구 대상을 표집하였으나, 여러 지역에서 연구대상을 표집함으로써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행복감에 대해 다양한 접근을 통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는 자기보고식 설문지이기 때문에 각 변인의 측정과 관련하여 제한점이 있을 수도 있다. 설문에 참여한 어머니들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방향으로 응답하거나 방어적으로 응답했을 수 있는 것이다. 후속연구에서는 관찰이나 개인면담 또는 실험연구 등의 다각적인 자료수집의 방법이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본 연구는 유아의 가정환경 중에서도 어머니만을 대상으로 하여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자율성 지지와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와 유아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어머니의 양육관련 변인으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에 국한하여 이들 변인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및 행복감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후속연구에서는 부모의 창의성이나 유아의 내적동기, 기질 등을 포함하여 이들 변인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을 어느 정도 설명해주는지를 비교해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나 자율성 지지 뿐만 아니라 아버지의 정서표현성이나 자율성 지지도 고려될 필요가 있으며, 양육신념이나 양육행동 등의 가정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차원들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석사학위 논문의 일부를 수정한 논문임.

References

  • 강경옥(2015).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강미선(2017).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자아탄력성의 관계에서 유아 행복감의 매개효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고선옥(2006). 아버지의 창의적 성격특성과 양육신념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곽 용(1985).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권기행(2003).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창의성 발달 관계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권석만(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 김도란, 김정원(2008). 유아의 행복감과 부모의 행복감간의 관계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311-333.
  • 김란희(2017). 유아의 행복과 놀이성 및 창의성 간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미경(2013). 어머니의 정서표현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민전, 이경화(2017). 유아교사의 글로벌리더 미래역량에 대한 인식. Global Creative Leader, 7(3), 25-43. [https://doi.org/10.34226/gcl.2017.7.3.25]
  • 김성범(2012). 가족의 생태학적 변인에 따른 유아의 행복감.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수경(2017).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놀이신념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수연(2003). 유아의 창의성과 어머니의 양육관련 변인간의 구조 분석.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수연, 이영(2005). 유아의 창의적 행동특성과 어머니의 지지적 양육행동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3(2), 69-79.
  • 김연경(2014). 아동이 지각한 부모공감능력, 회복탄력성, 학교적응과의 관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나종혜, 손승희, 김수정(2021).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행복감, 창의성 간의 구조모형 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30(2), 227-239. [https://doi.org/10.5934/kjhe.2021.30.2.227]
  • 노보혜, 박성연, 지연경(2011).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학습관여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기결정동기 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지, 32(4), 83-97. [https://doi.org/10.5723/KJCS.2011.32.4.83]
  • 문민정(2008).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기수용능력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문지현, 신나나(2017).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과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지, 38(6), 17-33.
  • 박소은, 남은영(2010).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정서인식, 정서수용 및 양육태도간의 관계: 저소득과 중류가정을 중심으로. 한국학회지 발달, 23(3), 89-103.
  • 박숙희(2008).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과 유아의 창의성. 한국영유아보육학, 55, 151-170.
  • 박화윤(2001). 미술 작품 감상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2(2), 277-290.
  • 백지숙(1998). 창의성, 창의성과 관련된 가정 요인에 관한 고찰. 창조교육논총, 2, 9-25.
  • 송명숙(2016).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우울과 부부갈등, 양육방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8(4), 39-56.
  • 송수경(2019).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친사회적행동과의 관계: 유아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진영(2015). 아버지의 양육 및 놀이참여와 유아 행복감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신명덕(2007).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아동의 행복감간의 관계.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신민희, 구재선(2010). 행복과 창의력의 관계 : 행복한 사람이 더 창의적이다.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4(3), 37-51. [https://doi.org/10.21193/kjspp.2010.24.3.003]
  • 양보라(2006).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사회, 정서발달에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우혜진, 유연옥(2017). 아버지의 양육참여,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행복감의 관계. 한국사회과학연구, 36(2), 5-31. [https://doi.org/10.18284/jss.2017.12.36.2.5]
  • 이경수(2006). 탐색⋅표현⋅감상의 통합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교육실행연구, 9, 45-82.
  • 이소영, 심혜원(2020). 모의 자율성 지지가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의도적 통자와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13(1), 19-42.
  • 이 영, 김수연, 신혜원(2002). “유아용 창의적 행동특성 검사”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0(6), 85-97.
  • 이원영(1983).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계성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은경(2019).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권리인식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은진(2011).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행복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은주(2010). 유아 행복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한국보육학회, 10(4), 129-146.
  • 이지영, 장원호, 김민진(2018). 부모-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 부모의 우울과 유아의 행복감의 매개효과 검증. 교육연구논총, 39(1), 255-277. [https://doi.org/10.18612/cnujes.2018.39.1.255]
  • 이지연, 장형심(2015). 모의 자율성 지지 및 조건부 관심, 자율적 동기, 친사회적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2), 139-155.
  • 이현주, 이정규, 도승이(2014).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창의성과 논리적 사고력, 자기주도성과 사회정서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영재와 영재교육, 13(3), 225-244.
  • 이혜인(2015). 가족체계환경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영향.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임성택(2007).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창의적 성격 발달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16(2), 159-170.
  • 장성희, 손상희, 손희정(2015). 부모의 창의적 성격 특성과 유아의 창의적 사고 및 행동 특성의 관계: 가족기능성과 온정적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24(1), 303-320.
  • 조선희, 김미영(2011). 중학생의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지능, 창의적 성향 간의 관계 분석. 실과교육연구, 17(2), 197-214. [https://doi.org/10.17055/jpaer.2011.17.2.197]
  • 조성연, 신혜영, 최미숙, 최혜영(2009). 한국 초등학교 아동의 행복감 실태조사. 아동학회지, 30(2), 129-144.
  • 조준오, 김소향(2017). 유아 어머니의 부모유능감과 자녀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정서표현성의 다중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37(4), 611-635. [https://doi.org/10.18023/kjece.2017.37.4.025]
  • 채지영(2014). 어머니의 놀이성과 정서표현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선미(2015). 유아 행복The creative personality The new frontiers of happiness과 관련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기질, 양육효능감, 자아탄력성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최윤희(2013).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창의적 성격 및 자아개념 간의 관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해주(2007).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관련 변인간의 경로모형분석: 아동의 개인내적 변인과 어머니의 변인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영민(2005). 부모의 정서표현 및 유아에 대한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황해익, 강현미, 탁정화(2013). 영아교사의 용기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2), 285-309.
  •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 Bear, J. (1993). Why you shouldn’t trust creativity test. Educational Leadership, 51(4), 80-83.
  • Cassidy, J., Parke, R., Butkovsky, L., & Braungart, J. (1992). Family-peer connections: The role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within the Family and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s. Child Development, 63(3), 603-618.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2.tb01649.x]
  • Csikszentmihalyi, M. (1996). The creative personality. Psychology Today, 29(4), 36.
  • Cohn, D. A. (1990). Child-mother attachment of six-year-olds and social competence at school. Child Development, 61(1), 152-162.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0.tb02768.x]
  • Dunsmore, J. C., & Smallen, L. S. (2001). Parents’ expressiveness and young children’s emotion decoding with parents and unknown adults.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62(4), 478-494. [https://doi.org/10.1080/00221320109597497]
  • Feldman, R. S. (2015). Child Development(7th Edition). Boston, MA: Pearson.
  • Fredrickson, B. L. (1998).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3), 300-319. [https://doi.org/10.1037/1089-2680.2.3.300]
  • Fredrickson, B. L. (2001).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 and 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American Psychologist, 56(3), 218-226. [https://doi.org/10.1037/0003-066X.56.3.218]
  • Fredrickson, B. L. (2004).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Biological Sciences, 359(1449), 1367-1377. [https://doi.org/10.1098/rstb.2004.1512]
  • Garner, P. W., & Power, T. G. (1996). Preschoolers’ Emotional Control in the Disappointment Paradigm and Its Relation to Temperament, Emotional Knowledge, and Family Expressiveness. Child Development, 67(4), 1406-1419.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6.tb01804.x]
  • Halberstadt, A. G., Cassidy, J., Stifter, C. A., Parke, R. D., & Fox, N. A. (1995). Self-expressiveness within the family context: Psychometric support for a new measure. Psychological Assessment, 7(1), 93–103. [https://doi.org/10.1037/1040-3590.7.1.93]
  • Hoffman, C., Crnic, K. A., & Baker, J. K. (2006).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Implications for children’s emergent emotion regulation and behavioral functioning. parenting Science and Practice, 6(4), 271-295. [https://doi.org/10.1207/s15327922par0604_1]
  • Isen, A. M. (1985). Asymmetry of happiness and sadness in effects on memory in normal college students: Comment on Hasher, Rose, Zacks, Sanft, and Dore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14(3), 388–391. [https://doi.org/10.1037/0096-3445.114.3.388]
  • Lekes, N., Gingras, I., Philippe, F. L., Koestner, R., & Fang, J. (2010). Parental autonomy-support, intrinsic life goals, and well-being among adolescents in China and North America.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9(8), 858-869. [https://doi.org/10.1007/s10964-009-9451-7]
  • Levene, E. B. (1984). Creativity and child-rearing: A developmental analysi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nal, 45(5), 1296.
  • Looney, J. (2015). Happiness in children: measurement, correlates and enhancement of positive subjective well-being. Cambridge Journal of Education, 45(3), 393-394. [https://doi.org/10.1080/0305764X.2015.1065094]
  • Moltafet, G., Sadati Firoozabadi, S. S., & Pour-Raisi, A. (2018). Parenting styl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emotional creativity: A path analysi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30(2), 187-194. [https://doi.org/10.1080/10400419.2018.1446748]
  • Noddings, N. (2003). Happiness Education. New york: Cambridge Univ Press. [https://doi.org/10.1017/CBO9780511499920]
  • Parke, R. D. (1994). Progress, paradigms, and unresolved problem: A Commentary on Recent advances in our understanding of children’s emotion. Merrill Palmer Quarterly, 40(1), 157-169.
  • Peterson, C. (2006). A Primer in positive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Roe, A., & Siegelman, M, A. (1963). A Parents-Child Relations questionnaire. Child Development, 34(2) 355-369. [https://doi.org/10.1111/j.1467-8624.1963.tb05143.x]
  • Seligman, M. E. P., Rashid, T., & Parks, A. C. (2006). Positive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st, 61(8), 774–788. [https://doi.org/10.1037/0003-066X.61.8.774]
  • Shaffer, D. R. (1999). Developmental psycholgy (5th), Childhood & adolescence. Pacific Grove : Brooks/Cole Pub.
  • Snowden, P. L. (1994). The role of parents of precocious children: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Carbondale.
  • Sternberg, R. J. (1985).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creativity, and wisdo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9,(3) 607-627. [https://doi.org/10.1037/0022-3514.49.3.607]
  • Torrance, E. P. (1976).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Directions manual and scoring guide(Figual test booklet A, B). British Library: Personnel Press.

그림 1.

그림 1.
유아 행복감의 매개효과 검증

표 1.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율성 지지, 유아의 행복감과 창의적 인성 간의 상관관계(N=307)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p < .05, **p < .01, ***p < .001
1: 긍정적 정서표현성, 2: 부정적 정서표현성, 3: 정서표현성 전체, 4: 자율성 지지, 5: 부모관계, 6: 교사관계, 7: 또래관계, 8: 인지 및 성취, 9: 몰입, 10: 심미감, 11: 정서, 12: 건강, 13: 생활만족, 14: 행복감 전체, 15: 독특성-호기심, 16: 개방성-유머, 17: 민감성-다양한 흥미, 18: 상상력-놀이성, 19: 독립성-몰두, 20: 창의적 인성 전체
1 1
2 -.27** 1
3 .841** .285** 1
4 .702** -.366** .494** 1
5 .584** -.242** .447** .527** 1
6 .470** -.199** .357** .477** .550** 1
7 .365** -0.111 .302** .362** .412** .569** 1
8 .302** -0.080 .257** .274** .395** .449** .336** 1
9 .413** -0.111 .350** .419** .439** .483** .402** .554** 1
10 .473** -0.083 .425** .381** .513** .525** .462** .449** .565** 1
11 .392** -.136* .314** .435** .431** .500** .427** .381** .441** .552** 1
12 .558** -.218** .434** .515** .523** .429** .398** .260** .363** .416** .427** 1
13 .513** -.267** .362** .514** .541** .517** .319** .257** .350** .380** .457** .532** 1
14 .643** -.232** .511** .616** .755** .785** .679** .617** .708** .752** .709** .696** .698** 1
15 .413** 0.010 .407** .431** .363** .412** .354** .351** .531** .483** .353** .291** .301** .533** 1
16 .494** 0.018 .484** .444** .352** .414** .337** .295** .430** .475** .379** .374** .337** .529** .705** 1
17 .630** 0.093 .576** .516** .417** .447** .339** .331** .503** .536** .386** .393** .397** .585** .576** .661** 1
18 .471** 0.007 .466** .330** .341** .356** .317** .185** .440** .471** .270** .224** .286** .451** .601** .544** .588** 1
19 .387** 0.084 .339** .399** .321** .327** .343** .231** .388** .351** .303** .298** .274** .443** .535** .544** .445** .404** 1
20 .597** 0.051 .567** .520** .445** .484** .419** .339** .569** .577** .415** .386** .395** .628** .840** .843** .812** .813** .712** 1

표 2.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대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자율성 지지, 유아의 행복감의 영향(N=307)

독립변인 B β t R² adj. R² F
*p < .05, **p < .01, ***p < .001
어머니 정서표현성 긍정적 정서표현성 .235 0.328 5.127*** .577 .553 24.699***
부정적 정서표현성 .112 0.120 2.839**
어머니 자율성 지지 .131 0.117 1.944
유아 행복감 부모관계 -.044 -0.054 -.975
교사관계 .061 0.074 1.293
또래관계 .037 0.048 .969
인지 및 성취 -.066 -0.070 -1.415
몰입 .233 0.275 5.143***
심미감 .177 0.209 3.696***
정서 -.022 -0.022 -.437
건강 -.026 -0.036 -.684
생활만족 .017 0.024 .449

표 3.

유아의 행복감 매개효과 검정(N=307)

단계 독립변인 종속변인 B SE β t R² F P
**p < .01, ***p < .001
1단계
독립→매개변인
정서표현성 유아 행복감 .294 .053 .273 5.515*** .436 117.312*** .000***
자율성 지지 .467 .048 .481 9.694***
2단계
독립→종속변인
정서표현성 유아 창의적 인성 .356 .057 .318 6.200*** .398 100.373*** .000***
자율성 지지 .510 .064 .410 8.008***
3단계
독립, 매개→종속변인
정서표현성 유아 창의적 인성 .143 .061 .128 2.355** .486 95.413*** .000***
자율성 지지 .376 .062 .302 6.077***
유아 행복감 .456 .063 .395 7.203***

표 4.

유아 행복감의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

효과 경로 효과계수 SE 95% 신뢰구간
총효과 어머니 정서표현성→유아 창의적 인성 .705 .059 [.590∼.821]
어머니 자율성 지지→유아 창의적 인성 .584 .055 [.476∼.692]
직접효과 어머니 정서표현성→유아 창의적 인성 .414 .060 [.296∼.533]
어머니 자율성 지지→유아 창의적 인성 .241 .062 [.119∼.363]
간접효과 어머니 정서표현성→유아 행복감→유아 창의적 인성 .291 .040 [.215∼.374]
어머니 자율성 지지→유아 행복감→유아 창의적 인성 .342 .062 [.119∼.363]